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박사 지원 스펙

2024.11.22

8

1597

안녕하세요 미국 박사 스펙 관련해서 질문 드려요!!

현재 미국 top 30에서 학부 중이고 (과는 좀 더 높아요 qs랑 us news에서 top 5~15) 올해 12월에 졸업해요
biochemistry 3.6/4.0
자대에서 1년 랩실 경험
설카포 라인 중 1에서 여름 인턴 1번
인서울 밑 라인 중 1에서 여름 인턴 1번
했거든요 ...

원래 2025년 6월 졸업 예정이라 내년에 박사 지원 하려고 했는데 의도치 않게 이번달에 조기졸업을 하게 됐어요. 부모님도 저도 내년에 지원하면 중간에 시간이 너무 빌 것 같다고 생각해서 올해도 일단 미국 박사 찔러보려고 하는데 자대+top 15 안 5-6개 지원하거든요. 가능성이 있을까요? 성적도 낮고 publication도 없어서 전 좀 희박해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에 졸업하고 한국 들어가면 경력 조금 더 쌓고 내년에 다시 지원할 생각도 하고 있는데 그냥 또 한국 대학에서 인턴을 더 하는게 나을까요? 현실적으로 논문 쓰는건 안될 것 같고 .. 뭐가 도움이 될까요? 조언 좀 부탁드려요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1.22

제 연구실 박사과정 친구는 Rice 대학교 학부라서 그런지 publication 없이도 왔습니다. 인지도 있는 미국 내 학부면 래볼만해보여요. 다만 말씀하신 Top 30 학부라는게 솔직히 아이비리그, 듀크, 시카고, 라이스 이런 곳인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인지도 떨어지는 곳인지 모르겠어서 애매하네요

대댓글 1개

2024.11.22

말씀 감사해요! uc라서 좀 밑인것 같긴 해요 ㅠㅠ

2024.11.23

다이렉트 박사면 퍼블리케이션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됩니다. 연구경험도 꽤 있는 편이니 지원 학교 풀을 더 넓혀서 10~15개는 지원해 보세요

2024.11.23

추천서 데드라인 전까지 못 받을거 같은데요;;

2024.11.25

이미 추천서는 교수님들께 다 얘기해놨어요!

2024.11.26

최대한 이곳저곳 지원해보고 SOP를 최대한 검토받아서 잘써보셔야죠. 될지안될지는 아무도 모를겁니다.
한국가서 준비하셔도 아무문제 없을듯합니다. 이번에쓰신거면 결과 기다려보는수밖에는 없죠.
만약 다 떨어질경우 plan B로 뭐 정출연같은곳에서 인턴연구생같은거 지원해보시고 나중에 네셔널랩에서 경험있다는걸 강조하는것도 좋아보이고요.

2024.11.29

일단 성적은 오케이구요 가능한 미국에 남아서 lab technician 혹은 석사로 연구경력 더 쌓는게 백업 플랜으로 좋아보입니다. 물론 미국대학이 한국대학들에 비해서 프리미엄이 있는건 사실입니다만 기회를 활용을 잘 못하셨네요. 바이오/바이오캠 경쟁력있는 시민권자 지원자들은 적어도 2년~5년 연구경력 (랩 1~3개정도), 논문 공저자 한두개, 컨퍼런스 포스터 한두개정도 들고 올거에요. 일단 미국대학 프리미엄 잘 활용할려면 미국 탑대학, 탑랩에서 몇년 일하면서 연구경력과 논문, 컨퍼런스, 추천서 더 쌓는걸 추천드립니다. 이게 한국에서 연구하는것보다 훨씬 도움될겁니다. 물론 이번 싸이클이 잘 될수도있지만 인터네셔널은 시민권자들보다 입학 훨씬 힘들어서 최대한 기준 높게잡고 준비하세요.

대댓글 1개

2024.12.07

이분말에 완전 공감합니다! 탑학교 가고싶으시면 한국보다는 미국 탑학교에서 랩테크니션으로 남으시는게 제일 좋아요. 가장 가고싶은 학교로 선택해서 lab technician 하시면 그학교 교수님한테서의 추천서와 거기서 쌓는 인맥이 그학교 진학할 확률도 많이 높여줄수있어요. 경우에따라 교수님이 원하시면 direct admission도 종종 봤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