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박사에 대해서 마음편하게 물어보세요.

2024.12.16

49

5088

석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박사에 대해서만 말씀해주시면 정성스레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9개

2024.12.16

분야가 어떻게 되시나요?

대댓글 1개

2024.12.17

생물 공학쪽입니다

2024.12.17

stipend로 생활하는데 큰 무리 없으신가요!.. 물론 여러 선배님들께서 대부분 괜찮다고 하셨지만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ㅎㅎ..

대댓글 1개

2024.12.17

혼자 살고 통학용으로 차도 유지해야해서, 부모님께 매년 500정도 도움을 받습니다. 이번에 렌트비가 많이 올라서 좀 더 저렴한 곳으로 옮기랴합니다

2024.12.17

코스웍은 어떠셨나요??

대댓글 1개

2024.12.17

올해 끝났는데 코스웍하면서 연구하는게 너무 힘들었어요… 그사이에 퀄도 있어서 그냥 주금..

2024.12.17

바쁜 박사과정이신데 왜 아직도 게시판에 기웃거리시나요? 궁금합니다. 거기가면 많이 외로운지

대댓글 4개

2024.12.17

고생하는 후배들 도와주고 싶을수도 있지 꼬였노

2024.12.18

이제 코스웍도 끝났고, 미국 분위기상 12월 중순부터는 연구실도 다들 잘 안나오고 쉬는 분위기라서, 이참에 미국박사에 대해 물어보기
힘든 것들 알려주고 싶어서요. 제가 준비할때는 이런 건 없어서서 혼자 알아보고 시간을 많이 썼어요. 그걸 조금이나마 줄여주고 싶어서요.

외로운건 타지에서 5-6년 이상 있게되면 어쩔수없는거같아요

2024.12.18

바쁜 조교수도 심심하면 김박사넷이나 하브넷 기웃거리는데 이건 뭔..

2024.12.31

부러워서 꼬였네. 찬믈 뿌리는 거 보니 인생 잘 풀리기 힘들겠어요. 이런 정신 상태면 인생 안풀림

2024.12.17

어디 학교신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2.18

주립대입니다!

2024.12.17

생활에 대해서가 궁금합니다. 미국물가가 비싸다고 들었는데 돈이 많이 궁하지는 않은지(대학원생이면 몸 이곳저곳이 아플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의료보험도 없는 곳에서 돈이 많이 부족하진 않은지), 인종차별은 없는지, 미국은 교수의 갑질이 없는지 등이요. 또 총기때문에 두려움을 많이 느끼지는 않는지, 한국음식이 그립지는 않은지 그런것들이 궁금합니다.
(초면에 질문 너무 많이해서 죄송합니다...)

대댓글 3개

2024.12.18

저도 미국 석박MBA 까지 다 마쳣는데. 사는 주에 따라 stipend 가 넉넉할수도 있고 대도시일 경우 부족할수도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저는 거의 매일 저녁 온라인으로 과외 햇고요. 박사의 기본이 자기 연구 묵고 살길 찾아가는겁니다. 인종차별이야 항상 잇지만 박사 포닥이 거의다 외국인이라 거의 못느낍니다. 교수 랑 마찰은 있을순 있지만 한국에서 의미하는 갑질은 없다고 보고요. 교수님에 따라 지도와 가르침이 부족할수도 있습니다. 교수는 펀딩 따온다고 바쁘고. 멀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왜하는지 다 본인 몫입니다. 총기... 한국에서 처럼 나대고 소리지르고 경찰한테 덤비지 않으면 복불복으로 생각해야죠. 한국음식도시에 따라 한국 식당 한국 마켓 다 있습니다

2024.12.18

일단 밑에 댓글 다신 분 말씀처럼 주마다 다른데, 혼자살면서 차량 유지까지 해야한다면 돈이 궁할 수 밖에 없는거같아요. 룸메를 구해서+차량 유지를 하거나, 차없이 혼자살면, 돈이 엄청 궁하지는 않아요.

