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지금 카이스트가 사전 컨택 안 받고 있는데 저는 이게 어장관리 당하는 기분이라 더 싫네요.
카이스트 입시 통과해서 고생이란 고생은 다했는데 완전히 관련 없는 연구실 배정하거나 혹은 지도교수 없는 상태로 대학원생활하면 결국 자퇴로 이어 집니다.
차라리 컨택부터 안되면 다음 길이라도 빨리 알아볼 수 있어서 그게 더 학생 입장에서도 더 나음
비유하자면 서류 1차면접 2차면접 다 통과했는데 최종 떨어지면 서류부터 떨어진 애들보다 시간은 더 쓴거라 손해임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61 - 하다 못해 중소기업에서 사람 뽑을 때도 면접 보고 뽑죠
어디까지 오구오구 해주고 장단 맞춰줘야 하나요?
마치 사전 컨택이 되게 부조리한 사회 병폐인 것처럼 써놨는데 사전 컨택할 때 돈이 오고 가는게 없는데 무슨 이게 청탁입니까
랩실이 사람을 무제한 뽑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기존 연구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 봐야죠. 랩실에서 무슨 연구를 하는지 지도교수가 어떤 분야에 있는지 알지도 못하는게 무슨 학술적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미리 사전에 계획 세우고 꾸준히 노력한 사람을 우대하는 것은 당연한 겁니다.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48 - 인생이 무슨 내신성적 수능마냥 정답이 정해져있다고 생각하실 분이네.
사전 컨택을 위해서 어떤 지원자는 준비를 엄청하는데 그건 생각 못하시죠?
달랑 메일 하나 보낸다고 생각하시는건가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33 - 공학랩이라면서 예시로 가져온 논문기사는 왜 사회과학인가요 레퍼런스 잘 인용하세용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14 - 워라벨 얘기하는 놈들=대학원에 놀러온 놈들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25 - 전형적인 z세대 마인드 같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말은 논점을 흐린다...
결국 본인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발작하시는 스타일 같은데...
혹시 그 랩실에 혼자 계신건가요?
그러면 얼른 도망치세요.
그게 아니라 본인만 그런 상황에 놓였다면 사회생활을 잘 못하시는 것 같습니다.
뭐든지 당연한건 없습니다. 본인도 마찬가지겠지만 내적으로 예쁜 사람에게 더 마음이 쓰이겠지요.
글쓴이가 잘나서 혼자 일을 다 하셨다고 해도 교수가 보기에는 독단적인 학생으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페이... 이건 참 예민한 문제입니다. 챙겨준다는건 의무가 아니라는 것 쯤은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즉, 금전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이라고 느끼셨다면, 도망을 치든 버티든 그건 본인의 선택이겠죠?
세상에 당연한건 없습니다.
대학원 밖으로 나오시면 장비하나 쓰는 것도 그리 쉽지 않으실겁니다. 구축해논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저자에 이름이 실릴수 있다는 걸 아직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성숙해지신 후에 본인이 쓴 글을 꼭 다시한번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참 안타깝습니다.
조금만 더 힘내서 얼른 탈출하시고 세상으로 나와 더 넓은 시야를 가지시길...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19 - 남의 일이라고 생각해서 일인게 아니고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면 일반기업에서도 실무자 포지션이고 실제 연구에서도 성과를 내는 시기인데 이걸 "공부"라고 딱지를 붙여서 일로 취급을 안 하니까 "학생"이라느니 "네가 하고 싶은 연구"라느니 하는 것들을 붙여서 저임금 초과노동을 강요하는 일이 생기는 거죠. 연구가 취미활동인가요? 엄연히 일하는 것이고 그에 맞게 대우해야 합니다.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15 -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과 사는 방식만이 정답이라 생각한다면 다른 생각과 사람은 다 틀렸다고 생각할 수 밖에요. 님만 옳고 님이 다 맞습니다. 틀린채로 살아가는 이들이 많아 얼마나 갑갑하고 힘드실까요.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14 - 적어도 교수의 지도를 받고싶다면 내가 맞음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12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29 - 교수들 평가하는 사이트 만들었는데 교수나 교수마인드 탐재한 얼탱이들이 글 싸지르고 있네.... 물 흐리지 마시고 교수 마인드인 사람들끼리 사이트 만들어서 노세요. 요즘 알람메일 와서 보는데 교수평가는 내렸으면서 이런 교수님 핥아주는 글은 왜 제제 안하는지 모르겠네.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12 - 30초에 UC 버클리 박사가는게 왜... 막말로 그 사람이 30후반에 한국 상위권 대학 교수되면 물고빨꺼면서; 미친년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5 - 유니 훌리 정말 애쓴다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2
한국국제교류재단 2026 방한연구펠로십
2025.07.08
사업개요
해외에 한국 전문가를 육성하고 한국연구를 진흥하기 위하여 해외 유수 학자와 전문가를 방한 초청하고 현장연구와 자료조사 활동을 지원합니다.
