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생의 인권 보호

2024.09.18

13

1015

여기 글들을 보면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이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건강을 많이 잃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심각한 실태의 대학원생 인권을 보호해주는 단체 혹은 제도적인 장치가 생기지 않는 이유가 혹시 뭘까요?!? 미국이나 유럽도 대학원생은 이렇게 보호 받지 못하는 존재인가요?!

저도 연구실에서 주 60~70시간 정도를 실험 + 문서 작업으로 보내고 있고, 교수님의 성과 압박과 언어폭력 등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상당한데, 저뿐만 아니라 꽤 많은 연구실들이 비슷한 실정인 것 같습니다.

대학원생의 인권이 보호 받는 나라가 있다면 어떻게 해서 그런 환경이 갖추어졌는지 궁금해지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9.18

노조가 없어서 그렇습니다.
외국에서 학위 했는데, 그때 그 학교엔 학생 조합(union)이 있었고, 박사과정생이 받아야 할 충분한 교육을 받게 자치적인 감시가 있었어요. 포닥하던 곳에는 노동조합이 있어서, 노동법을 지키는 것들이 가능했습니다. 한국은 그런 문화가 없거나 초기 단계입니다. 대학원 뿐 아니라, 회사도 그렇구요.

교수가 되고 보니, 외국은 조교수들에게 교수 멘토링을 하여, 시니어 교수와 학교가 조교수의 정착을 돕는 프로그램들을 하는 학교들이 있더군요. 한국은 조교수로 오면, 온갖 잡일과 학과 과제 제안서 작성에 갈려 나갑니다.

그나마 희망적인건, 조금씩 바뀌고 있고, 많이 개선될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9.19

혹시 시카고대 인가요?

2024.09.18

차이를 내라고 강요하는 시스템이 계속된다면, 노조가 있든 없든 계속해서 누군가는 자신을 갈아넣고 성과를 내겠죠. 따지고 보면 수 많은 박사들 중 빛나는 사람은 몇 명 없고, 제대로 교수될 것 같이 연구하는 분도 굉장히 드문 것도 사실이죠. 거기 들려고 노력하는건 어쩌면 당연하고요. 자신을 희생하지 않고도 성과를 낼 수 있다면, 누구나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요?

2024.09.18

대학원생 인권이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도 없네요. 우리나라랑 다를게 없어요..

2024.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부, 일 안하고 졸업도 천천히 하셈 그냥 ㅇㅇ
누가 4년안에 졸업하라고 함? 안하면 남 손해 없이 지손해니까 자발적으로 하는거지
워라밸 지키면서 10년 학위 따라

대댓글 1개

2024.09.19

저도 천천히 하고 싶은데 교수님이 시간을 안주십니다...데드라인을 항상 촉박하게 주셔요

2024.09.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인권비 받잖아요?

대댓글 2개

2024.09.19

인권비를 준다고 해서 건강을 해칠 정도의 업무량을 주는게 정당화되서는 안되죠

2024.09.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농담인데...설마 진짜 인권비라고 알고 계시는건 아니겠죠?

2024.09.19

대학원생노동조합 있으니까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graduunion.notion.site/4a9c1eeca85848da8bdccdf59782c55c

2024.09.19

사회구조자체가 대학원생을 학생도 노동자도 아닌 애매한 위치로 몰아넣고 있는 형상이에요. 교수가 졸업과 취업(졸업 후 레퍼체크 등)이라는 목줄을 잡고있어서 절대적으로 복종하게 하는 구조인거죠..

2024.09.20

미국은 인권은 보호 받지만 학생이 못하면 그냥 짜릅니다.

2024.09.21

도제식 교육인데.... 전 세계에서 처음 듣는...

직원처럼 급여받고 급여의 대가로 노동을 제공하는 직장이라면 가능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