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가 보기엔 떠먹여주신거 같은데요 ㅠ
NeurIPS 도전기 (feat. 지도교수님)
15 - 일기는 일기장에.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4 - 꼭 오래잇다고 열심히 한거고 잘한것도 아님
루틴을 짜서 건강하고 지속가능성있는 연구를 하세요
오래잇으면 매너리즘만생김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5 - 대학원 처우는 아쉽게도 나혼자 열심히한다고 개선되진않습니다
장학금 풀은 학바학 과바과 랩바랩 차이가 심하고
지거국 과는 다른 사립대환경
학생수가 과제수비해 많은 랩실환경
과제비 타먹기 좋지않은 연구주제 풀 등
현실적으로 교수역량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더 치열하게 고민하고 도전해야하는 것이 박사과정입니다
박사과정나온다고 무조건 돈을 버는 시대도 아니고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5 - [열심히 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빼고 다 맞는 말이네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8 - 대학원생 때 뿐만 아니라 해외포닥 때도 새벽 6시반 출근.
석사때부터 취미는 다 없애고 연구실-집 만. 바쁠 때나 연구 삘이 빡 올 때 아니고는 잠은 내일 지장 없을정도로 자지만, 그 외 시간은 다 연구.
걸을 때나 샤워할 때나 연구 주제나 흐름 생각.
생각보다 연구실에 앉아 있는 시간은 중요하지 않음.
실적은 분야마다 정량적인 수치가 너무 달라서 말하기 어렵고, 그냥 연구실 내 실적/퍼포먼스 top 유지하면 됨.
교수님이 어디가서나 연구실 누가 제일 잘해요? 하면 이름 나올 수 있는 정도.
연구실에서 독보적 에이스가 되면 교수님도 눈치, 대우 해줌. 딴 학생에 비교해서. 그렇게만 하면 원하는 곳 갈 수 있게 될꺼임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7 - 항상 가능성 이란것은 존재하지만
현재 학부에서 SP 대학원이 쉽지 않은걸로 아는데...
너무 김칫국 부터 마시는건 아닌지요...
포공은 대학원 위주의 문화인가요?
13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15 - 누가보면 포닥마치신줄 알겠어요 ㅋㅋㅋㅋㅋㅋ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17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5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8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4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2
신임교수 뽑는게 점점 미국처럼 변할 듯
2025.03.21

이런 흐름이 없던 시절에도 미국에선 교수 지원자가 K99/R00 가지고있으면 (교수가 되어서도 과제를 이어서 수행하는 과제, 한국으로 비유하자면 세종펠로우같은) 이미 사실상 검증된 지원자라는 인식이 있어서 교수가 되기 수월한데
한국은 아무리 논문실적이 좋아도 괜찮은 과제를 따는 것 자체부터 헬난이도 + 과제지원수가 절대적으로 적어져서 점점 더 어려워지는 현실임. 그리고 교원을 뽑을 때, 정말 다양한 요소들을 보고 판단하겠지만 당장 뽑힌 후 정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 같음.
왜냐하면 사실상 미국처럼 세팅비용을 넉넉하게 주거나, 어니면 협상을 하는 구조가 아니기에, 교수가 되어서 세팅을 하려면 당장 학생들을 뽑아야하는데, 그럴만한 돈이 충분하지 않으면 1-2명으로 2년동안 버텨야하는데.. 이게 학과차원에서도 큰 데미지로 돌아올 수 있음.
지원자도 임용 후 개인과제를 따는게 제일 중요한데. 이게 불분명해졌으니 이미 개인과제가 있는 타대학 교수를 뽑거나. 혹은 5년짜리 세종을 가자고 있는 포닥을 뽑는게 합리적인 선택이 될 듯. 점점 더 미국처럼 바뀌지 않을까싶네요.
-
152 50 58800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04 33 24211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9 10 7201
베스트 최신 글
- 대학원 서류 탈락 후 연락
4232 - 이런 교수님 밑에서 석사마치면 연구쪽으로 취업이 가능할까요?
3233 - 포공은 대학원 위주의 문화인가요?
2917 - 컨택 메일 답변 거절 당했어요 ㅜㅜ
4533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6504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5889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3096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0355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8539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12107
베스트 최신 글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575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8137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3629 - 대학원 인간 관계...
4070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3641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8245 - 신임교수님: 미국학석->한국박사 vs 한국학사 -> 미국석박포닥
3096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1169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4394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470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06 - 지난 10년간 국제 심리학계를 뒤흔든 재현위기 (reproductibility crisis) 요약 (1편)
281 -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3
49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77 - 랩장인데 지혜가 필요합니다..
12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42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4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6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63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29 - NeurIPS 도전기 (feat. 지도교수님)
9 - 오늘 카이면접자 모두 화이팅!
12 - 교수가 학생들에게 돈 적게 받고 연구하는걸 강요할 수 있을까?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2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2 - 31살 물리학과 대학원 진학
16 - 포공은 대학원 위주의 문화인가요?
12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9 - 요즘 CS 연구에 관해서
9 - 카이 전산 면접
13 - 카이 전전 면접 다들 잘보셨나요?
11 - 지금 상황에서 박사 졸업을 하는 게 맞을까요?
19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17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0
2025.03.21
2025.03.21
2025.03.21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