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도 그냥 적당히만 본 것 같고 뛰어난 스펙도 없습니다. 학부학벌 높지않고(하위 지거국라인), 학점도 4점 초반대입니다. 그냥 속는셈 치고 써본건데 합격해서 의아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11.13
학점 4점 초반이면서 합격이 의아하다....! 장난함? 자랑하고 싶으면 지나가는 사람 붙잡고 하기를.... SKY도 아니고......
대댓글 1개
2024.11.13
??
2024.11.14
여기 커뮤니티에서 너무 과포장되어어 그렇지... 대학원 입시가 그리 어렵지 않아요... 대학원 입시 떨어지는 경우는 to보다 자원자가 많은 소수 대학의 소수 학과 한정이거나 지원자가 너무 부족해서 수학이 어려운 수준일 때 정도입니다. 그 외는 거의 붙죠. 소수 대학의 소수 학과 제외하면 지원자:합격자 비율이 1.x : 1 일겁니다.
대댓글 5개
2024.11.14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원래 연고대 대학원에 가고싶었는데, 무컨택이라 그냥 한단계 낮은 학교 썼더니 붙어서.. 연대도 써볼걸 좀 아쉬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연대를 가기위해 반년 더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학부 학벌이 낮다보니 컨택시 연고대 급에서는 잘 안받아주기도 하고, 타대생이니 석박통합을 많이 요구하더라고요 ai쪽이고(자세히는 말씀 못드리지만..) 석사만 할 생각입니다.
2024.11.14
학교가 중요한게 아니라 결국 랩이 중요합니다. 컨택이 안된다면, 입학 하더라도 원하는 랩에 못갈 확률이 100%죠. 아무 랩이나 좋으니 연고대 가고싶으면 컨택 안되더라도 반년 더 투자해서 입학해도 좋겠지만, 그런게 아니라면 불필요한 시간낭비죠.
2024.11.15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혹시 다른 질문이긴한데, 연구분야가 폭넓은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i인데 비전,nlp 모두다 하시고 한쪽을 더 집중해서 하시긴 합니다. 제가 희망하는 부분도 그쪽이기도 하고요. 랩 내에서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은 한 해에 5편이상 나오는 편이긴 합니다. alumni는 딱히 적혀져 있지 않고요..
2024.11.15
연구분야가 넓은 것은 다양한 주제의 과제가 많아 이것저것 하는 경우이거나 학생들이 각자 개인 주제를 가지고 언구하는 경우일겁니다. 어느쪽이든, 장점은 하고싶은 주제를 쉽게 정할 수 있고 해볼수 있다는 것일테고, 단점은 세밀한 지도를 받기 어렵다는 점이겠네요. 탑티어 컨퍼런스가 많이 나오는 랩이라면 주니어때 공저자로 들어가 많이 배울 수 있으니 좋습니다.
2024.11.15
네 소중한 조언 너무 감사드립니다!!! 참고해서 진학할 랩실 잘 결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
2024.11.14
무컨택인데 붙었다면 붙게끔 뽑는거죠...
2024.11.14
어느 정도만 하면 최종합은 주는데 입학 기간까지 컨택된 인원만 데려가는 느낌임
2024.11.16
지잡대 학점좋으면 카이스트는 진리인데..
대댓글 1개
2024.11.16
카이스트가 정량지표 많이 보긴 하는데 지잡은 거의 못붙음. 건동홍 라인부터 수석인데 불합격하는 케이스가 나오기 시작하고 국숭세단 라인만 되도 수석인데 불합격하는 케이스가 자주 보임. 지거국이 많이 붙는건 지거국 연구 여건이 설잡대보다 좋아서 그런거지 수석이라고 붙여준게 아님.
2024.11.13
대댓글 1개
2024.11.13
2024.11.14
대댓글 5개
2024.11.14
2024.11.14
2024.11.15
2024.11.15
2024.11.15
2024.11.14
2024.11.14
2024.11.16
대댓글 1개
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