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SCI급, SSCI급이란 표현을 많이 쓰나요?

2024.10.09

7

1833

안녕하세요. 제목에 적은대로 SCI급, SSCI급을 많이 쓰는지 궁금해서 글 적습니다.

우선 저는 학부 마치고 미국으로 박사 유학 온 케이스라 한국 대학원을 잘 알지는 모릅니다. 현재 박사 4년차 입니다.

검색해보니 SCI는 Science Citation Index, SSCI는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라고 하네요.


교수님이나 cohort들이랑 얘기할 때 한번도 SCI급이란 표현을 써본적이 없어서요. 그냥 good journal in our area(department)란 말을 더 자주, 대체로 그냥 good journal이라고만 얘기하거든요. 영어로 표현하면 SCI level이라 해야할까요?

다들 과가 다르고 본인의 수준에 따라 타겟 저널이 달라 저런 표현을 쓰는건지, 아님 그냥 같은 전공, 랩실 내에서도 SCI란 표현을 많이 쓰는지 궁금해서 적어봅니다.

알려주셔서 미리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10.10

저도 딱히 sci, ssci를 구분한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isi라는 키워드는 몇 번 들어본 것 같네요 국내랑 다르게 국외는 당연히 sci, ssci, scopus 등에 투고하는 것으로 생각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2024.10.10

SCI가 아닌저널을 알게되거나 투고할일 자체가 더 흔치않아요.. 웬만한 연구실들도 탑 n%저널을 목표로하지, "우리랩은 SCI저널을 목표로해요!"라는곳은 한번도 못봤습니다. 저도 SCI 몇편썼어요 라는말 자체를 안써본지 엄청오래된것같네요. SCI아닌저널은 태어나서 딱 한편썼는데, 그것도 약간 반강제로 게스트에디터로 일했어야해서 그때 한번 단독저자로 적당히 제출했습니다. SCI 몇편썻다고 말하고다니는사람은 일반화하고싶지는않지만, 실적이 조금 부족한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2024.10.10

학교같은데서 보도자료같은거 만들때나 쓰는거임 그런건
나른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4.10.10

sci 급이 아니면.... 연구가 아니죠...

2024.10.10

한국같이 정량적평가가 중요한 동아시아권에서는 중요합니다

미국은 한국보다는 정성평가가 더 커서 신경을 안쓰는거죠

아마 한국이나 중국 외에는 별로 신경 안쓸거에요

한국에서는 항상 뭘하든 기준이 있어야하고 규정이 있어야죠?

그게 sci급 입니다

교원임용이나 승진이나 과제 등등에서 통용되는 기준입니다

"나 공부잘해" 라고하는건 굉장히 추상적이지만 "학교가 서성한 라인이에요" 라고하면 어느정도 감이 오잖아요

그거랑 똑같습니다

2024.10.10

미국에선 당연히 sci에 내는거고 그중에서도 탑티어가 목표라서 안쓰는거 아닐까요?

2024.10.10

.... 미국은 정량보단 정성이 중요합니다. 논문 하나 들고도 교수하고, 하나 들고도 테뉴어 받을 수 있죠 논문이 얼마나 우수하냐에 따라서요. 미국에서 쓰는 논문은 다 sci다? 말도 안되는 소리고, 그냥 일부 단체에서 만들어 낸 index 중 하나일 뿐 본인들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때문에 신경 안쓰는 거죠.
우리나라는 정성? 안믿어요, 정량평가 우선입니다. 그러니 뭔가 기준이 필요하고, sci가 좋은 타겟이 된거죠. sci'급'이 된 이유는 범위가 작아서 옆으로 옆으로 확장하다보니 그리 된겁니다. 지금은 구분짓지 않지만 과거 scie 같은 것을 포함하다 보니, sci는 아닌데 동일하게 인정한다는 뜻으로 '급'이라는 표현을 쓴거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