선발인원
연간 약 25명
지원분야
해외에서 활동하는 인문·사회과학, 문화·예술 분야 한국 관련 연구자 또는 한국과 긴밀한 연구협력 및 중요성이 인정되는 연구주제 신청자로서, A 또는 B 유형에 속하는 분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및 내용
지원대상
A유형
B유형
자격요건
교과과정(Coursework)를 마친 후 박사학위
논문을 집필 중인 박사과정생
전임강사 이상의 대학교수
박사학위 소지 연구·전문직 종사자
월 지원금
2,300,000원
3,000,000원
기타 지원
① 여행자보험 (한국 체류기간에 한함)
② 입국지원금 (1회 지급)
- 박사과정생: 500,000원
- 박사학위소지자: 1,000,000원
- 종신직 정·부교수: 1,500,000원
※ 두 가지 유형에 해당할 경우에는 신청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선택하여 지급한다.
③ 왕복항공료(최단거리, 이코노미): OECD 공식 홈페이지(동 공모 마감일 기준) 내 개발원조위원회(DAC)
리스트의 상위 중소득국을 제외한 최빈국, 기타 저소득국, 하위 중소득국을 거주국으로 하는 펠로에 한해
지원
사업일정
1. 신청기간: 2025.7.1.(화) ~ 2025.9.1.(월) 6:00 p.m. (한국 시간 기준)
※ 마감일에는 접수가 몰려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유로 지원서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인정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서류 중 5. 추천서는 2025.9.8.(월), 6:00 p.m. (한국 시간 기준) 마감하며, 마감일 이후 제출은 불가합니다.
2. 결과발표: 2025년 12월 중
3. 펠로십 기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기간 중 최소 1개월~최대 6개월까지 신청 가능
※ 단, 2026년 11월 30일 이전 연구 개시 필수
제출서류
유형
제출서류 (국문 또는 영문)
A
1. 온라인 신청서
2. 이력서 (자필서명본)
3. 연구계획서 (자유양식, 5-10쪽)
4. 국내 학자의 연구 협조(공동연구) 계획서
※ 연구협조 학자/기관 작성, 신청자 제출(연구협조인사 서명 필수)
5. 추천서 2부
① 소속기관장 1인 (대학의 총장, 학장, 학과장 등)
② 거주국 내 박사학위 논문 지도 교수 1인
6. 재학증명서(공식 서한 또는 증명서 양식)
7. 대학원 (석·박사과정) 성적증명서
8. 최종학위 증명서 또는 학위증 사본
9. 박사학위과정 수료증명서 (공식 서한 또는 증명서 양식)
B
1. 온라인 신청서
2. 이력서 (자필서명본)
3. 연구계획서 (자유양식, 5-10쪽)
4. 국내 학자의 연구 협조(공동연구) 계획서
※ 연구협조 학자/기관 작성, 신청자 제출(연구협조인사 서명 필수)
5. 추천서 2부
① 소속기관장 1인(대학의 총장, 학장, 학과장 또는 연구소장 등)
② 연구계획을 평가할 수 있는 거주 국가의 교수 또는 전문가 1인
6. 최종학위 증명서 또는 학위증 사본
7. 재직증명서 (공식 서한 또는 증명서 양식)
의무사항
1. 결과보고 의무
유형
지원조건
A
1. 펠로십 기간 종료 2주 전까지 KF 소정양식에 의한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 펠로십 종료 후 2년 이내 박사학위논문 완성 및 학위 취득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학위 논문을 KF에 제출해야 합니다.
