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IST 환경이 좋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2025.06.27

30

7169

장비 수준좋고, 자리 넓고, 등록금 싸고, 제안서 덜써도 되고 등등..
IST가 가지고 있는 환경적인 장점은 좋다는 것은 충분히 인지했고, 실제로도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정량적인 실적은 IST가 YK에 비해 좋은가요?

IST 분들 보니, 랭킹 등 실적에 대해서 얘기하는 글에 대한 반박으로 '환경이 좋다' 라는 말씀들을 하시는데, 객관적 연구실적은 YK에도 밀리는게 팩트 아닌가요?

연구실적에 대한 글에 왜 갑자기 환경이 좋다는 말만 반복하는지 모르겠고, 그 좋은 환경에서 왜 좋은실적이 안나오는지 잘 이해가가지 않습니다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5.06.27

BEST -IST 훌리가 너무 많은 거 같음. SKP YK는 학벌이나 순위 이런 거 신경도 안 쓰는 거 같던데.

대댓글 1개

2025.06.27

ist훌리들 이제는 또 학교실적이랑 재학생실적은 상관없다고 물타기시작하네ㅋㅋ
나도 이 글 작성자처럼 똑같은 의문이 들던 찰나였음.
처음에는 QS랭킹이니 뭐 그런건 이상한걸 반영하니 의미없다고 하더니 네이처인덱스 등 실적관련된걸 들이밀었더니 이제는 환경이 좋은거라 주장. 결국 근본적인 물음은 회피하고 항상 다른거만 언급하는 ist훌리들.
너그들이 좋아하는 그 규모작다는 핑계말인데, 교수숫자대비로 실적 양과 질 비교해도 DG가 연고성에 밀리더라고.

2025.06.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김학사넷 수준 여전하네

2025.06.27

이런 글 싸지르는 사람 본인 cv나 까고 글 썼으면 좋겠다

2025.06.27

그래서 학교 실적이 좋으면 재학생 실적도 무조건적으로 올라감? 아니 뭐 씨 학사따리냐?

2025.06.27

-IST 훌리가 너무 많은 거 같음. SKP YK는 학벌이나 순위 이런 거 신경도 안 쓰는 거 같던데.

대댓글 1개

2025.06.27

ist훌리들 이제는 또 학교실적이랑 재학생실적은 상관없다고 물타기시작하네ㅋㅋ
나도 이 글 작성자처럼 똑같은 의문이 들던 찰나였음.
처음에는 QS랭킹이니 뭐 그런건 이상한걸 반영하니 의미없다고 하더니 네이처인덱스 등 실적관련된걸 들이밀었더니 이제는 환경이 좋은거라 주장. 결국 근본적인 물음은 회피하고 항상 다른거만 언급하는 ist훌리들.
너그들이 좋아하는 그 규모작다는 핑계말인데, 교수숫자대비로 실적 양과 질 비교해도 DG가 연고성에 밀리더라고.

2025.06.27

유독 ist들은 현실부정을 많이 하는거같음
1. 대학랭킹은 의미가 없다
왜 그런주장을 하는가 생각해보면 자기학교가 순위가 낮으니까.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 학교의 위상은 그보다 훨씬 위인데 본인 생각과 다른 결과가 나와서 인지부조화가 와버리니 "그 랭킹은 의미없어!" 시전 (뭐 100% 틀린 얘기는 아니니 일단 오케이)
2. 의대탓, 규모탓
그래서 이제 그런 랭킹말고 네이처인덱스나 레이든랭킹을 보면 여전히 ist(특히 DG)는 바닥을 김. DG는 중경이나 부경 정도랑 비슷한 결과가 나와버림. 우리 훌리들은 당연히 인정할 수 없음. ist는 SH은 압살하고 YK보다도 좋은 학교니까^^ 이번에는 의대탓(특히 연대 성대)하면서 의대빨이다 주장, 그리고 ist는 규모가 작아서 그렇다 시전. 왜 항상 통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걸까 라고 생각해보면 본인 학교가 랭킹이 본인 예상보다 한참 낮기 때문임. 막상 교수당 (이공계 분야) 논문실적 비교하면 양과 질에서 어차피 연고성에 상대가 안되는게 현실.

