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 대학원유학시 한국 학부 학벌을 보나요?

2023.06.14

20

1937

전 당연히 보는 줄 알았는데
https://youtu.be/hggUgSyN45M
이런거보니까 안본다는 분도 계시고.
뭐가 맞는지를 모르겠네요.
설카포정도는 알고 그아래대학은
잘 모른다 (YK이하는 똑같이본다)
란 소리도있고..
미국 대학원 유학시
설카포 중상 학점은
연고이하 최상학점이랑 비슷하게 평가하는건가요?
(즉 학벌로 학점난이도 고려해서 차등두는)
아니면 학점은 블라인드제로 학교무관하게 평가하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06.14

저는 직접 조텍 재료과교수랑 인터뷰하면서 들은건데요, 이것도 학교마다 다 차이가 있는거니 천편일률적인건 아닙니다. 학교마다, 학과마다 다릅니다.
일단 커미티 보는요소가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1)학벌 2) 학점 3)연구실적(혹은 교수와의 연구핏)
한국지원자의 경우는, 설카말고 모르고 (실제로 입으로 말한게 서울대 카이스트 요렇게 두개 언급하심) 나머지 잘모르는 학교의경우 그 학과내의 한국인교수한테 이학교괜찮냐고 물어본다고합니다....만 별로 설카말고는 특별하게 장점이되고 이런건 없는거 같습니다. 대충 서울대카이스트느낌이 미국의 U of ~~~ 같은 플래그십 주립대 느낌 이미지로 봅니다. 아 공부깨나 했네... 요정도. 아무래도 IIT나 칭화대, 북경대 도쿄대 이런대 더쳐주겠죠 아시안 지원자들은... 그리고 학벌이 안좋으면 학점으로는 커버가 은근이 됩니다만.. 이것도 과탑정도 되야 한번 눈길더주는거같구요.

대댓글 5개

2023.06.14

고려대 재학중인데, 서울대를 가기 위해 다시 수능치면 (성공한다는 전제하에) 유학에 있어서 더 유리한 부분이 많이 생기는건가요? SK라인으로 가면 학점따는거는 더 힘들어지니 유학부분만을 생각하면 이건 메리트가 별로 크지 않은건가요?
그냥 자교내에서 학점 확실히 높게 받는게 나을련지.. (유학가신 선배분 말 들어보니, 전공학점 올A+받으셨었는데 학점교류로 카이스트가셨을때는 전부 A0받으셨더라고요)

2023.06.14

그냥 중위권인서울에서 서울대 가면 모르겠는데 고려대에서서울대면 급간차이도 별로안나는데 굳이 할필요가있을까요? 그리고 강화실패리스크도 있고... 단지 박사잘가려고 재수하는건 비추입니다.. 당장봐도고려대에서 스탠퍼드 칼텍 mit가신분들 많지 않나요? 학벌이 심사요소 중 하나가 되는거지 그것만 보는건 아니여서요. 제가 뭐 sky출신은 아니라 조심스럽긴한데 서울대나 고려대나 학점따기 빡센건 비슷하지않을까요.. 요즘서울대 그리고 학점인플레심해서 A40퍼센트나 준다던데... 그냥 학점 열심히챙기면서 학부연구생이나 석사해서 1저자논문 몇개쓰고 지원해보는거 추천드립니다..

2023.06.14

딱 학벌로만 봣을때 서울대가 유리한건 맞는데요. 학부4년(+혹은 추가로 석사2년까지) 동안 그 학벌차이 뒤집을기회가 수십수백번은 있습니다. 전 수도권대학출신인데 조텍으로 박사과정가는데요... 학점도 3.8/4.5였는데,, 석사2년동안 연구 개같이해서 그걸로 다커버치고갔습니다

2023.06.14

의견 감사합니다. 근데 저의경우는 수학과라서 논문으로 어필은 좀 어려울것같아요

2023.06.14

이글 정확하고요. 대학원 유학 생각하시면 편입 이런거보다는 그냥 학점 잘받아서 수차석 하고 연구실 인턴 한달이라도 더하는게 좋습니다.
무엇보다 좋은건 지금 학생들 잘 챙기는 교수님한테 가서 귀여운척 잘하시면 조언 받고 케어 받는대로 하면 가고싶은 수준 갈 수 있어요.

