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분 학점이면 학점으로 손해볼일은 없을겁니다. 어디까지나 체감이지만 4.0만점 기준으로 3.7~3.8 정도면 큰 문제 없는듯 느낍니다만 그냥 지금 학점 유지하겠다라는 생각가지시면 될듯합니다.
2025.07.01
무조건 탑스쿨은 인맥(추천서) 실적. 학점 좋아봤자 크게어필안됨. 교환학생, 고대 교수 인맥 등 적극적으로 활용.
대댓글 2개
2025.07.01
Ai는 석사하면서 논문 좋은거 쓰면 그냥 그걸로도 갈수있음 나듀 글케왔지만 확률은 높지않다고봄
2025.07.01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천서 3장으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 자교 학부인턴생으로 하나, 교환학생가서 두 장정도로 생각하면 될까요? 그러면 추천서는 어느 정도 레벨로 받아야 할까요?
2025.07.01
위에 댓글 다 동의하고 실적, 인맥 (추천서) 이 둘이 최우선임. 미박 가고 싶으면 무조건 교환학생 가거나 고대 교수 통하거나 스스로 개척하거나 하서 인맥 만들어놓으세요.
2025.07.02
AI 미박은 요즘 탑컨퍼 1저자 논문 하나는 기본으로 깔고 지원하는 시대라... 학부때 인턴으로 하나 이상 쓰거나 석사로 두세개 정도 써서 들어오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에요
2025.07.03
코로나 학점인플레 이후로 교수들이 학점 평가 비중을 많이 낮춤…
2025.07.04
윗분들 말대로 일반적으로 가장 경쟁력있는건 좋은추천서+연구경험(실적) 일겁니다. 하지만 연구실적을 갖고오는게 쉽지만은 않다보니, 의외로 좀더 수월한 길은 교환학생등이나 파견연구원 같은거 하면서 어떻게든 특정연구실에서 연구실생활 짧게라도하고 추천서받아오는겁니다. 하지만 미국교수들의 경우 추천서를 남발하지 않는경우도 많으니, 남은시간을 어떻게 배분할지 잘 고민해보세요
2025.07.13
추천서 보단 연구 실적입니다. 추천서는 제한적이구요.. 탑컨퍼 1저자로 2편 이상에 좋은 성적 (텁컨퍼가 성적보단 중요)를 기본적으로 맞춰 놓고서 지원하는게 좋으실듯합니다.
2025.07.01
대댓글 2개
2025.07.01
2025.07.01
2025.07.01
대댓글 2개
2025.07.01
2025.07.01
2025.07.01
2025.07.02
2025.07.03
2025.07.04
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