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대교수 급여 많나요?

2024.09.26

28

7422

교수가 회사운영하면 급여가 많아져서 본봉 월급만으로는 판단이 어렵다고 하는데

주변에 잘버는분은 어느정도 버시나요?

연간 원징 10억정도는 되나요?

코인회사만들어서 반짝뜨거나

회사만들어서 팔았는데 학교에 떼주기싫어서 학교랑 싸우고 퇴사했다는얘기는 들었는데

그런케이스말고 정상적인 경로로 했을때 잘벌면 어느정도인지가 궁금합니다

가급적 "하는대로받는다"같은댓글 말고 실제 사례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4.09.26

하는대로받습니다가 싫으면 딴거 고려 안하고 학교서 주는 월급만 비교 가능한데요
너그러운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4.09.26

그런 경우는 정말 극소수에요. 100명 중에 1-2명 있을까 말까. 교수생활 15년 정도 했는데 저희 학교에서 그런 분 딱 한 명 봤습니다. 기술이전으로 돈 많이 번.

2024.09.26

1등은 잘 모르겠지만, 어떤 분이 1년에 3-4억 정도 번다더라 얘기는 2015, 2016년쯤 들었던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9.26

그정도면 나쁘진 않네요... 감사합니다

2024.09.26

대기업 용역 큰거 하나만 받아와도 잘 버는 분들은 잘 법니다

대댓글 2개

2024.09.26

그러니까 잘번다의 기준이 얼마인가요?

저는 그 기준을 연 10억으로 본거구요

2024.09.27

연간 10억 버시는 분 몇 분 이야기 들었습니다. 그걸 지속적으로 계속 유지하긴 쉽진 않고 또 극 소수 입니다. 3억 정도 버시는 분는 꽤 되실 듯 하고요

2024.09.27

기본급 기준으로,
조교수 : 5~7천
부교수 : 7~9천
정교수 : 9천~1.1억

정도입니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대강 조교수 6년, 부교수 6년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간 기본급 상승률은 1~2프로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9.28

이게 팩트요.
참 얘기하기도 머하고 학생들은 왜잘번다고 생각하는지.

2024.09.27

조교수 3~4년차가 연 4억 버는 것도 봤습니다

2024.09.27

~봤습니다 정도면 극소수인 거고요.
그렇게 따지면 그냥 창업하거나 연예인 되도 극소수는 그렇게 벌 테니 의미 없습니다.
비율로 보면 다 합쳐서 2억이면 잘 버는 편 상위 30% 일겁니다. 3억은 상위 5%? 주변에서 볼 순 있겠죠.

대댓글 7개

2024.09.27

설카포 공대만 따져도 2억이면 상위 10% 안쪽임. 전국 공대 다 따지면 상위 1%고. 왠만한 대학 부교수 본봉이 1억이 안됨. 여기서 과제로 1억 더번다? 말은 되지만 학생들 미어 터지는 랩 아니면 불가능이라고 봐야함.

2024.09.28

과제로 1억 더벌려면

학생이 미어터진다는게 대충 몇명정도?

포닥 1~2명에 학생 20명이면 되나?

2024.09.28

그것도 연구실 상황에 따라 다름
학생 30명이어도 국가과제만 하면 추가수입 5000 언더로 잡히고
학생 10명이어도 기업과제 위주로 돌리면 추가수입 3억 찍을수도 있음.
당연히 연구실적은 반대로 나옴. 기업과제하면 논문쓰기 어려워서.

2024.09.28

원글자님, 연구재단 과제의 연구수당 계산법은 현재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비 중, 장비비, 재료비, 활동비를 제외한 순수 인건비의 20%입니다. 다만 참여 교수의 인건비는 ‘비지급’이아 참여율에 따라 계상이 가능합니다.