의료보험은 대부분 학교에서 학생보험을 해주기때문에, 학생보험이 생각보다 괜찮아요. 그리고 미국에 와서 몸이 아픈 것보다 한국에서 아픈게 더 압도적으로 많았던거같아요. 미국에서는 조금이라고 컨디션 안좋으면 말씀드리고 집에서 푹쉬거든요…

인종차별은 당연히 없다고 할 수는 없어요. 자연스레 모르게 인종차별하는 경우도 종종있고요. 교수의 갑질은 한국에 비해 적습니다. 없다고는 말 못하겠는데, 적어도 한국보다는 훨씬더 좋은거같아요.

총기는 지역마다 다른데, 저녁에만 잘 안돌아다니면 괜찮아요. 한국음식은 hmart나 아시안마켓같은데 가면 한국하고 차이는 거의 없어요 가격이 조금더 비쌀뿐이지 그냥 한국 이마트 수준입니다 특히 hmart 경우는요.

2024.12.18

hmart가 있다는것부터가 꽤나 시골은 아니라는것.. (퍼듀제외)

2024.12.18

혹시 컨택은 어떻게하셨고 컨택할 연구실은 어떻게 찾으셨나요?

대댓글 2개

2024.12.18

일단 연구 관심분야나 경력이 있는 쪽 저널에서 코레스판딩 아떠 구글 찾아보면 이메일 나옵니다. 이메일 보내시고요 한번 보내면 대답 안와요. 그다음날 또보내고 그다음다음날 또보내고 자기소개서 한페이지 써서 박사학생 구하냐고 코레스 판딩 아떠 10명한테 미친듯이 보내고 리마인더 보내면 한명은 답 줄껍니다. 그다음은 개인 능력이죠

2024.12.18

저는 컨퍼런스 참여해서 관심있는 교수님께 컨택을 진행했습니다

2024.12.18

한국에서 석사까지 마무리 하시고 박사를 미국으로 진학하신건가요?

대댓글 7개

2024.12.19

2024.12.19

저도 미국 박사를 계획하고 있어 질문 몇가지 드립니다!

1. 그럼 미국 박사 지원 하실 때 학부 성적이 좋으셨나요?
2. 석사 학위 기간 동안 논문이 있으셨나요?
저는 아직 석사 재학 중인데 논문이 있어야 미국 박사를 지원할 수 있을거 같아서요,,
3. GRE는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2024.12.19

1. 학부성적이 엄청 좋다긴보단, 4.0만점에 3.5정도 되었습니다.

2.석사학위동안 논문을 낮은 IF이더라도 최대한 내볼려고 했어서. 논문은 있습니다

3. 지알이는 처음에 한달정도 학원가서 자료만 받아놓고 3개월정도 독학했습니다. 근데 그렇게 높지 않았어요. 149/167/3.0정도…

2024.12.19

답변감사합니다!
논문은 1저자 논문이었나요?
몇 편 있으셨을까요??!

2024.12.20

1저자 3편이였습니다 물론 IF가 5미만이였어요

2024.12.22

대단하십니다.3편이라니
그러면 교수님께 컨택할 때
교수님 이메일로 컨택 메일을 보내고 답변이 오고 나서 학교 입학 준비를 하신건가요?

2025.01.05

아뇨 지원하고 컨택했습니당

2024.12.18

저는 ai쪽으로 미박을 지원하려고 하는데 현재 석사 입학예정입니다. 혹시 미박가서 퀄은 어느정도 시점에서 보는지가 궁금하고 보통 졸업은 몇년정도 걸리는지가 궁금해요..! (석사를 한국에서 하고 갔을때 기준으로요)

대댓글 1개

2024.12.19

퀄은 학교마다 다르고 과마다 정말 다릅니다. 어느 곳은 석사학위가 있으면 1년안에 봐야하는곳도 있고, 또 다른곳은 2년안에 봐야하는곳도 있어요.

보통 졸업은 석사가 있으면 4년도 가능하고, 보통은 5년입니다

2024.12.19

어떻게보면 당연한 소리겠지만.. 영어는 어느정도로 잘해야 하나요? 준비해야하는 시험이나 커트라인 컷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리고 박사과정생으로 갈 때랑 포닥이나 연구원으로 갈 때랑 기준이 다른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학위하는 학생들은 실험 스킬이나 실험
디자인 등등에서 확실히 수준이 높나요?

