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랩 내 공동프로젝트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5.04.03

8

486


안녕하세요. 저는 통합 6학기이고
이번에 새로 들어온 신입이랑 공동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다른랩에서는 랩내 공동프로젝트인 경우 역할분담을 어떻게 하고 프로젝트 진행을 어떤식으로 하는지 잘 몰라서 글 쓰게 되었습니다.

물론 저희 랩에도 2명이 공동프로젝트를 하는데, 그 둘은 인턴때부터 동기이고 같이 시작해서 거의 1:1로 기여를 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신입이 들어오고 프로젝트를 같이 하게 되었는데, 초반부터 트러블이 좀 있긴 했습니다.

교수님이 갑자기 프로젝트 리더라는 것을 만들고, 리더자리에 신입을 지정하고 신입이 프로젝트 전체를 관리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저의 역할은, 신입을 잘 알려주라는 것이었습니다. (교수님의 목적은 사수/부사수를 통해 사수가 아는 것들이 자연스레 후배에게 전달되는 것을 바라신 듯 합니다)

이제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지났고, 셋팅 실험을 하며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어제는 앞으로 실험데이터가 나오면 분석을 어떻게 할 지 논의를 하는 미팅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몇개월 동안 design했던 자료를 들고 갔는데, 둘이서 충분히 상의가 된 부분이 맞냐고 하시면서, 신입보고 대신 발표를 하라고 하셨습니다.
사실 그동안 신입이 뭘 봐야할 지 잘 모르겠다고 하고, 따로 자료도 준비하지 않아서 일단 제가 준비한 것을 들고 갔는데요.

Ppt를 슥 보시더니 지금상황은 제가 캐리하고, 신입이 따라오는 것 같은 상황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 상황을 바라지 않는다고 하시면서, 농담이시겠지만 신입보고는 공부를 더 많이 하고, 저한테는 공부 좀 그만하라고 하셨습니다.

둘이서 동등하게 디스커션해서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걸 바라신다고 하시면서 준비한 자료 발표도 못하고 쫒겨났습니다.

미팅후 현타가 쎄게 와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조언 얻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보통 다른 랩에서도 이런경우 동등하게 프로젝트 기여를 하는지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4.03


안녕하세요. 저는 통합 6학기이고
이번에 새로 들어온 신입이랑 공동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다른랩에서는 랩내 공동프로젝트인 경우 역할분담을 어떻게 하고 프로젝트 진행을 어떤식으로 하는지 잘 몰라서 글 쓰게 되었습니다.

물론 저희 랩에도 2명이 공동프로젝트를 하는데, 그 둘은 인턴때부터 동기이고 같이 시작해서 거의 1:1로 기여를 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신입이 들어오고 프로젝트를 같이 하게 되었는데, 초반부터 트러블이 좀 있긴 했습니다.

교수님이 갑자기 프로젝트 리더라는 것을 만들고, 리더자리에 신입을 지정하고 신입이 프로젝트 전체를 관리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저의 역할은, 신입을 잘 알려주라는 것이었습니다. (교수님의 목적은 사수/부사수를 통해 사수가 아는 것들이 자연스레 후배에게 전달되는 것을 바라신 듯 합니다)

이제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지났고, 셋팅 실험을 하며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어제는 앞으로 실험데이터가 나오면 분석을 어떻게 할 지 논의를 하는 미팅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몇개월 동안 design했던 자료를 들고 갔는데, 둘이서 충분히 상의가 된 부분이 맞냐고 하시면서, 신입보고 대신 발표를 하라고 하셨습니다.
사실 그동안 신입이 뭘 봐야할 지 잘 모르겠다고 하고, 따로 자료도 준비하지 않아서 일단 제가 준비한 것을 들고 갔는데요.

Ppt를 슥 보시더니 지금상황은 제가 캐리하고, 신입이 따라오는 것 같은 상황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 상황을 바라지 않는다고 하시면서, 농담이시겠지만 신입보고는 공부를 더 많이 하고, 저한테는 공부 좀 그만하라고 하셨습니다.