2023.06.15

음 일단 서포카정도면 미국대학에 재학생이 더 있을확률이 높고 한번쯤은 들어봣을수도있어서 조금 도움되겟지만 대체적으로는 연고나 다른 학교들에 비해서 크게 유리한지는 모르겟네요.
많은 프로그램 커미티에선 아마 그 분야 탑대학 (UC계열, 미시간, 텍사스, 일리노이등등 탑주립 포함) + 전체적으로 탑대학 (HYPSMC + 아이비 + 아이비플러스 + 준아이비)가 유리하고 그 다음으로 다른 상위권 미국 대학 (T50 Usnews)을 본다음 다른나라 탑대학 (서포카, 도쿄, 교토, 베이징, NUS)을 고려할거같아서 서포카 vs. 연고대는 무의미하고 오히려 학점, SOP, 논문, 추천서 등등에 집중하는게 좋을거같습니다. 미국 상위권 대학 편입해서 대가랩에 들어간다 이런게 아닌이상 서포카 vs. 연고 학벌 의미 없을듯요.
당당한 마키아벨리*

2023.06.15

당연한거 아닌가요. s>pk>yk 차등 둡니다. 현실적으로 서울대 수석이랑 고려대 수석이랑 같게 취급하면 그게 더 이상하죠. 수학과시라면 논문이 없으니까 더욱 심할겁니다.

대댓글 5개

2023.06.15

무슨 국내 기업도 아니고 일반적으로 미국 탑대학에서 그런식으로 줄 세우기 차등 두는건 안할겁니다...
당당한 마키아벨리*

2023.06.15

해요. 한국은 미국에 세계에서 4번째로 유학을 많이 보내는 나라입니다. 커미티에서 허구한날 보는게 한국인 지원자에요. 학생 잘못 뽑아놓으면 1년에 1억씩 하는 tuition, stipend 날리는 셈인데 매우 심혈을 기울여서 뽑습니다. 아까 말한 것처럼 수학과는 컨택도 없고, 다 같이 논문이 없기 때문에 학부, 학점, IMO 수상경력 이런것만 봅니다. 물론 학부때 단독 1저자 논문 썼거나 미국/유럽 대가들한테 추천서 받은 천재들은 예외고요.

2023.06.15

그럼 설카포라인 중상학점 (3.9/4.3정도) 는
Yk이하 4.4/4.5 정도랑 비슷하게 취급하는건가요? 제가 듣기로는 서울대에서 유학 가는 경우를 보면 아주잘하는 탑급 학생들이 추천서받아서가고 중상정도 되는 학생들은 자대대학원 진학한다고 들어서, 유학면에서는 아주압도적으로 잘하지 않는다면 아래대학에서 학점 최상으로받는게 더 유학에 유리한건지..
당당한 마키아벨리*

2023.06.16

학벌도 중요하지만 학점이 약간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 yk 4.4/4.5 정도면 왠만한 spk 상위권보다 나은것 같습니다. 수석인지 아닌지도 나름 중요합니다. 고해커스 가보시면 y 4.29/4.3으로 top5 뚫으신분 있습니다 (응용수학) 물론 유학 난이도는 해마다 변동이 심한거 감안하시고..
당당한 마키아벨리*

2023.06.16

그리고 첨부하신 영상은 공대 어드미션 관련이므로 수학과 어드미션과는 다소 괴리가 있으니 별 도움 안될겁니다.

