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진짜 그런 마인드로 교수하면 나라 망합니다.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9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연구실에서 시끄럽게 떠들면 먼저 책상을 내려칩니다.
또 떠들면 컴퓨터를 내려칩니다.
그러면 다시는 떠들지 않더라구요.
비록 저는 퇴학에 구치소까지 다녀왔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빠따가 남았으니까요.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66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3 - 님도 똑같이 하셈
쉽게 돈 번다고 생각되겠지만 나중에 인생이 망하는길이란걸 알고 있자나
머가 억울함?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2 - 학부생인데 학부 공부와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안 것부터 좋은 출발을 하신 것 같습니다. 옥상옥 내 위에 또 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위엔 spk가 있고 spk 위엔 미국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요즘 k는 미국에 박사 가신분들 만큼 실적 잘 뽑으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다를테지만 제 분야인 cs에선 그렇습니다)
헌데, 저는 k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쉬엄쉬엄하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더군요. 주말 출근을 기본으로 생각하거나 같이 밥 먹고 커피 마시는 도중 랩탑을 꺼내서 실험 잘 돌아가고 있는지 서버 원격접속해서 확인하는 분들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론 꾸준히 차곡차곡 쌓은 분들이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더 높은 대학 글쎄요... 윗댓처럼 더 좋은 환경이 되겠지만 그 환경에서 적응하는 시간이 더걸리거나 기반을 잡는데 오래걸리거나 자대생들과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갉아먹는 분들도 있습니다. 답은 꾸준함인 것 같습니다. 잘할사람은 어딜 가서도 잘하더라구요)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5 - 요즘 k훌리가 많은 듯. S랑 p는 그런거 없는데 의도적으로 k 띄우는 글이 많이 보임.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교수님이 지도력 없다고 느끼는 이유가 공부 안 해서가 아니라 타분야를 너무 열심히 공부하셔서인거네요ㅋ 그건 절대로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요. 그분은 그냥 정말 공부가 재밌어서 교수하시는거네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구자의 모습과는 조금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저는 그런 분이 학생 잘 가르치는 교수는 아닐지라도 좋은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궁극적으로 통섭에 다다를 수도 있겠죠. 밑에 있는 어리석은 중생들이 문제인건데 님도 위기 의식을 느끼고 어떻게든 살아남을 길을 찾게 되고 그러면 또 결국 살아남게 되는거죠. 고생은 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님은 스스로 살아남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그런건 학생 때 (+포닥 시절) 겪어봐야 되는게 맞고 님의 상황이 결코 특수하거나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님 지도교수님이 답없다는 얘기 들으실 분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데요.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1 - "대부분의 사립대와 버클리, 미시간 등 주립대들은 서울대보다 미박 입시에서 현저히 불리하죠." ?? 전혀 아닙니다.. 버클리 ucla 미시간 일리노이 텍사스 등 메이저 주립대는 mit 하버드 스탠포드 발사대 수준인 파이프라인 학교입니다. 유학을 가보신적은 있으신지 의문이 드는 발언이네요.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9 - 2학기 남은 상황이면 내년 8월 졸업이신거 같은데, 내년 가을 입학이 목표인가요? 그럼 당장 이번 12월까지 지원을 해야할 것 같은데 사실상 지금 상황으론 언급하신 학교 합격은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졸업하고 1년을 더 하신다고 하면 차라리 석사를 하시는게 나을거 같구요.
미국 학위로 무엇이 목표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국 정착이 목표라면 T100이라도 가시는게 좋습니다.
미국 박사입시는 모든 요소가 고루 밸런스가 좋아야 합니다. 아니면 아예 한 곳으로 완전 특출나도 가능은 합니다 (연구 쪽이어야 의미가 큽니다). 보여지는 것으론 추천서가 힘을 못 받을 상황이 클 것 같고... 학점도 인상적이진 않구요. 언급하신 학교중 한곳에 있는데 (cs는 아닙니다) 제가 본 cs 친구들은 대부분이 해당국가 탑 스쿨 출신+ 3.8/4.0이상의 GPA + 네트워킹을 활용한 추천서 확보+ 글로벌한 연구경험 (최소2년이상) 및 인턴쉽 경험은 모두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활동이 많은건 칭찬할만하지만 이런 친구들과 비교해선 사실 많이 부족해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론 국내 석사까지 하시는걸 추천드리고 그 기간동안 최선을 다해서 연구경험을 쌓는게 좋아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8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4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9 - 고3 여름때 모의고사 5등급 받고 설의대 가고싶어요 어떻게 해야해요? 정도 인듯합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8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고압광물물리 연구실에서 대학원생 모집
2024.07.19
우리 연구실에서는 지구 및 행성에 존재하는 물질의 다양한 열역학적 변수와 상태 방정식을 고온 고압 기술을 통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질의 극한 환경에서의 특성과 외계 행성(super-Earth)의 진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정적 압축: 소형 고압기 다이아몬드 앤빌 셀(Diamond Anvil Cell)을 사용한 고온 고압 실험
• 신물질 합성: 대형 프레스인 멀티 앤빌 프레스(Multi-Anvil Press)를 이용한 신물질 합성
• 충격파 실험-고출력 레이저: Laboratory for Laser Energetics (LLE) - Omega,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 National Ignition Facility (NIF)
• 가속기 및 XFEL: Advanced Photon Source (APS) - Dynamic Compression Sector (DCS), Linac Coherent Light Source (LCLS) - Matter in Extreme Conditions, European XFEL, SACLA XFEL
• 펄스 전력 설비: Z 펄스 전력 설비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연구 특징:
• 국제 협력: 미국, 유럽, 일본의 대형 연구 시설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실험을 수행하며, 지구과학뿐만 아니라 재료, 물리, 화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진들과 다학제적인 연구를 진행합니다.
• 최첨단 기술: 고출력 레이저, 가속기 및 XFEL, 펄스 전력 설비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합니다.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고압광물물리 연구실에서 함께 혁신적인 연구를 이끌어 나갈 열정적인 대학원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dhkim1986/home
지원방법
열정있는 대학원생 및 학부연구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학생분은 이메일(donghoonkim@korea.ac.kr)로 간단한 자기소개서 및 성적표를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최종 대학원 입학전형은 고려대 대학원 전형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자격 조건
물리, 화학, 지구과학, 재료과학 전공자 환영
대우조건
대학원생 실질인건비 최대치에 근접하게 지원
해외 거대 연구시설에 주기적인 방문 및 실험
-
144 54 26783 -
45 28 5873
대학원은 원래 이런건가요? 김GPT 23 27 5286-
56 37 11044
지방대학원 vs 유명대학원 김GPT 0 0 373-
34 15 13303
켄택 대학원생 중에 김GPT 0 5 805-
7 14 2161
좋은 연구실이란 무엇일까요? 김GPT 2 8 1437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33 89 85540-
138 16 59961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2 82 35608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0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4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4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3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7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1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3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2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1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1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8 - 대학원 인간 관계...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58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65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6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3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1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3 - 카이 전산 코테
11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1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4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