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요즘에 대학 찾아보면서 느낀 "좋은 대학" 기준

2024.10.24

11

9725

학부는 SKY SSH(+ist) ...
대학원은 SKPYK ...
와 같이 대학의 순위를 평가하곤 하는데

내가 생각하는 좋은 대학의 기준은
자교 출신 (학부 및 대학원) 교수가 얼마나 있는지를 보는게
가장 좋은 것 같음

지방대학으로 가면 갈수록 자교 출신 교수는 적어지고
SKPYK 대학들은 자교 출신 교수는 체감상 70% 이상인듯

물론 온전히 내 생각이니 의견이나 질문 받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0.24

자교 출신 교수가 많으면 좋은 학교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2024.10.24

그냥 Spk 나온 박사들이 교수를 많이 하니까 spk 기준에선 자교 박사인거고 다른 대학 입장에선 타교 박사인거지

2024.10.24

전 H대 나왔는데 교수 임용 시 자교 우대가 심한건지 선배님들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별로라고 생각했습니다 ㅋㅋ

2024.10.24

대한민국에서 좋은 학교의 기준은 얼마나 서울과 가깝냐

2024.10.24

학부 출신은 저 위의 댓글처럼 학교 측에서 목적을 갖고 밀어주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노이즈가 있다고 봐요. 원글의 취지에 잘 맞는 지표는 본교 대학원 박사가 얼마나 본교 교수로 있는가 비율이라고 봅니다.

2024.10.25

학문을 정의하는 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일 맘에 와 닿았던 정의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학문은 교류다."
국제적인 명문사학들 중에 레벨이 얼추 동등하다는 대학에서는 경쟁 대학교 출신들이 주로 교수를 한다더군요.
자교 출신이 교수를 하는 경우는 정말 정말 다른 학교로 보내주기에 너무나 아까운 사람만이 자교 교수를 한다고 합니다.
이와같이 학문 발전을 위해 경쟁 대학 끼리 인적 물적 교류를 한다고 합니다.

2024.10.25

이건 순혈주의의 문제이고,
중요한 것은 얼마나 academic한 연구를 하느냐에 따라, 교수로 채용되는 게 많아질테니,
결국은 해당 대학/학부/대학원에서 교수급 인재를 많이 배출하느냐가 중요한 듯.

2024.10.25

하지만 대학평가시엔 자교출신 교원이 너무 많아도 점수가 깎입니다.(너무 적어도 깎이지만)
대학 본부에서 외부 평가를 신경 안쓸 수 없어서 그다지 좋은 지표가 되진 않을 것 같네요.

2024.10.26

자교, 타교 구분 없이 실력 있는 교수가 많아야...

2024.10.27

개인적으로 중경 정도에서 끊긴다고 생각함.
이유는 원서 수업에 있음.
그정도 라인까지는 실제로 1학년부터 원서 수업을 하고, 나름대로 잘 따라오고 거부감을 가지지 않는 편임. 실제로 교수 임용되는거 보면 마지노선이 맞음.

건동홍부터는 아예 원서 수업을 하지 않음. 애초에 번역판을 써도 a+받은 학생이 100퍼센트 따라올거라는 기대를 하기 힘듬. 학계를 노리는 비율도 거의 없음.

대댓글 1개

2024.10.27

이것도 아닌것이 전전은 내가알기로 수업에서중경도 원서 안쓰는걸로 압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