오리지널리티 갖다버린 연구가 심지어 그림도 컨트롤씨+컨트롤브이해서 (세포 사진 잘 보면 대폭소 ㅋㅋㅋ)
날조한 논문이 무려 세군데 저널에 통과됐었답니다~ 라는 얘기.
이거 안걸렸으면 리트랙션도 안됐을텐데...ㅋㅋ...
뭐 여기뿐이겠습니까만은 제 주변에서도 저렇게 하고 안걸리고 있는 분이 하나 있으셔서.. 그분 언제 걸리나 보고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화공 졸업생*
2018.08.08
저야 관련분야는 아니라 잘 모르겠지만 몇년전에 일본 여성과학자가 네이처에 조작논문 실었던게 떠오르네요! 그때는 네이처에 실린 덕분에 다른 기관들에서도 재현실험 하다하다 안돼서 의문을 제기했던게 시초라고 들었는데....
화공 졸업생*
2018.08.08
그 주변분도 아마 좀 좋은 논문에 내야 걸리지 않을까요? 사이언티픽 리포트 정도야 딱히 신경쓰지도 않는 논문이라 안걸릴것 같은데 저 링크에 나온 사진은 아주그냥 세포사진이 빼박이라 걸린듯 하네요. 포토샵을 썼으면 회전이라도 시키는 노력(?)이라도 보여줄 것이지ㄷㄷㄷㄷ 아무리 비전공자라지만 세포가 저렇게 똑같이 생길리가 없다는 것은 잘 알겠다.....
화공 졸업생*
2018.08.08
여러분, 참고로 사이언티픽 리포트 네이처 자매지 아닙니다.... 좋아보인다고 막쓰지 마세요ㅠㅠ 리뷰하라고 오는것들 보면 이게 학술지인지 고등학교 숙제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의 쓰레기 논문들이 오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에디터선에서 짜르려면 npg에 사유서(?)같은걸 제출해야된다고 합니다. 어느 에디터가 시간 들여서 그거 쓰고 있을까요.....다 리뷰로 넘김ㅠㅠ 덕분에 나같은 사람들만 쓰레기 논문 읽으며 리젝 코멘트 써줘야함ㅂㄷㅂㄷ
파닭먹고싶다*
2018.08.08
To. 화공 졸업생
태클은 아니고, sci-rep reviewer이시거나 혹은 그 밑에서 일하시는 대학원 선생님이신가해서 여쭤봅니다.
사실 paper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서 quality가 떨어지는게 아니냐고 ibric에서도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는데
originality의 문제인지
혹은 실험설계가 부실한데도 accept이 되는지
어느 부분에서 sci rep journal이 비판을 받고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아는 분들도 그 쪽으로 투고하는 경향이 있어서요
제 분야는 biology입니다.
글쓴이*
2018.08.08
저 링크가 사이언티픽리포트 얘기거든요ㅋㅋ 날조된 논문도 억셉되고 있다는.. 전 바이올로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전공이라 제 주변에도 다른데 다~~ 리젝되면 결국 사이언티픽리포트 아님 플로스원 내는데.. 논문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데도 저곳들에서 출간된 사례 꽤 많이봤어요. 아예 날조에 가까운 것도 지금 하나 제 주변에 있는데 저 두 곳 중 한 곳에 내고 리비전 중이구요.. 아마 조만간 억셉될듯..
화공 졸업생*
2018.08.13
@파닭먹고싶다 졸업생이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논문리뷰를 좀 맡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여기도 리뷰어가 따로 있는 시스템은 아닐겁니다) 여기 논문 자체가 멀티디시플리너리를 지향하며, 논문의 핫함(오리지널리티나, 참신성, 파급력 등등)이 등재의 기준이 아닙니다. 실험설계가 부실해도 통과시켜주는 정도의 막장(?) 저널은 아니며, 다만 타 저널에 비해 논리적으로 오류가 있는지? 를 많이 보는 느낌입니다. 처음 논문 나올때쯤엔 if 가 잘크면 6정도까지 가지 않을까 싶었습니다만 최근 몇년간 택도 없는 수준의 논문이 리뷰가 오고, 실제로 별것 아닌 논문들도 실리면서 if도 좀 줄어들거라 생각했습니다. (방금 찾아보니 4.1까지 추락했네요) 화학쪽 논문들의 대(?)인플레이션에 비춰보면 급락중인것 같긴 합니다....
@파닭먹고싶다*
2018.08.13
딱히 제 주변분들은 비판까지는 아닌것 같고요, 더 좋은곳에 투고했다가 몇번 떨어지면 내는 경우가 대부분인것 같습니다. 퀄리티가 떨어진다. 라는 비판은 정말 출판 자체가 많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솔직히 싸이언티픽 리포트 리뷰 오면 시간을 그렇게 많이 들이는것은 아니니... 리뷰어가 시간을 충분히 들이지 못해 못 거르는 것도 꽤 있을것 같고, 분야가 멀티디시플리너리를 다루는 만큼 리뷰어도 전문가 아닌 경우도 걸립니다. (보통 2명이니까 모르는사람 한명 있으면 한명만 설득하면 되는.....개이득..) 개인적인 의견으로, npg가 장사를 잘하는것 같습니다. 멀티디시플리너리 저널들을 굳이 순위를 매겨보면 nature - nature comm. - sci.rep - plos one 정도 될거같은데 nature.comm 이하로 딱히 낼만한 곳이 없는것도 sci.rep에 투고논문이 급증하는 이유인것 같습니다.
2018.08.08
2018.08.08
2018.08.08
2018.08.08
2018.08.08
2018.08.13
2018.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