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래에는 AI 활용 못하는 과학자는 진짜 큰일날듯요

2024.10.19

14

3882


이번에 노벨화학상 받았던 연구에 참여했던 그 모델(알파폴드)네요

생물학 연구에는 AI도입이 느릴줄 알았는데 벌써 여기저기 스며들고 있군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10.19

오호 이런것도 되는군요

2024.10.20

AI 거품론 주장하는 사람들이 더러있는데 이제 시작이라고 보여지는데. 5년이후에는 상상못할 일이 일어날지도.

대댓글 8개

2024.10.20

오픈소스 AI나 학습방식에 대해서는 꼭 알아둬야합니다. 변화를 못받아들이고 본인머리로 AI랑 경쟁하겠다 고집부리면 진짜 큰일날겁니다.

2024.10.21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입니다. 저도 AI 시대를 대비해서 틈틈히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학계에 남을 예정), 미국 학부/대학원 컴싸 커리큘럼을 따라가보려고 하는데 괜찮은 방법일까요? 아니면 다른 방식 추천하시나요? 미국에서 컴퓨터 마이너를 해서 조금은 컴퓨터와 친숙한데 AI에 관해서 뉴럴네트워크나 딥러닝 이런부분은 아주 생소하네요. 실은 너무 생소해서 어떤 부분을 공부를 해야 미래에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어서 조언 구해봅니다! 감사합니다

2024.10.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AI 거품론은 너무 지나치게 AI 툴에 의존해서 합리적인 사고도 없이 AI 툴의 결론만 보고 결정을 성급하게 내리지 말자인데 거품론이 AI 툴을 쓰지 말자임?
AI만능론에 빠져서 문해력 상실해서 거품론과 무용론도 구분 못하는 매트릭스 컴퓨터의 양분같은 인간들 많네...

2024.10.22

AI 거품론이 쓰지말자가 아니라 메타버스처럼 흐지부지 될 기술이라고 보는것이 방점인데. 그것이 그렇지 않다라는것이 주제임. 더 많이 쓰여질거라는 의미라고 보면됨

2024.10.22

AI만 학문으로 전공하면 앞으로 문제가 될것 같음. 빅테크 기업들이 복잡한 알고리즘 대부분 개발했고 굳이 그 알고리즘을 공부할 필요가 없어질듯. 본인 하고싶은 전공 그대로가고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가야 미래가 조금 보이지않을까 싶음. 어짜피 chatgpt에 의미를 잘 부여한 질문을 제대로하면 인공지능 코드 잘만들어줌. 코드 의미 모르겠으면 다시 질문하면 잘알려줌. 대학원에서 배울바에 chatgpt로 배우면 됨. 본인 적성에 맞는 전공을 그대로 가져가는것이 나을듯. 억지로 인공지능 이론을 대학원에서 배우는것은 의미가 없어보이는데. 아니면 말구

2024.10.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도 이 관점은 크게 동의함.
1. 현시점에서 순수학문으로 AI 공부하는 건 리스크가 큼(물론 취미로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는 건 AI 툴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되겠지만 자동차의 기계적인 구동원리를 모른다고 베스트 드라이버를 못하는 게 아닌 것처럼 AI 학문 공부가 필수적이진 않다고 봄)
2. 빅테크에서 AI 개발한(또는 개발 중인) 툴이 실생활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에는 반론의 여지 없음
3. 따라서 본인의 전공에 AI 툴을 활용하여 (테스트 시행 경우의 수를 크게 줄여서) 노가다하는 시간 줄이고 AI 툴의 결과를 본인만의 방식으로 재검증하여 결론을 내는 방향이 맞다고 봄

2024.10.23

AI 거품론이라는 단어는 명확하게 하나의 개념으로 정해져있지 않음. AI로 연구결과를 도출하는거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포함됨. 어디 네이버 기사 이딴곳에서 문장 몇줄 긁어와서 문해력 운운하는것 같은데 요즘에 그러면 역으로 뚜들겨맞으니까 머릿속에 정확한 정보나 좀 똑바로 우겨넣고 글 싸세요.

2024.10.23

인공지능 연구하면서 전문가 대담회도 보고 직접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돌려보고 업무에 적용해보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알고 쓴거임. 네이버 기사는 안봄. 국내는 딱히 볼만한 정보가 없고 미국 전문 서적 참고하고 나름의 의견을 내서 함축적으로 쓴거임. 문해력 운운하는것도 아니고.

2024.10.20

기초과학 분야는 그래도 좀 더디겠지 했는데 의외네요

2024.10.21

저거는 ai하는사람이랑 생물학자랑 둘이 한거임

애매하게 융합하려다가 이도저도안됨

대댓글 1개

2024.10.23

이전사례로 노벨화학상 받은거보면
기술자체의 한계가 아니라 경험치를 축적하기 위한 단계로 보는게 맞는듯.

2024.10.22

당장 논문 초패스트로 쓸 수 있게 된 것부터 혁명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