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0 - 맞습니다 people에게 easy하고 happy하게 deliver하는 ability는 human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41 - 초안을 부탁하지말고 드래프트를 쓰고 피드백을 받아야죠 초안 달라는건 연구부정입니다
논문쓸때 챗지피티는 어느정도로 써야할까요?
18 - 저는 팍팍씁니다. AI가 개발되는데 우리가 못쓸 이유가 없습니다.
새 도구가 나왔으면 도구를 잘 쓸 생각을 해야지 왜 못쓰게 해야 하나요
논문쓸때 챗지피티는 어느정도로 써야할까요?
18 - 저년차 학생들은 왜 이렇게 출퇴근 시간에, 그것도 남의 출퇴근 시간에 집착하는지 모르겠네요. 밤늦게까지 일한다고 해서 연구 잘하는거 절대 아니고, 집가서 혼자 공부하는거 일수도 있는데 무슨 근거로 남의 능력을 판단하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65 - 많습니다 그리고 그런경우 보통 집에가서 일을 합니다.. 근무시간만 가지고는 판단 못합니다.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15 - 깔게 출퇴근시간말곤 없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15 - 본인이 이상한건데 여기서 이러면 안 됩니다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16 - 뭐..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식의 교육수준이 아주 큰 상관관계가 있는거야 명확한 일이니.. 그래도 저는 아닌 케이스도 꽤 많이 압니다.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0 - 1. 진짜 금수저는 부모님 사업 물려받는 일하거나 공직하거나 의사판사 하지 않을까요.
2. 오히려 대학부터 공부 열심히 해서 장학금 받고, 석박도 장학금으로 다니고 돈 하나도 안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말은 오히려 돈 안들이고 집안의 지위? 를 올릴수 있는게 공부만 죽어라해서 박사따고 교수되는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평범 집안~약간 흙수저 출신도 많더라구요. (특히 박사-교수 테크 많은 KAIST나 -ist 계열은 진짜 학비가 없으니)
3. 보통 부모가 선생이나 교수인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교육자 집안, 학자 집안을 이어 가는건데, 보통 부모가 선생님이나 교수라고 금수저인 경우는 드물긴 하죠.
4. 그래도 집에 빚이 있거나 찐 흙수저는 대학원 갈 생각 못하는건 사실. 최소 밥먹고 사는덴 지장없는 집안 출신은 되야 하는듯.
글쓴이가 말하는 경우가 특이한 케이슨거 같은데, 저는 생각보다 주위 교수님들 그냥 평범하게 잘 사는 중산층이 대부분이었음. 솔직히 돈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사업하거나 의사변호사가 돈은 더 많이 벌고 좋은데 삼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0 - 여기서 더 무서운 것은 서울대 개 넓은 데도 법적으로 '도로'가 아니라는 거임 ㄷ ㄷ ㄷ 도로교통법상 '도로'가 아님 ㄷ ㄷ ㄷ 사고나면? ㄷ ㄷ ㄷ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8 - 금수저 맞음.
난 아닌데 자수성가인데 라고 하는 교수님 특- 흙이 뭔지 모름. 말할 때 맨날 단, 하지만, but, 이러면서 착한척 하면서 딴소리함. 나르시시스트, 위선자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0
외국인 대학원생 원래 이런가요;
2023.04.11

자연과학계열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연구도 실험도 재밌고 지도교수님과의 관계도 한국인 대학원생들과의 관계도 원만한데 외국인 대학원생 2명 때문에 너무 버거워서 질문드립니다.
커뮤니티에서 종종 등장하는 악질 외국인 대학원생이랑 거의 똑같고 몇개가 더 추가되는데요..
