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공계 학석사 연계 고민

2025.02.05

6

584

고려대 다니는 3학년 학부생입니다.

제 상황을 설명드리자면 자교 연구실 인턴을 하면서 교수님께서 먼저 입학 권유를 하셨고 졸업 예정시기를 구체적으로 물어보셨습니다. 저도 석사까지는 할 생각이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다만 제가 1,2학년 때 동아리 임원을 하면서 학업에 뒷전이었던지라 그당시 학점이 좋지 않은데, 학석사 연계를 하면 실질적으로 재수강을 할 시간이 없습니다.

학석사연계를 하면 석사과정이 3-4학기입니다.(대학원 평점 4.0 유지할 시 3학기 졸업가능)

<1안>
교수님께서는 학석사연계를 한다면 학부 7학기까지 학부 졸업요건을 최대한 맞추고 8학기에는 대학원 수업과 연구만 하는 것을 제안하셨습니다.
이렇게 하면 지금의 추세로는 학부졸업기준 평점이 3.6x/4.5정도 될 것 같습니다.

<2안>
학석사연계를 하지 않고 학부 8학기 때 학기 중에는 연구 대신 재수강을 위주로 지낸 후 대학원 입시를 치르면, 석사 졸업학기가 한학기에서 1년이 밀릴 수 있습니다만, 대신 졸업평점이 3.8x으로 올라갈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생각을 여쭈어 보았을 때 학석사 연계를 한다면 반 년 더 빨리 연구를 시작할 수 있으니 좋다고 하셨습니다.
(물론 저의 선택이니 제 상황을 보고 결정하라고 조언해주셨습니다.)


선배님들께 제가 여쭤보고 싶은 것은
1. 석사학위 취득 후 취업 또는 국내/미국 박사를 위해서 0.1x정도의 학점 차이가 큰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취업을 한다면 대기업, 정출연을 희망합니다.)

2. 제가 휴학을 많이 해서(3학기) 나이가 좀 있고 늦둥이인지라 가능한 한 졸업을 빨리 하고 싶은 마음이 큰데 선배님들이라면 저와 같은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내리실지 궁금합니다!

늦은 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2.05

미국 박사입시에서 0.1차이보다는 당연히 연구를 먼저하시는게 유리해보입니다. 논문실적이 0.1차이보다 훨씬 값진부분이니까요.
학석 연계과정으로 빨리 석사 졸업후 미박루트를 타는것도 나쁘지 않네요. 물론 미박을 위한 실적을 만드는것이 중요한 부분이겠죠.

대댓글 3개

2025.02.05

미박 입시에서 학부 평점의 영향이 적은 편인가요?
저희 연구실에서 최근에 미박 가신 분들이 칼텍, 코넬대에 계신데 두 분 다 학부 성적이 만점에 가까우신 분들이었어서 저와는 비교가 어려운 거 같아 여쭤봅니다.

2025.02.05

Direct PH.D 처럼 학부 학점으로 타이트하게 경쟁하는건 아니여서요 ,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미박 입시에서 석사 중에 유명한 저널에 논문 투고한 이력이 영향이 매우 큽니다. 물론 칼텍 코넬대처럼 탑클래스 대학은 우수한 실적많은 경쟁자가 많아서 학부학점은 다들 높을수 있겠습니다만.. 이외 상위 주립대는 노려보실수 있을겁니다

2025.02.05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02.05

1. 큰 영향 없습니다
2. 1안 추천

2025.02.05

학점 차이가 그 정도면 의미 없습니다.
학석사연계는 본인 선택이니 본인 생각이 가장 중요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