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안녕하세요 spk 2학년 학부생 카네기 멜론 석사 질문 드립니다

2025.04.22

13

1349

답변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4.22

미국에서 터미널 석사는 펀딩이 없기 때문에 유학생들 취업용으로 취급되며 대학들 돈줄 캐시카우라서 웬만하면 합격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자님이 1년에 1억하는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냐 입니다.

2025.04.22

위엣분 말씀은 요즘 부정확해요. CMU면 빡세서 GPA는 기본이고 연구실적이 무조건 있어야됩니다 (아님 추천서가 쩔거나). 주변 봤을때 컴공이면 최소 탑티어 학회 페이퍼 (1저자) 한개나 공저자 여러개 있어야지 안전한거같네요.

대댓글 2개

2025.04.22

혹시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는 GPA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4.3만점입니다 ㅠㅠ

2025.04.22

GPA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기본은 4.0에 3.7정도겠죠. 나머지는 밑에분이 말씀 잘해놓으신거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2025.04.22

이게 T10 안쪽에서 1곳이라도 붙는거랑, 꼭 OO학교 OO 랩실을 가야겠다는 것은 난이도가 너무 극적으로 차이가 납니다. T10에서 거의 모든 학교에서 합격할 정도가 되어야지 + 천운이 따라야 원하는 랩실을 가실수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연구실적, GPA, 영어성적, 추천서 (왠만하면 미국 대가) 가 고루 중요합니다. 지금부터라도 GPA 및 영어성적 챙기시구요. 연구실적은 지금 말씀으로 추측하건데 계속 꾸준히 하시면 어느정도 나오실것 같네요. 문제는 추천서인데 저는 개인적으로 1년 정도 해외 교환학생이나 아니면 원격 인턴 추천 드립니다 (저라면 조지아텍 박사분 커넥션을 좀 이용해 볼 것 같습니다.)

경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됩니다. 물론 잘 풀려서 RA나 TA잡고 학교돈으로 생활하는 분들도 있으나 자비로 생활하는 사람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 부분도 잘 생각해 보세요.

마지막으로 시야를 좀 넓게 보세요. 아마도 CMU뿐만 아니라 다른 탑스쿨이나 대형 주립대에서도 인상깊은 연구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랩서칭이나 학회 다니면서 어느 분이 대가인지 파악해 보세요. 학계라는 곳이 공부하고 연구하는게 다가 아닙니다.

대댓글 3개

2025.04.22

덕분에 조금 더 넓은 시야를 가져보려고 노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평소 존경하시는 선배님께서 CMU로 가시고, 연구 분야도 저랑 겹쳐서 CMU 아니면 안된다 이런 생각이었던 것 같네요..ㅠ

2025.06.05

안녕하세요, 지나가다 인상깊은 말씀 보고 댓글 남깁니다. 전 학계는 공부와 연구로 굴러가는 곳이라 생각했는데, 그 외에 뭐가 있는지 못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알려주실 수 있나요?

2025.06.05

네 아쉽지만 공부와 연구가 다가 아닙니다. 여기서 공부와 연구는 책상에 앉아서 논문 읽고 아이디어 짜고 실험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연구를 어떤 방향으로 해야하는가? 또 어떤게 좀 더 현재 필요로 되는 연구인가?는 굉장히 중요한 퀘스천입니다. 여기서 흔히 말하는 커넥션이 굉장히 중요해 집니다. 학회에 가서 다른 사람과 토론하고 관계를 쌓아나가다 보면 지금 분야에서 제일 핫한 문제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런식으로 연구를 해나가는 것이 사실 굉장히 중요합니다.

특히 미국학계는 이러한 인맥의 중요성을 잘 알고 또 잘 활용합니다. 그래서 미국 박사나 포닥은 교수 본인이 알고 있는 네트워크 안에 있는 사람을 채용하려는 것이구요. 그런 문맥에서 학생에게 교환학생이나 인턴을 추천하는 것 입니다.

저도 예전에 미국박사에 다른 지원자에 비해 월등하게 많은 주저자 논문을 가지고 지원하였습니다만 결국에는 커넥션이 형성된 곳에서만 어드미션을 받을 수 있었어서 이러한 경험에서 말씀드린겁니다.

저도 논문 많이 쓰고 상 많이 받고 학점 좋으면 학자로써 무조건 좋은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근데 그게 다가 아니더군요.

2025.04.22

아니 근데 GPA 낮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요 진짜 중요한 건 본인 분야에서의 연구경험이랑 실적인데 이미 충분히 탄탄한 거 같은데요?
대신 최소한의 GPA 컷은 넘겨야 하니까 그것만 좀 신경 써주면 될 듯..

2025.04.22

고등학생 마인드를 좀 버리는 게 좋을듯

대댓글 1개

2025.04.22

실력은 엄청 좋은데 예전처럼 서울대 가야겠다 뭐 이런거 아니잖음 조지아텍도 엄청 좋은 곳이고. 티오리 대표 보면서 꿈을 키운건가요

2025.04.27

부럽네요.. 저는 인서울 중위권 대학 다니는 3학년인데 ctf는 그냥저냥 정도이고
연구 경험은 sci q1 1편 내는중이고
다른 수상 경력 몇개 빼고
저는 학점이 진짜 박살 수준이라 (2점대) 그래도 미박 가고 싶네요

2025.04.30

가끔 김박사넷 유저분들이 글 적어놓으신거 보면 도대체 어디서 어떤 정보를 통해 글을 적으시는걸까 싶을 때가 많습니다.

1) 석사생은 캐쉬카우이다?
맞긴합니다. 석사생은 박사보다 합격률이 유의미하게 높긴 합니다. 그렇다고 아무나 받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연구로 성과를 낼 충분한 잠재력을 지닌 후보자를 뽑습니다. 생각보다 들어가기 쉽지는 않아요.

2) 합격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학점 높고 하면 나쁠 건 없겠지만, 연구할 사람을 뽑는 과정이라는 걸 인지해주세요. 당연히 연구 실적, 연구 fit 이 가장 중요합니다. 연구 실적보다도 연구 fit 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해당 연구실에서 연구를 수행할 스킬 셋을 잘 고루 갖춘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것들보다 일단 가고 싶다고 하신 연구실에 티오가 있는지 부터 알아보셔요. 실력 좋으셔도 티오 없으면 못들어갑니다.

잘 준비하시면 좋은 결과 있으시리라 봅니다! 화이팅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