집문제, 은행 업무, 교내 행정문제, 스팸전화, 업체메일 및 전화 토스, 택배 분실 시 사후처리(기사님께 전화해서 찾아달라고 징징), 실험 실패한거 죄다 은폐하기, 돈돈거리기, 사고쳐놓고 숨기기, 가르쳐주면 대충듣고 나중에 교수님한테는 안배웠다 시전, 시약 몰래 흥청망청 쓰고 다떨어졌는데도 나몰라라하기, 실험실에서 공용물건 다쓰고 안채워두고 나몰라라하기, 추궁하면 한국말 어려워요 시전(둘다 한국말 잘함), 남의 데이터 가로채기, 자기들끼리 뭉쳐서 한국인 대학원생한테 갑질하기(한국어 수업 들어야하니까 타자도 조용히쳐라, 전화도 받지마라, 번역기 돌리기 힘드니까 은어 줄임말 쓰지말고 예쁜말만 써라) 등
해도해도 너무하다 싶은 짓들을 많이 하는데요..
제가 연구실 내 일을 좀 많이 맡고있다보니 타국생활이 많이 서럽겠다 하고 이걸 다 들어줬습니다 ..
재밌는건 이 외국인 중 하나가 랩석사들 중에 스펙이 가장 좋습니다.
학회 가고싶다고 징징대서 다른 랩실원의 데이터를 몇개 가져갔고 그걸 자기가 돌려쓰고 있거든요.
그러다보니 한국인 대학원생들 말은 귓등으로도 안듣습니다.
저랑 다른 동료들은 박사과정이고 이녀석들은 석사인데, 박사과정들 말을 아예 안듣습니다.
랩미팅때 자신의 실험주제조차 제대로 설명을 못해서 버벅거리면서 알려준대로 안하고 이상하게 해서 실험을 다 망가뜨리는데, 그걸로도 모자라서 실패한걸 다 숨깁니다.
무슨 2년제한 걸린 장학시스템으로 한국에 왔다는데 그래서 그 2년 내 졸업믿고 저러나 싶습니다.
특히 먹는걸로 정말 힘들게 하는데요.. 무조건 이친구들한테 맞춰야합니다.
도시락을 시키려해도 특별식으로 따로 주문해줘야 합니다.
인도권 문화에서 와서 소고기 못먹는건 당연히 너무 이해해줄 수 있는데 회식때 횟집 갔다고 저보고 인종차별이라 하는건 좀 아니지않나요..
무조건 자기들에게 맞추라는 식입니다. 아니면 인종차별이라 하거나 삐져요..
전 그냥 극단적 한국인 우월주의 인종차별주의자 취급입니다..
다른 랩실에서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한국 대학원생들 김GPT 81 92 13480
일본 대학원다니는데 김GPT 35 55 29718-
2 11 12973
일본 대학원은 어떠냐 김GPT 2 21 11204
원래 대학원이 다 이런가요,,,? 김GPT 9 10 10904-
14 8 4884 -
4 9 8498 -
15 16 10667
문과 대학원생입니다. 김GPT 0 7 4231-
252 19 32177 -
162 29 47783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91 26 1338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1 - 교수 비리 신고
33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0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6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4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8 -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2 - 대학원에서 연구주제는 원래 내게 가장 바보같나요
21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5 - 박사, 석박통합 진학 고려하시는 분들을 위한 주관적인 글
28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6 - acl 쪽은 학회이름만으로 인정받긴 힘든듯
6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55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4 - 원하던 ist연구실 합격 vs 대기업 입사
10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5 - 지방에서 대학원다니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노동력 필요하신 분 있으신가요
13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8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6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19 - 진학 관련 조언이 절실합니다
8 - 지도교수 원래 이런가요..
7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1 - 교수 비리 신고
33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0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6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4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8 -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2 - 대학원에서 연구주제는 원래 내게 가장 바보같나요
21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5 - 박사, 석박통합 진학 고려하시는 분들을 위한 주관적인 글
28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6 - acl 쪽은 학회이름만으로 인정받긴 힘든듯
6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나 다박 가능할까요
16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55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4 - 원하던 ist연구실 합격 vs 대기업 입사
10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5 - 지방에서 대학원다니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노동력 필요하신 분 있으신가요
13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8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6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19 - 진학 관련 조언이 절실합니다
8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8
2023.04.11
대댓글 4개
2023.04.11
대댓글 3개
2023.04.11
대댓글 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