이게 무슨 이야기냐 하면 1년 본봉이 1억인 교수가 한 과제에 50% 참여율을 계상했다면 인건비 자체는 연구비가 아닌 학교에서 지급되지만 연구수당을 산정하는 것에는 1억*0.5를 계상할 수 있고 이에 20%인 1천만원까지의 수당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건비 총액의 20%로 산정한 수당에서 PI는 70%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수당으로만 1억을 받으려면 1억/0.7=약 1억 4천만원의 수당을 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계상된 인건비는 총 약 7억원이어야 합니다.

비지급인 교수 인건비가 1억에서 1억 5천이라고 하면 나머지 인건비 (학샹 및 작사후 연구원) 인건비는 최소 5억 5천만원이어야 하죠. 대략 학생 한명 당 2500만 잡으면 22명, 3600만 잡으면 15명이네요.

물론 연구비는 인건비 비율 제약이 있으니 총 인건비 규모는 작게 잡아도 15억은 되어야겠죠.

또 기업 과제는 제약이 훨씬 느슨합니다.

2024.09.28

제가 알기로 요새 Y, E여대도 본봉으로만 1억5000 넘게 가져가는 분들은 드물 겁니다.

2024.09.28

맨 마지막에 총 인건비 규모가 아니라 총 연구비 (=직접비) 규모입니다.

2024.09.30

자세한 계산식 감사합니다. 역산을 해보면 대충 알겠네요 !

2024.09.28

잘 번다의 기준이 연 10억원이면 교수를 하면 안되지
그리고 뭘 해도 존나 불행하게 살 듯
근로소득으로 연10억을 버는 게 쉬운 일인가
부동산 임장을 다니거나 책상 앞에 처박혀서 주식 차트나 보면서
운이 존나 좋으면 연10억원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2024.09.28

회사창업하면 얼마 버나요??라고 물어보면 뭐라하실지??

똑같음. 얼론머스크도 있고, 폐업하신분도 많음.

2024.09.29

월급이외에 5000 더벌기도 힘듦. 뭔 소릴 어떻게 들었는지. 꿈깨셔

2024.09.29

공대 교수는 월급으로 사는 것이 아닙니다.

대댓글 2개

2024.09.30

그럼 뭐로삼?

2024.09.30

해르츠님이 말씀하고 싶으신 게, 교수로서의 자유도나 ‘가오’인지, 아니면 제가 계산해 드린 연구수당을 포함한 과외 수입인지 모르겠으나…

후자라면 연구수당 외에 과제 심사 및 평가비, 학술 및 기업 강연, 전문가 활용 (=컨설팅), 사외 이사 등이 있습니다.

2024.09.29

정말 궁금한게
인건비는 국가과제의 경우 20%까지만 수당으로 책정해 받을 수 있도록 하던데, 그럼 3책 5공이니 뭐 많아봤자 700얼마 기준으로 ×0.2×3(책임)=420만원+ 참여연구자를 이와중에 맥스로 5개 참여할 경우 ×0.2×5=700해서 아주 이상적인 경우 1120만원이고 세금이다 뭐다 떼면 1000만원 정도 더 버는데

그렇게 되면 본봉 외 제일 많이버는 시나리오가 1000만 정도일겁니다. 물론 사람의 능력이 한계가 있어 저의 경우 독고다이로 혼자 과제하기 때문에 4개 정도가 한계였고 3개 책임으로 돌리니 너무 힘들더군요

저는 이공계인데 공대는 아닙니다

대체 과제로 연 10억씩 버신다는 분들은 어떻게 버시나 매우 궁금합니다. 420 더버는것도 눈코뜰새가 없던데요

대댓글 1개

2024.09.30

감사합니다. 그게 연간은 아니고 월간 맞죠..?

2024.09.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봉 조교수 6천 정교수 1억. 과제 수행으로 수당 땡기려면 연구해줄 대학원생이랑 할 과제가 있어야겠죠? 중위값으로 3 4천 봅니다. 결론) 대한민국 정교수 중위 수준 소득 1.4억 근처

대댓글 1개

2024.09.30

감사합니다. 저희학교 정교수 평균 본봉이 1.5억 이던데
이래도 과제 빡세게해도 3억넘기는게 쉬운게 아니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