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두 대학원의 AI분야는 아무리 논문 실적이 좋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나 열정이 보여도, 설카포 summa cum laude 아니면 어렵겠죠? 다른 분야 (기계공학 등)는 저거보다 스펙이 낮아도 가는 경우를 봤지만 AI는 정말 경쟁이 빡센거 같아서요
사실 중경외시 학부 이하에서 탑스쿨 "AI"대힉원 간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자공학과 처럼 다른 분야는 중경외시도 탑스쿨 잘 가는 사람들 많던데 AI는 한명도 못봤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2.18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대댓글 3개
2025.02.18
와 정말 우문현답이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ㅠ 실적으로 최대한 극복하도록 노력해봐야겠어요
2025.02.18
네 용기 가지세요. 그리고 Summa Cum Laude에 대한 걱정을 하시는 걸 보면 아직 학부생이신 것 같은데,
비록 Ph.D 유학에서는 연구실적과 추천서가 1순위이긴 하지만, 유학 외의 Plan.B까지 염두하고 계신다면 GPA를 잘 받으셔야 하는건 사실입니다.
로스쿨, 치전원, 1~2년 단기 석사 과정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학부GPA가 중요하게 작용하니, 학점 버리지 말고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2025.02.19
gpu가 없는게 문제...
2025.02.18
여기서 누가 안된다고 하면 지원 안할거에요? 그냥 지원해보고 안되면 안되는거고 되면 좋은거죠 ㅋㅋ
얌전한 칼 세이건*
2025.02.19
한국학벌 안중요합니다. 연구실적 가져가세요
2025.02.19
미국 탑대학에서는 설카포니 뭐니 신경도 안씁니다 학점 연구실적으로 수준급이라는걸 증명해야해요
2025.03.09
연구실적? 사실 대부분 저정도 대학원 합격하시는 분들은 연구실적은 이미 일정 bar를 넘은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 거기가 몇편 더 쓴다고 강력한 지원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저는 진심으로 미국 탑스쿨 박사 어드미션은 대가 or 미국교수로부터의 추천서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2025.02.18
대댓글 3개
2025.02.18
2025.02.18
2025.02.19
2025.02.18
2025.02.19
2025.02.19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