B
1. 펠로십 기간 종료 2주 전까지 KF 소정양식에 의한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 펠로십 종료 후 2년 이내에 A&HCI 또는 SSCI급 저명 국제 학술지, SCOPUS, 한국연구재단 또는 각국 교육부 등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거나 3년 내 저서 출판을 권장하며, 논문 게재 및 저서 출판한 경우 KF에 제출해야 합니다.
※ 연구성과물에 반드시 한국국제교류재단(KF) 지원 사실을 명기해야 합니다.
※ KF는 펠로가 제출한 연구성과물을 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수 있습니다.
2. 성과보고 의무
- KF는 펠로십 종료일로부터 3년간 매년 1회 연구성과를 모니터링하며, 펠로십 수혜자가 성과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추후 재단 사업 수혜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KF 지원사업신청포털(http://apply.kf.or.kr)에서 회원가입 후, 온라인으로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유의사항
1. 한국어 또는 영어로 연구수행이 가능해야 합니다.
2. 한국국적자의 경우, 외국 영주권 또는 시민권 소지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합니다.
3. 온라인 신청 시 첨부 항목당 1개의 PDF 파일로 업로드하시기 바랍니다.
4. 스캔하여 PDF 형식으로 저장한 파일만 유효합니다.
5. 온라인 신청서 및 제출 서류는 모두 한국어 또는 영어로 제출합니다. (한국어와 영어를 제외한 타국어로 되어있는 서류에 경우 반드시 원본과 번역본 함께 제출)
6. 다음의 경우에 해당하는 신청자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① 한국에서 학업 또는 연구 활동 직후 연속 수혜를 받는 경우
② 최근 3년 내에 KF 방한연구펠로십 또는 한국의 타 공공기관으로부터 방한연구를 위한 연구비를 지원 받으신 분
7. KF는 신청자가 희망한 펠로십 기간을 심의를 통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8. 숙소 및 연구시설은 신청자가 연구협조기관과 준비합니다.
※ KF는 펠로에게 숙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9. 연구협조인사는 반드시 지원자가 선정, 신청서 내 기재합니다.
※ KF는 국내 학자 관련 어떤 정보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10. 펠로십 수혜기간 동안 한국의 타 기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중복하여 지원받을 수 없으며, 중복된 경우에는 재단 지원결정이 철회됩니다.
11. 추천서는 지원자가 신청서에 있는 발송버튼을 누를 시, 별도로 추천인에게 추천서 양식 및 업로드 페이지 링크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12. 제출한 지원서의 모든 개인정보는 동 프로그램의 목적을 위해서만 활용되며 지원서 제출 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13. 결과 발표일은 재단 심의 사정에 따라 사전에 공지 없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문의처 및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https://apply.kf.or.kr/selectNoticeAndApplicationView.nkf?anucNo=A1P0000977&pageIndex=1
한양대 현차, 하이닉스 계약학과 김GPT 3 4 9989
옆방 외국인의 밤낮없는 문자 김GPT 1 18 3413-
3 16 3950
포닥 성장형 공동연구 공동연구자 참여 김GPT 2 4 1578-
10 5 4211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김GPT 4 18 7554-
0 8 1914
연세대 인센 김GPT 0 8 838-
0 6 2086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9 10 7777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37 19 63983
박사논문 쓰는 엄마 계신가요? 명예의전당 89 15 6952
장학금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장학금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61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55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4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77 - 워라밸 논쟁 지겹네요......
30 - 몇 년 간 힘들었다..
6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43 -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73 - 용역과제 많은 실험실은 진짜 피하는게 좋을거임
17 - 교수님께 장문의 러브레터를 보내면
15 - 워라밸 논쟁에 숟가락 얻기
16 - 개소리하지 마십쇼
10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2025 이공계 대학원 순위 라인별 정리 수정본
49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40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32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38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13 - 인턴 스펙 한 번만 봐주세요
23 - 외국인 많은 랩실은 별로인가요?
14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16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9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1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9 - 직장인 (공대 졸업) 학사 KAIST 다닐 수 있는 랩실이 있을까요..?
11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2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