대댓글 1개

2024.12.19

공학계열에서는 영어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것같습니다. 유학을 한번도 안가보고 해외여행도 성인되서 한번간게 전부인데, 데이터로 설명할정도면 충분한 것 같습니다.

공학계열 기준 토플은 100점, 아이엘츠 7.0정도면 웬만한 곳은 지원이 다 가능합니다.

포닥, 연구원으로는 영어점수가 필요가 없어서 실적으로 뽑습니다.

미국에서 학위하는 학생들은 경험으로 보아, 수준이 정말 낮습니다. 단 적응하는게 빨라요

2024.12.19

바쁘실텐데 이렇게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주변에 유학을 간 선배님이나 지인이 없어 미국 박사 유학에 대한 정보가 적어서 몇 가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1. 만약 제가 유학을 가게 된다면 빠르면 30, 늦으면 31살에 가게 되는데, 이런 케이스가 주변에 꽤 있으신가요?? 졸업을 하면 35~36살 즈음일 것 같은데 너무 늦은 나이에 졸업하게 되는 게 아닌가 고민이 많네요
2. 미국 박사를 결심하신 계기를 여쭤봐도 될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1번째 이유와 외로움이라는 두 가지 이유가 미국 박사 유학을 두렵게 하는 것 같은데, 어떤 동기부여가 미국 박사를 결심하게 되신지 궁금합니다.
3. 미국도 진리의 연구실 바이 연구실이겠지만, 대체로 분위기가 어떤가요?? 미국에서 뛰어난 사람들과 열정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환상이 있어서 미국 유학이라는 선택지를 고민중인데, 실상이 어떠한지 잘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4.12.19

1. 제주변엔 애기데리고 40넘어서 오신분들도 계세요! 저도 30가까이에 지원해서 붙은 경우인데, 저같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2. 딱 이거만 보고 갔어요. 능력대비 보상을 제대로 줄 수 있는 곳은 미국이라 생각해서 젊을때 열심히하고 나중에 나이먹고 한국에 들어가려구요. 그리고 타지에 살아서 외롭긴한데, 한국에 들어가면 덜 외롭겟지만 덜 행복할거같아요.
3. 진째 사바사 교바쇼 입니다… 열정적인애들은 진짜 열정이에요. 박사기간동안 네이처, 사이언스…쓰는애들은 괜 히쓰는게 아니구나 싶더라구요.

저는 프로젝트를 메인으로 하나 서브로 3-4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같은 학교에서 다른 연구실과 코웍하거나 다른 학교에서도 코웍을 해요. 제가 한국에서 소수 규모 랩실이라서 상상도 못한건데, 미국에서 처음 코웍하니까 너무 힘들고 지금도 힘든데, 그만큼 배우는게 너무 많고 정말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저도 개인적인 환상이있어서 온 경우인데, 아직까지는 후회안하고 있어요. 오히려, 박사기간동안 영주권도 따볼까하는 생각도 있어서 이미 계약도 해뒀습니다

2024.12.19

안녕하세요! 이번에 화학공학과로 미국 박사 지원한 학생입니다! 인터뷰 올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준비를 하고 싶은데 어떤 부분들을 준비하면 좋을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2.20

저는 디펜스한다는 생각으로 철저하게 준비했습니다

2024.12.19

안녕하세요.!
2025 가을 학기 박사과정을 지원해 둔 상황입니다 (화학공학과). 영어 성적으로 인해 5개 정도 학교에만 지원했습니다.
사실 이 중에 합격이 올거라는 근자감이 없지 않은데요. 과 교수님께서는 더 지원해보라구,,,10개 이상써서 3개 정도 합격하셨었다고 그러셔서
괜히 불안한 마음에 여쭙니다.
석사과정동안 주저자 4편, 학점은 학부 3.6(4.0기준), 대학원은 그 이상인데요.
이런 경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2.20

5개는 너무 적긴합니다. 저는 20개가까이
지원해서 6개정도 오퍼가 왔는데, 5개중에 이미 서로 알고 있는 교수님이면 좀 더 가능성이 있겠지만, 5개는 생각보다 적어서요.

