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T+KENTECH들 에너지 쪽, 건설환경 쪽 석사나 석박통합 들어가기 어려운가요? 나이가 마이너스가 될까요?
자교 석사는 전액장학 무조건 되는데, 솔직히 시설이 너무 열악하고 연구에 전념하는 분위기가 안 잡혀 있는 것 같습니다. ssh은 좀 옆그레이드 느낌이구요..
그리고,ist들 연구실 들어가면 한달에 200정도는 나오나요? 아니면 학교에서 식사를 제공해주나요?
대차게 까주셔도 상관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4.07.29
Ist는 200 케바케 Kentech은 무조건 준다고 들음. 식사지원같은거는 전혀없고 본인이 사원이 아니라 학생이 되는거임. Ist,kentech모두 연구중심대학이라 석사보다 통합이 들어가기 쉬움. 나이는 입학에는 문제없는데 인생에서 박사까지 할꺼면 36살 넘어서 졸업이라는걸 인지해야함.
대댓글 6개
2024.07.29
석박통합 5년 아닌가요?
2024.07.29
일단 답벼 감사합니다
2024.07.29
6년확률 60프로 5년확률 20프로 그이상 20프로
2024.07.29
혹시 200이 안되는 연구실들은 자기 돈 들여서 다니는 건가요? 그럼 진짜 흙수저들은 어떡하나요 ㄷㄷㄷ
2024.07.29
씀씀이가 어떤지는 몰라도 학비제외 100이면 돈을 내고 다니지는 않아요.
더 돈을 주지않으면 자기돈내고 다녀야지 어쩌겠어요.
2024.07.30
ist 학비 면제입니다. 나오는 돈은 회사 다닐때처럼 순수 월급이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200은 석사과정(석박통합이래도 2년이하)급이면 많은 편에 속하구요, 박사과정쯤 되면 케바케긴한데 평균이나 평균보다 쪼금 더 많은정도? 학비가 무료니 무조건 돈은 +로 받으면서 공부하는 샘이죠. 대신 회사 다닐때처럼 저축한다거나 돈을 번다거나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2024.07.29
대학원을 학벌보고 가시는 것 같은데 학사랑 다릅니다..
대댓글 7개
2024.07.29
Kentech은 냉정하게 지거국 보다 열악해요
2024.07.29
제가 원하는 분야의 교수님 업적하고 연구실 연구 역량 먼저 봐야 하는거죠? 그런데 그래도 간판이라는 걸 무시할 수 없으니까요..
2024.07.29
석사 취업은 어차피 학부를 위주로 보고 애초에 skp 밑으로는 간판 비교가 무의미해요
2024.07.29
무슨 간판요.. 그냥 학부 입결대로 가십쇼 입만 아프네요
2024.07.29
제가 학사 취업만 생각하다가 오늘 김박사넷 처음 들어와서 아직 모르는 게 많습니다. 많이 배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7.29
대학원도 학벌 어느정도 보고가는게 맞습니다 인프라 , 연구환경 , 동료 , 학회 실적이 차이납니다. 언급되는 SKP IST SSH 위 대학원 아니면 지사립 3점초반 이런사람도 가니까요.. 물론 연구실이 중요하긴 합니다. 제가 글쓴이라면 SKP 평타 ~ 평하타 YK IST 평타~인기랩 정도 컨택해볼것같습니다.
2024.07.29
간판 무시하세요. 제발.. 님 간판은 학부에서 끝났습니다.
2024.07.29
건설환경공학이면 카이스트도 생각해보셈. 경쟁률 진지하게 낮아서 사람들 거르나 궁금할 정도
2024.07.29
환경쪽이면 모르겠는데 토목쪽(구조 지반 수공학)이면 ist에는 딱 괜찮다싶은 랩실이 별로 없던걸로 기억해요.. 서울대 카이스트 고려대 한양대쪽에 괜찮은랩실이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 학부도 괜찮은편이고 학점도 무난한편이니 ist보단 설카고한 쪽으로 써보시는게 어떨까싶네요
대댓글 3개
2024.07.29
감사합니다.
나이는 문제가 안 될까요?
그리고 등록금+생활비는 랩바랩이라고 보면 될까요? 솔직히 월 120정도면 더 필요는 없습니다.
2024.07.29
회사를 다니며 했던 프로젝트나 직무경험을 잘 어필한다면 큰문제는 아니지않을까 생각하지만 그건 교수님이 어떤학생을 선호하시는지에 따라 다르니 면담해봐야 알거같습니다.. 생활비도 랩바랩이라 이것도 면담해봐야 알수있을겁니다. 내년 전기입학을 목표하고 계신다면 하루빨리 컨텍해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인기랩은 이미 자리 다 차버렸을수도 있거든요
2025.02.02
토목은 설카연인데 고 한이 먼저나오네 ㅋㅋ
2024.07.29
ist말고 sp컨택부터 하시죠 저도 ㅈ대입니다
대댓글 1개
허기진 맹자*
2024.07.29
P에는 토목 없습니다
2024.07.29
대차게 까드리겠습니다. 월 200ㅋㅋㅋㅋ 식대지원 없구요 월 100정도면 생존 가능하고 150이상이면 그나마 여유있게 생활해요. 서울대, 카이 건설환경 좋아보이던데 한번 써보셔도 좋을듯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7.29
100정도는 보통 나오는 편인가요?
