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건 속도가 아닌 방향이고 자신을(또는 자신의공부를) 점검하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학점, 인턴, 학부연구생 모두 메트릭한 스펙이고 일단 그것들로 사람을 평가하지요 그러나 그러한 과정을 통해 이 사람이 얼마나 공부가 되었나도 중요합니다 그러니 본인에 관한 자신감을 갖고 spk부터 컨택해보시고 안 되면 차차 내려보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1.21
숫자로 표현되는 스펙에만 집중했던 것 같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5.01.20
1. 수업수강 및 컨택은 별개의 것인데 동시에 안되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학점은 고고익선입니다. 컨택 시에 현재 성적 및 석차를 첨부하시고 나중에 최종 학점 및 석차로 업데이트 하시면 됩니다. 2.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래도 1년 전부터 추천드립니다. 3. SPK부터 차근차근 컨택해 보세요. 돈드는 것도 아니니 너무 쫄지마시구요.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1.21
조언 감사합니다! 현재 학점에 아쉬움이 있다 보니, 학점이 좀 더 준비된 후에 컨택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었습니다! SPK는 당연히 꿈의 대학원이지만, 현실적으로 제가 어느 수준의 대학원을 목표로 할 수 있을지 아직 감이 잘 오지 않아 고민이 많습니다. 우선 최선을 다해 SPK부터 준비해봐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5.01.21
1. 연구실 컨택부터 하세요. 학점은 잘 안봐주는 곳도 많습니다. 2. 2025년 여름~가을
대댓글 1개
2025.01.22
조언 감사합니다! SPK 컨택부터 시도해보려고 하지만, 결국 입시를 통과해야만 대학원 진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재 제 조건으로는 어느 수준의 대학원을 목표로 할 수 있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01.20
대댓글 1개
2025.01.21
2025.01.20
대댓글 1개
2025.01.21
2025.01.21
대댓글 1개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