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머신러닝으로 촉매 합성

2024.10.18

6

1396

요즘 이런 주제로 연구를 하는 연구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대학원생분들을 보면 대부분 화학공학 전공인 경우가 많은데, 학부 때 관련 지식 없이 ai와 관련된 연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요?
하더라도, 졸업 이후에 취업하기에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10.19

그런 학생들은 미리 관련 공부를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Computer 백그라운드 없이 무작정 좋아보여서 입학하면 절대 못 살아 남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19

분야의 전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코딩도 재밌고 반응 공학도 재밌어서 그 쪽으로 갈까 생각하는데

2024.10.19

바이오 분야에서 AI를 하고 있는 사람인데요, 윗댓 말대로 학부 때부터 AI ML에 대해서 빠삭하게 알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프로그래밍을 하는 법은 익숙해야 합니다. 나아가 AI를 다루다 보면 결국 컴퓨터 아키텍처나 시스템에 관한 이해도 필요해지게 될 것입니다. ML에 대해서는 잘 모르더라도 c, 파이썬 등등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 완성된 프로그램을 짜본 경험이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대댓글 2개

2024.10.19

학부 학교에서는 해당 분야를 연구하시는 교수님이 안계셔서 많이 접하지는 못했는데, 이후 진로도 괜찮을까요?
K에는 해당 연구하시는 교수님이 재료과에만 있으셔서 학교를 낮춰야 될 것 같은데, 그만큼의 가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4.10.19

대학원 연구실을 선택할 때 학교 라인에 가중치를 두느냐, 혹은 research fit에 더 가중치를 두느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는 주로 후자에 방점을 두는 편입니다. "K에 해당 연구하는 교수님이 재료과에만~" 이게 본인이 재학중인 곳이 K고 화공학과가 아닌 재료과에 그 분야 교수님이 있다는 말인지, 아니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기 위해 낮춰서 가야 하는 곳이 K 재료과라는 뜻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본인이 하고싶은 것이 확고하다면 그것을 확실하게 하는 연구실에 가는 것이 좋겠죠. 물론, 본인에게 학벌의 가중치가 좀 더 높다면 그 분야를 연구하기 위해서 유학을 고려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개인적으로, AI만을 연구하는 분야는 한계가 있지만 다른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분야는 앞으로 학술적으로든 산업 쪽으로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봅니다.

2024.10.19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코딩의 진입장벽은 지난 10년간 지수적으로 감소해왔어요. 이제는 문장, 질문 기반의 코딩이 가능해지고있으니, 코드 독해만 가능해도 충분할 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