2024.07.29
켄텍은 제발 ㄴㄴ
2024.07.29
서울대 건환공 자교출신 원생인데요 지금 인건비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랩바랩이긴 하지만 어느정도 자대생 진학률 높은 랩들은 석사 보통 100~150정도, 많게는 100후반대까지 받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학비 포함해서니 그거 제하면 월 50~80언저리로 생활하시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타대출 원생들 학점이나 스펙과 비교해보자면 S,K는 쉽지 않아 보이십니다.
2024.07.29
오래만에 김박사넷 들어왔다가 건설분야 질문이 있어 반가운 마음에 답글 답니다.
건설환경에서 토목 전공은 ist 중에서 unist에만 있습니다. 환경전공은 gist에도 있습니다. gist가 환경쪽으로 꽤 괜찮다고들 하던데, 대학원생 입장에서의 대학원은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
unist쪽에는 꽤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unist는 학부 1학년 때 무전공으로 들어와서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는데, 토목은 인기가 없어서 자대생이 거의 없습니다 (kaist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대학원에 타대생이 많기 때문에 중앙대 정도면 아마 교수님들이 꽤 관심 많이 가지실 거에요.
unist 진학할 생각이 있으시면 각 연구실의 졸업생 아웃풋을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직장 많이 갔는데, 그게 학교 초창기에 교수들 쪼아서 만들어낸 것이기도 해서 지금 대학원 들어가도 같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구조분야 관심있으면 자대 S모 교수님 연구실도 한번 생각해보세요. 학계에서 존경받는 분입니다.
아무리 말해도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우시겠지만, 대학원 연구실은 학교보다 랩바랩입니다. 문제는 진짜 좋은 연구실은 찾아 들어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미 자리가 다 차서 안뽑거나, 다른 사람 뽑거나, 진짜 좋은지 아닌지 알아보기 어렵거나 등등등) 그래서 조금 안전하게 학교 이름값하는 곳 선택해서 가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저라도 서울대 대학원 갈 기회가 생겼는데, 좋은 랩일 것 같아서 unist 가기는 쉽지 않을 것 같아요 ㅎㅎ 그런데 서울대 나와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고, unist 나와서 원하는 곳에 척척 가는 사람도 있고 그렇죠. 물론 기대값은 당연히 서울대 나온게 더 높겠습니다만.
진학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3개
2024.07.29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연구자분의 앞날에도 커다란 성취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실례지만 한 가지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ist 계통은 등록금이 없는 것으로 아는데 월 100~ +a의 연구비는 그냥 랩실마다 천차만별이라고 봐야 할까요? 사실 이걸 서면으로 여쭤보기가 참.. 어렵더라구요. 실례가 안되게끔 알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또 제가 복수전공이 발전에너지공학이라 그쪽으로도 생각이 있습니다.
구조보다도 지반이나 토질, 암반공학을 희망합니다. 아무튼 감사드리고 더운 여름 건강하십시오
2024.07.29
사실 저는 네임밸류보다도 생활비가 100 이상이 나오느냐..가 상당히 중요합니다.(네임벨류는 다운그레이드만 안되면 되구요).
집안으로부터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2024.07.29
unist에서 지반공학 교수님 한분 있는데, 교수님 성격 좋아서 연구실 학생들도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에너지쪽 연구는 아니었던 것 같은데, 제가 다 아는 것은 아니라서요... 그 랩실에서 인건비는 얼마나 주는지 정확히는 모릅니다만, unist는 등록금이 없고 학교에서 지원해주는 것도 있어서 대체로 인건비는 넉넉히 받습니다. 겨우 100만원도 안주는 랩은 없었던거 같지만 그래도 확인이 필요하겠죠?
한번 컨택해보시고, 울산 가서 면담도 해보고 연구실 대학원생들도 만나보고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인건비 얘기도 나오지 않을까요? 아니면 면담 후에, 너무 오고 싶은데 집 사정이 어려워서 부모님 지원은 없는게 걱정이다 정도로 이야기하시면 교수님이 뭐라고 이야기하실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 돈 얘기 꺼내기 힘들지만, 어디까지나 말 꺼낼 때의 태도가 중요한게 아닐까 해요. 어떤 교수님들은 먼저 인건비 얼마다 라고 먼저 얘기해주시기도 합니다.
2024.07.29
대댓글 6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30
2024.07.29
대댓글 7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대댓글 3개
2024.07.29
2024.07.29
2025.02.02
2024.07.29
대댓글 1개
2024.07.29
2024.07.29
대댓글 1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대댓글 3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