둘이서 동등하게 디스커션해서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걸 바라신다고 하시면서 준비한 자료 발표도 못하고 쫒겨났습니다.

미팅후 현타가 쎄게 와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조언 얻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보통 다른 랩에서도 이런경우 동등하게 프로젝트 기여를 하는지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4.04

신입이 해야할 걸 왜 본인이 하셨나요??

대댓글 3개

2025.04.04

셋팅실험도 거의 다 제가 디자인해서 진행했구요. 신입한테 맡겨두면 next 실험으로 뭘 할지를 모르기 때문에 빠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제가 했습니다.
저도 6학기차 이지만 아직 논문도 없고 (그동안 주로 서포트하는 역할만 했음) 이 프로젝트 외에 메인으로 참여하는 게 없었거든요.. 메인으로 가져가려는 게 제 욕심일까요?

2025.04.04

뭘할지 모르니까 교수님께서 공부하라고 얘기를 하신거 아닐까요?
교수님께서 교통 정리를 해 주셨는데 왜 거기서 주도적으로 하려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실험, 디자인 다 하실 줄 아시면 다른 주제를 찾아봐도 되는거 아닌가요?
논문이 없기 때문에, 서포트만 했기 때문에 이런 저런 말을 필요없는 말들입니다.

저도 4년차에 첫 논문이 나왔었으니 조금 더 본인 주제에 대한 고민을 해보세요.

갈고 닦은 기술이 당장에 결과로 안보여도 금방 되돌아 옵니다. 6년차까진 총 6편 썼습니다.

2025.04.04

제가 욕심으로 너무 앞서 나갔나 봅니다.. 지금까지 메인으로 참여했던 것이 하나도 없었다보니 쪽팔려서, 이제라도 주도적으로 참여해보고 싶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셋팅실험에도 많은 시간, 에너지를 투자했는데, 헛헛합니다ㅠ 이제부터라도 자제해야 겠습니다. 제가 어디까지 참여하고, 의견을 내야 하는지 교수님과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5.04.04

교수님이 신입에게 하라했으면 진도고뭐고 신입이 책임지는거죠.
본인 욕심이 있는듯. 오히려 교수님이 님에게 책임을 묻는 상황이면 몰라도, 그만하라라는데도 그러시는건 욕심입니다.

그냥 그 과제에 대한 책임을 누가 갖고 있는지를 보면 실무자가 정해집니다. 교수가 데이터로 갈구는게 아니라 기여도로 갈구는거면 지금 작성자분이 한발 뒤로 물러서야할겁니다.
억울한 부분있으시겠지만 후배의 성장을 도와주는 선에서 본인 연구하시길. 6학기차에 과제때문에 논문 못쓸바엔 후배알려주면서 과제 넘기고 본인 논문쓰는게 서로 윈윈이고 현명한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4.04

제가 메인으로 참여한 프로젝트가 없어 스스로 너무 자존감이 떨어져 이거라도 주도적으로 해야겠다 한 것이 너무 욕심이었나 봅니다. 이 프로젝트가 아니면 당장 할 것이 없고 지금까지 논문 쓸 데이터도 없습니다. 실험이 망해서 교수님이 프로젝트를 중단 시키셨고, 서포트로 참여하던 것도 다른분한테 넘어갔습니다. 현재 2개 프로젝트가 더 있는데 하나는 포닥분이 분석을 거의 다 하셨고, 나머지 하나는 분석할 데이터가 여름쯤 나옵니다. (분석 파이프라인 짜는 중) 지금까지 만든 논문 피겨도 몇 없다는 것이 자괴감이 듭니다ㅠ
이렇게 아무것도 없는 사람인데 니 역할은 신입을 알려주는거다 하면서 신입을 붙여준 교수님이 원망스럽습니다..

2025.04.06

와 이거 진짜 난감하겠다ㅠ
근데 공동프로젝트에서 완벽히 동등한 기여는 현실적으로 힘들고 결국 서로 강점을 살려서 역할분담하는 게 베스트인데 교수님께 한번 역할 재정리를 해달라고 요청드리는 게 어떨까 싶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