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부연구생 vs 연구원 현장실습

2025.08.05

2

415

안녕하십니까 에너지 관련 타대학원 진학 준비중인 지방 국립대 화공 3학년입니다.
현재 학점은 4.26/4.5이고 학부연구생 생활을 6개월 정도 했습니다.
제 연구 분야를 찾아보니 타대학원은 성대, 카이스트 정도가 있는데, 현실적으로 카이스트는 불가능 할 것 같아 성대를
목표로 준비중에 연구원 현장실습 기회가 찾아와서 현재 지원 고민중입니다.

교수님께 솔직히 털어놓고 말씀을 드리니 연구원에서의 현장실습 보단 학교에 남아 연구를 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타대를 갈 때 더 도움되지 않겠냐고 설득하셨습니다.

만약 학교에 남는다면 SCI급 논문에 공저자로 넣어주고 한국 저널에 논문을 직접 쓰게 해주시겠다고 말씀하셨는데, 랩실에 남아서 연구를 해서 연구실적을 쌓는 것, 아니면 연구원에 가서 현장실습을 해보는 것 중 어느 것이 타대학원 진학에 도움이 될지 판단이 잘 안되어서 도움 받고자 글을 남겨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8.05

참고로 현장실습 부서는 제가 연구하는 분야 유사계열입니다

2025.08.05

1) 단순히 실적으로만 보자면 공저자는 의미 없고 kci는 더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논문을 한번 써봤다는 것 자체에 의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실제로 그러신건지는 모르겠으나 kci라도 쓸 수 있도록 지도해주겠다 도 아니고 직접 쓸 수 있게 해주겠다는 것은 워딩이 좀 이상한거 같습니다.
3) 개인적으론 kci apc(논문처리비)를 내준다는 것 만으로는 크게 매력적인 제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