2023.06.15

차등이 있듯 없든 큰 의미 없고여, 연구실적과 추천서가 제일 중요합니다. 그게 없으면 학벌이랑 학점이라도 좋아야된다는건데 그 때가 이미 불리한 상황이죠

2023.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수학과면 거기선 희망 없습니다 서울대에서도 엄청 어려운 게 수학과인데 거기서 유학간 사람이 제대로 있나요? 아 다이렉트 박사 말한거고 석사를 skp에서 하면 될 수도 있습니다

근데 솔직히.. 고려대 수학과 간 학생이 서울대 가면 잘 따라가실 수 있을지는.. 수통이 서울대에서 젤 공부 잘 하는 학교이고 카이랑도 비교 안 되는 풀인데 가능하시겠어요? 거기 가면 영재고 상위권들 과고 최상위권들 발에 채이는 거 아시죠?

대댓글 3개

2023.06.15

잡대 문과출신에 정치판 기웃거리다가 늦은나이에 수학 시작해서 필즈상 받은 사람도 있는데 님이 그 사람보다 권위가 잇는지?
당당한 마키아벨리*

2023.06.16

솔직히 이 말이 맞는게.. 서울대 수리과학부는 전국 영재고, 과고 내신 전교권에 IMO 금메달리스트들이 득실한 곳이라 학업 (문제 풀이) 능력만 보면 세계급 입니다. 거기서 아무리 잘해도 한 손에 꼽을 정도 빼고는 top20도 가기가 힘듭니다. 차라리 유학 잘가려면 pk가서 과탑하는게 나을수도..

2023.06.16

그래서 서울대 수학과 아웃풋이 어떻게 되나요? 인풋도 평균이던 최상위10프로건 하위 10프로건 다 잡 의대가 개쳐바를텐데

2023.06.17

서울대 카이스트 정도는 아는 교수들 있어요. 나머진 그냥 한국 대학교 정도로 아는듯.

2023.06.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it harvard stanford 같은 초 탑스쿨은 한국 학벌에 대한 이해도가 좀 높습니다. 왜냐하면 legacy 같이 선배들이 얼마나 여기와서 잘해왔느냐... 이런 기록이 계속 연결되는.. 이런학교들은 한국 유학생 자체를 많이 뽑질 않습니다.. 그래서 한국학벌이나 선후배 레가시까지 따지는 겁니다.
그 외에는 케바케이고..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인도 iit 가 분교도 많고 좋은 학교임에도.. 중국 후단대정도면 서울대보다 세계랭크가 거의 모든 곳에서 높지만..한국에서 wow 그럴까요..
미국도 마찬가지 입니다. 한류니 뭐니 국뽕 차오르는 건 착각이고.. 대학원 뽑을 때야 한국 명문대 죄금은 인식한다쳐도.. 학위받고 미국사회에 진출할 때는 서울대 카이스트 이딴 거 제로에서 시작하고 최종 미국 학벌만 봅니다 ㅋㅋ
다만.. 거기 한인유학생 교포사회 같은 걸 통해서 뭘할 때는 서울대 연고대 등 이익이 있습니다. 카이스트 포대 이런거 보다 무조건 분량 (퀀티티) 개념이라 졸업생 숫자 많은 쪽이 절대 유리합니다 한인 사회에서는요..
한인사회 그래봤자 미국에서 정말 힘도 없고 미미합니다 언론에서 거창하게 그래도 완전 마이너입니다.. 그래서 서울대건 뭐건 미국에서 살 때는 필요치 않은 개념입니다. 인도공대 출신을 한국에서 어떻게 다루는가.. 역지사지..
미국에서 한국에 대한 개념이 제일 좋은것은.. 한국의 명문대 이딴게 아니라.. 한국은 잘 살게 되어서 돈 들고 유학온다.. 돈 많다. 론 안받는다. 외화수입이나 학교재정 유지에 도움된다.. 이런 측면에서 이해도가 정말 높습니다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