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연구는 무한경쟁 이니깐.... 중국 애들이 같은 아이디어로 논문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니깐...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5 - 하기싫으면 하지마세요
본인 잘될라구 하는거아닌가;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7 - 시간 지나서 생각해보면 남들 쉴 때 같이 쉬고 일할 때 적당히 같이 일한 사람들은 대체로 논문이 없더군요
어떻게든 시간을 만들어서 그 시간에 논문 쓴 사람이 결국엔 게재 단계까지 갑니다.
뭐 길게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걸 교수님도 아니깐 하는 말입니다
한국이라서 그런거 아니구요 외국도 똑같아요. 다만 다른 점은 외국에선 그런 말 안해줍니다.
연구 결과 없으면 알아서 다른 길 찾으라고는 하죠.
평소에 그냥 잔소리 듣고 뭐라도 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잔소리 없이 평온하게 있다가 결과 못내서 한방에 나가리 될래요?
뭐 선택은 본인의 마음입니다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50 - 교수들도 그렇게 대학원을 나왔었기 때문. 그 당시에도 휴일 달라, 배째고 일요일에 노는 학생들이 있었음.
근데 아는거지. 내 제자가 성공하려면 휴일이란 개념이 없이 연구에만 미쳐야 한다는것을.
학계에서 성공하기 싫으면 남들 쉴때 쉬고 남들 잘때 자면 됨.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7 - 저는 학생들한테 이렇게 말합니다.
‘일주일에 50-60시간 일하지 않아도 좋다.
워라벨 챙겨라.
대신 아카데미아에서 살아 암겠다는 욕심만 버려라.’
순수자연과학 분야라 아카데미아 (정출연 포함) 에 남지 않는다는 건 바로 인더스트리를 의미하는데 그게 그렇게 장밋빛은 아니라…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7 - 솔직히말해서, 같은 대학원생입장에서 무슨말인지 이해는 감.
근데 결국 내 젊은시간 다 바쳐서 학위하는데 결과적으로 그걸 회수하려면 최소한 연구실적만큼은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나야하는게 팩트라고 봄..
근데, 워라밸 지켜가면서 남들보다 연구실적 잘 내는사람들? 나는 거의 못 봄, 그게 가능한 사람들? 당연히 인정함.
교수의 의도가 정확히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주변은 확실히 밤낮 주말 가리지않고 열정을가지고 노력하는사람들이 실적이 압도적이긴함. 아마 그렇게 평생을 살아온 사람이니까 그러지않을까싶음.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4 - 신기하네요. 아마 교수들도 그런랩에서 배워왔기 때문에 그런걸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우리랩은 전문연제외 출퇴근시간은 자유였습니다. 다만 본인일을 못해오면 그거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방식이였죠. 그 이후 저는 미국에서 포닥부터 이제 직장까지 자리를 잡았지만, 포닥했던곳이 탑스쿨이였음에도 거의 학생들은 랩에 잘 없었습니다.
저도 지금 동일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학생들 지도하려 하고 있고요.
놀라는건 아니지만, 박사과정 5-7년동안 매주 6-7일 갈아넣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워라벨이라는 말보다도 본인 밸런스를 잘 찾는것도 중요해요.
또한 엉덩이 붙이는 시간보다 훨씬중요한게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것이고요.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1 - 삼바는 브라질에서 많이 갑니다. 삼바축구가 많이 죽었지만 그래도 강하죠
고려대 연세대가면 진짜로 다들 삼바나 대기업쪽으로 가나요?
16 - 졸업 안 시키거나 덜 익은 채로 졸업시켜야죠 뭐. 다 자기 손해인데 지금 당장의 워라벨이 뭐가 그렇게 소중할까 안타깝습니다. 그렇다고 일과 시간 동안 집중하느냐? 그것도 아니죠 ㅋㅋ 하루종일 핸드폰만 쳐다보고 앉았죠. 석사과정은 뭐 그렇다 쳐도 박사과정인데 자기 연구에 온 힘을 기울이지 않는 학생들은 도대체 왜 진학하는지 몰겠어요.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7 - 학생들 듣기 싫은 소리 자주해서 그래요.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26 - 글쓴 사람인데요. 저는 출퇴근 제한 안줍니다. 저 또한 학위때나 포닥때 그렇게 지도 받아서 그게 효율적이다 생각안해요. 근데 생각해보니 그렇게 내버려둬도 서로 경쟁적으로 열심히 해서 그랬나봅니다. 그리고 결과없던 애들은 알아서 짐싸고 사라졌던걸 까먹고 있었습니다.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14 - 그냥 그정도로 살겠다는데 왜 지랄이에요? 그냥 개인이라고 생각해줍니다. 나중에 교수님께 추천서를 못받아서 취업이 어려워지면 그 개인만 손해인거죠. 내가 열심히 사는데 굳이 남도 열심히 살라고 강압을 할 이유는 없잖아요? 인생이라는게 지금 한순간에 하냐못하냐로 결정되는게 아니니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관성의 법칙을 믿고 꾸준하게 본인일만 계속 하세요. 남 신경쓴다는 것 자체부터 본인에 대한 믿음이 없는겁니다. 사회성이 없다고 한국은 이상하게 세뇌를 시키는데. 그러니깐 일론머스크도 없고 샘울트만도 없고. 괴짜가 없어서 그 한명이 수만 수십만명 월급을 못주는겁니다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20 - 크.. 김박사넷에 이런 글을 적으시는거 보니 신임교수분인거 같은데 이러니 학계가 안바뀌는구나 합니다.