1저자 4편정도면 꽤 경쟁력이있어서, 유럽에도 좋은 학교가 많아, 유럽 지원시기는 미국보다 늦어서 괜찮은 유럽 학교도 지원해보시죠.

2024.12.27

안녕하세요 혹시 civil이나 교통 쪽 분야도 미국박사하고 정착하기에 어떤지 혹시 아실까요..?요즘 박사 끝내도 비자나 영주권 문제 해결이 정말 어렵다해서 걱정되네요ㅠㅠ

대댓글 2개

2025.01.05

논문실적이 있으시면 영주권 문제가 전혀없습니다

2025.07.02

죄송합니다 제가 지금 봤네요..civil분야 바로 미국 석사 진학을 할 것 같습니다. Gpa가 3.42/4.00이고 일부 학교는 최근 60학점만 본다해서 그 경우 3.47/4.00인 것 같습니다.

연구 경험은 자교 인턴 5개월뿐이고 인턴 중 개인프로젝트 하면서 교수님 피드백 받은 게 전부이며 학점 보완책으로 ai심화전공은 학점이 3.89/4.3으로 높아 장학금을 4학기째 받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경우 자비 미국석사로 탑 30이내 10개 정도에 탑 40-50한 군데 쓰면 올리젝은 안 당할 수 있을까요?? 바쁘신데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생각하는 곳은 11개로 UIUC, UT austin, TAMU, U of Delaware, UCB, U of Wisconsin, Purdue, Cornell, U of Florida, Georgia Tech입니다. 감사합니다

2024.12.27

안녕하세요! 국내에서 석사후 미박 준비하고 싶은데, 연구실 장비이슈로 1년간 논문낼 상황이 안됐는데.. (현재 석사 2학기 끝났습니다) 1년 더 준비해서 갈 수있을지 막막합니다,. 혹시 논문 내시는데 어느정도 기간이 드셨는지 궁금합니다. 학부성적도 궁금합니다..! ssh 4.13인데 석사 학점은 좋진않아서 걱정입니다. 논문이 중요하다곤 알고있지만 상황이 이래서 미국 박사를 포기해야할지..

대댓글 1개

2025.01.05

첫논문은 장비세팅하느하 2년정도 걸렸고 그 이후 매년하나씩 냈습니다. 학부성적은 4.0에 3.6였습니다. 포기하지마시고 논문 내셔서 지원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024.12.28

안녕하세요 이제 대학교 1학년 입학 예정인 학생입니다.
건국대학교 정도 입학할것 같으며 미국에서 박사를 받고 교수가 되고 싶습니다.
건국대학교에서 높은 학점과 학부연구생 실적 등을 통하여 미국 탑스쿨 박사로 진학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니면 재수 등을 통하여 sky 학부에 진학하는 것이 필수적인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1.05

네 가능합니다 학부연구생부터 실적 쌓으면서 해외컨퍼런스에 참여해서 계속 컨택을 시도해보세요.

2024.12.31

영어 실력이 부족한 편인데 혹시 영어공부는 어느 정도 레벨에서 시작하셔서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해외 살이 경험이 있으셨나요..?! (저는 토종이고 딱 한국식 영어만 구사할 정도의 실력이라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이 되어서요..!!)

대댓글 1개

2025.01.05

완전 토종입니다.! 실험데이터만 잘설명하면 문제없습니다

2025.01.01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교 학부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 또한 미국 박사나 포닥을 생각하고 있는데 막상 학점 챙기기 이후에는 학부생에 무엇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유학을 가신 지인도 없고 그래서 미박 중이신 입장에서 혹시 학부와 석사에서 어떻게 노력을 하셨고 어떤 점을 중요하고 적극적으로 해야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1.05

전 1,2학년때까지 거의 70-80%정도 수업을 다 들었고, 그때까지 학점을 잘 높여놌습니다. 그 이후는 학부연구생이 메인으로 했고 수업도 잘 가지못해서 학점이 좀 안좋습니다. 목표가 학부졸업전까지 그냥 아무 논문 하나 퍼블리시 하는게 목표였고, 석사때는 그냥 매년 하나씩 내면서 컨퍼런스에
참여해, 교수님과 컨택을 계속 진행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