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작성 중에 있는데 템플렛 수정하기 위해 저널 관련해서 교수님과 상의를 진행했는데요. 자꾸 교수님이 전통적으로 유명하단 이유로 상대적으로 낮은 저널에 제출하라고 하십니다. 교수님이 주장하는 저널도 좋은 저널은 맞습니다만 솔직히 더 상위 저널에 내고 싶고 논문도 충분히 괜찮은 내용이란 것은 교수님도 알고 계십니다. 솔직하게 의견내봐도 자꾸 전통저널이 길게보면 좋다 반복입니다. 제자 앞길보다 본인 체면이 우선인가 싶기도하고 이것때문에 요즘 스트레스를 너무받는데 이런경우 어떻게 설득시켜야하는지 조언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9.14
지도 교수님이 시키는 대로 하세요.
왜 상관의 지시를 불이행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당신 같은 사람은 회사가서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될 잠재력이 아주 높다고 판단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9.14
;; 잘몰라서여쭤보는거였고요.. 당연히 지도교수님이 시키는대로 하고있지만, 작성한 내용에 대해서는 어떤 이유가 있는지에대한 설명없이 객관적으로 좋지 않은 선택을 해야하나 싶어서 물어본겁니다.
익명성에 기대어 교수님께서 왜그런지알고싶기도 했고 한편으론 정말 싫기도해서 설득할수있는 방법이 있는지를 물어보는 단편적인 모습으로만 사람을 판단하는 것도 능력이시네요;
2025.09.14
상위 저널이라는게 뭔가요? IF 높은거? 저널의 실제 퀄리티는 IF와 무관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9.14
맞습니다. IF가 매우높은 곳에 내고싶고 교수님도 가능성있어보인다 하셔서 기대했습니다.
2025.09.14
실제 저널의 평판은 IF 만으로 평가하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PI도 IF가 높은 쪽이 더 좋은 저널이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해서 IF는 낮지만 전통적으로 평판이 더 좋은 저널에 내려는 건가요?
얼마나 많은 학교들이 아직도 임용 서류 낼 때 IF 하나 하나 적어 내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상위 2%냐, 15%냐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는 어지간하면 PI 판단이 맞습니다.
2025.09.14
1)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면 모를까 조금이라도 지원을 받았다면 연구 책임자의 의견이 최우선입니다. 2) 의견 정도는 제시해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번 거절하였다면 그냥 하라는 대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3) 개인적으론 그거 한편만 쓸 건가 싶기도 하고 if도 중요하지만 길게 보면 교수님 말씀이 맞다는 입장입니다.
2025.09.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당 두 저널명 알려주시면 판단해드릴게요. IF만 높은 쓰레기 저널들이 넘쳐나는 세상이라.
2025.09.14
대댓글 1개
2025.09.14
2025.09.14
대댓글 2개
2025.09.14
2025.09.14
2025.09.14
2025.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