교수가 학생을 가르치려고 뽑는거지 일을 시키려고 뽑나요? 애초에 이런 글들은 교수님들이 학생을 뽑을 때부터 학생을 보는 안목이 없다는 증거라고 보입니다. 이 아이가 취업이 안되서 대학원에 온건지, 연구하는데에 학위가 필요해서 대학원에 온 건지.
이 사안은 교수님께서 잘 판단하시고 받으셔야죠.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12
[네이버페이 포인트 증정] 김박사넷 2025-2026 대학원 합격후기 이벤트
2025.06.16


많은 선배들의 고민들이 여러분의 대학원 준비에 도움이 되었듯이, 이제 여러분의 이야기가 후배들에게 희망과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합격의 기쁨을 나누고, 거인의 어깨를 만드는데 동참해주세요!
📌 참여 대상
2025학년도 전기/후기 대학원 합격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 합격자
📝 참여 방법
1️⃣ 합격후기를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 작성해 주세요.
✔체크포인트
- 아래 양식에 맞춰 제목을 작성해주세요
예시: "성균관대 기계 3.7 → 카이스트 기계 석사과정 합격"
- 아래 항목을 포함하여 300자 이상 작성해주세요
A. 학부 대학교
B. 전공, 학점
C. 스펙: 어학점수, 인턴활동, 대외활동, 자격증
D. 면접 후기(기출 문제)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이벤트 기간동안 좋아요 Top3 후기 작성자에겐 30,000원권이 지급됩니다.
2️⃣단계: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 업로드
✔체크포인트
-신뢰도를 위해 합격증 또는 합격자 발표 홈페이지 캡처 화면을 첨부해주세요.
네이버페이 10,000원권이 지급됩니다 (첨부이미지 미포함시 5,000원)
⚠️ 개인정보(수험번호, 주민번호 등)는 반드시 가려주세요.
3️⃣단계: 구글폼 작성
게시글 업로드 후 네이버페이 상품권을 받을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구글폼 링크: https://forms.gle/Vur3u3kjJ9DuF6v99 (게시글 최하단에도 url 링크가 있어요)
⏰ 이벤트 기간
참여 기간: 2025년 6월 18일 ~ 2025년 7월 31일
상품권 지급: 2025년 8월 첫째 주
💰 상품권 안내
첨부 이미지 포함시 네이버페이 10,000원 증정, 첨부이미지 미포함시 네이버페이 5,000원 증정됩니다.
또한, 이벤트 기간동안 좋아요 Top3 후기 작성자에겐 30,000원권이 지급됩니다.
※ 상품권 소진 시 이벤트는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300자 미만, 불성실한 작성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참여로 판단되는 경우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동일인 중복 참여는 불가능하며, 작성하신 후기는 홈페이지에 계속 게시됩니다.
게시글 업로드 후 아래 구글폼 링크에서 네이버페이 상품권을 받을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https://forms.gle/Vur3u3kjJ9DuF6v99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89 32 52578-
230 30 89388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90 74 550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32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35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8 - Science advances 게재난이도?
15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11 -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9 - 워라밸 논쟁 지겹네요......
5 - 학연생 중간에 3주정도 유럽여행 다녀와도 되나요?
7 - 어떻게 해야 지지율 높은 파트타임 박사과정이 될까?
19 - 월급을 안주는 랩은 흔한가요?
5 - 대학원을 석사 졸업 후 취업을 위한 기관으로 생각하는 학부생이 많네요.
6 - 대학원가는데 교수님께 실례를 저지른거같아요 도와주세요
24 - 늦은 나이에 유학 괜찮을까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5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65 - 미박 ai 컨택 스팩
17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7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35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8 - Science advances 게재난이도?
15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11 -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9 - 학연생 중간에 3주정도 유럽여행 다녀와도 되나요?
7 - 어떻게 해야 지지율 높은 파트타임 박사과정이 될까?
19 - 대학원가는데 교수님께 실례를 저지른거같아요 도와주세요
24 - 늦은 나이에 유학 괜찮을까요?
7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