대댓글 1개

2025.06.27

ist가 분명 인원수는 적다고들 하는데 김박사넷에서는 ist훌리가 가장 많이 보이는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그들 입장에서 생각해봤음.
1. 학부로 ist를 갔는데 친척어른들 사이에서 한양대, 성균관대, 심지어 중앙대간 친척보다도 인정을 못받음. (왜냐면 어른들은 ist가 뭔지 잘 모르니까 그냥 지방대 취급함.) 여기부터 인서울 대학에 대한 분노가 쌓임.
2. 위치가 시골에 있다보니 자기들끼리 뭉치고 서울권에 있는 YKSH 등을 적대하는 심리가 더욱 강해짐.
3. 학부를 졸업하고 대학원을 ist로 진학함. ist는 YK에 비해 연구환경이 좋다, 시골이라 오히려 연구에 집중하기 좋다 등 본인 학교가 좋은 이유를 굳이 찾아서 본인의 선택을 합리화함.
4. 대학원은 ist가 YK보다 좋다는 근거없는 결론에 도달함. 이미 이것을 굳게 믿고 있으며 김박사넷에서도 거침없이 주장하고 다님. ist가 저평가 받는듯한 글이 보이면 ist>YK, ist>>SSH을 강력하게 주장함.
5. 문제는 타인이 객관적인 지표를 들이밀면서 왜 ist가 YKSH보다 위임을 주장하냐고 논리배틀을 시작하면 갑자기 꿀먹은 벙어리가 되어서 통한의 비추만 남기고 사라짐.

2025.06.27

ist가 환경이 좋다는 주장은 사실은 자폭이나 다름없는듯.
랭킹얘기가 나온건 각종 지표에서 논문실적이 ist가 YKS보다 아래로 나오는데 ist가 YKS위라고 주장하는게 틀리다고 주장하기 위해서임.
그런데 훌리들이 해당 랭킹이 의미없다고 주장하다가 네이처인덱스 등 의미있는 랭킹 얘기가 나오니까 이제 환경이 좋다는식으로 은근슬쩍 물타기를 시전한것임.
결국 ist는 좋은 환경임에도 오히려 행정일 많이 하고 설비도 더 후지고 연구비도 부족한 인서울 상위대학보다 논문실적은 잘 못낸다는걸 스스로 인정해버림.

대댓글 1개

2025.06.30

은근슬쩍 yk에 s는 왜 껴넣는건가요?

2025.06.27

여기만 봐도 ist 패는글이 가장 많은데 ist훌리 찾고있네 ㅋㅋ 훌리는 너네들이 상상속에서 만드는거잖아. 그만좀 싸우고 연구나 해라.

2025.06.27

ist에 열등감 가진 패배자들이 이렇게 많을 줄이야. 위에 “연고성“ 거리는 성대 훌리도 보이네

대댓글 3개

2025.06.27

연고성이 나온이유는 ist훌리들이 YK랑 SSH보다 위라고 자주 주장하는데 SSH중에 성이 실적 제일 위라서 연고성 묶어서 얘기하는거 뿐임. 수능 상위 0.5%였어서 성대는 쳐다본 적조차 없는 사람임. 이럼 또 수능얘기하네 어쩌네 하겠지만 박사도 진작 졸업했음.

2025.06.27

헤겔
그럼 연고성말고
고연성으로
요새 연대는 고대에 전반적으로 밀리는 느낌이고
아무리 성대가 발전했어도
연고대랑 묶기에는 여러방면에서 갭이 존재함

2025.06.28

스티븐호킹님
연대가 고대에 밀린다는건 어디서 나온건가요?
네이처인덱스, 레이든에서 연대가 고대 압도적으로 이기는데요..

2025.06.27

-----XX 에게 먹이를 주지 마시오----

이런 글마다 유독 많이 보이는 사람이 있음
이전글도 그렇고 전 글도 그렇고
댓글을 대여섯개에서 열몇개까지 다는 정신적으로 무서우신분이 한분 계심
그분의 패턴은 남들 다 반박하는데 그냥 무지성으로 랭킹 들고와서 성대가 뛰어나다고 주장하시는분임
그리고 정작 본인이 불리한 얘기 나오면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짐
댓글 패턴 보면 파악가능함

수능 성적이 인생 최대 업적으로 추정, 다만 대학은 안좋은 곳을 갔는지 학벌 열등감이 심해보임

2025.06.27

라이덴 작년 1인당 피인용 U가 1등인데요..?

대댓글 4개

2025.06.27

PP요? PP를 어떻게 해석하면 1인당 피인용이 됨?ㅋㅋ
PP는 국내2등이 세종대고 5등이 영남대인데요 6등은 광운대구요.
그냥 논문자체를 적게 내면 PP는 올라가요. 분모가 줄어드니까요.
일단 PP가 무슨뜻인지부터 알고오시면 좋겠네요.
막말로 제가 대학만들고 10%논문 1편만 내면 PP 100%라서 전세계 1등이 됩니다만ㅎㅎ P로 나열해서 보시면 됩니다. PP는 어디까지나 보조지표구요.

2025.06.27

설명이 부족했는데 P(top 10%) 이런거로 보시면 됩니다^^

2025.06.27

P(top10%) 기준으로
U가 12위
G가 29위
D가 38위 네요.

2025.06.30

p는 논문 총개수 = 어느 수준 이상에선 정원에 비례하는데
얼마나 빡대가리면 대학원생 수 12배 차이나는 D랑 Y랑 비교하냐
지 좆대로 체리피킹하네
2026 qs 교수당 인용수
D 1위 (전세계 4위)
G 2위 (전세계 16위)
U 3위
KY 6,7위
차라리 이게 더 객관적일듯 ^^

2025.06.27

에타인줄

2025.06.28

yk 랑 ist 내에서도 랩마다 차이가 심할 텐데 이런 비교가 의미가 있나요? 내가 갈 수 있는, 컨택 된 랩 중에서 가장 좋은 곳으로 가는거지 내 교수가 인성도 실적도 별로인데 같은 학교 다른 과, 다른 랩 실적이 좋아봤자 도움되는게 있나 모르겠네요. yk 나 ist 나 학교 단위로 묶어서 비교하는건,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하등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2025.06.28

실적이 좋고 안좋고 데이타를 갖고 하시는 말쓰인지?

2025.06.28

ㅎㅎ… 좋은 환경에서 실적 낸 사람하고, 나쁜 환경에서도 동일한 실적을 낸 사람이 있다면 후자가 더 훌륭한 연구자겠군요. 잘 알겠습니다.

2025.06.29

서울대 입장에서 아랫학교끼리 치고박고 싸우는거보면 걍 존나웃김 ㅋㅋㅋ 머함 니네? 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6.29

싸우면서 시간낭비 및 시시각각 변하는 정신승리 및 열등감 fluctuating 중

2025.06.29

근데 온라인에서 이런 글 쓴다고해서 뭔가 달라지는게 있습니까? 연구에서 연구자 개인역량도 중요하지만 네트워크 및 협력 태도도 중요한데 안타깝네요.

2025.06.30

왜 갈라치기를 해... 어디학교 나오고가 무슨 상관이야 본인 실적이 중요하지.. 이런글 쓸 시간에 논문보자

2025.06.30

환경이 좋으면 뭐합니까ㅋㅋ 기본적으로 필요한 Man Power가 서울무새가 되어서 서울에 몰려 사는데ㅋㅋ 좋은 실적은 자고로 환경과 연구 인력 수에 대한 복잡한 함수이거늘, "환경은 좋은데 실적은 왜 안 좋아요?" 같은 소리 하시네요.
글쓴이가 YK 다니거나 희망하시는 듯 한데, 환경이 열악한 일반 지거국에서도 정말 좋은 실적으로 졸업해서 교수/정출연 가는 분들보다 환경 좋은 YK에서 쏘쏘한 실적으로 졸업하시는 일이 없기를~

2025.06.30

그냥 대학원 지원할때 생각하면, 연구할거만 생각했을때 spk 이후에 ist 가 아니라, yk생각하는 경우는 자대생 말고 본적이 없음..

다른생각으로 오는 하방은 둘다 한숨나오니 굳이 언급 안해두 되겠지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