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공부는 어떤사람이 맞을까요?

2024.09.10

13

1751

이론서를 이해한뒤 잘암기하는사람?

그저 평범하게 매일매일 논문성실하게 읽는사람?

아이디어가 풍부한사람?

선배님들이 생각하시는 대학원에 최적화된 인재의
성격이나 생활모습 공부방식등은 어떤 모습이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9.10

저 셋중에선 마지막

2024.09.10

학업동기가 강한 사람,, 빠르던 늦던 결국에는 꾸준히 할 수 있는 내적동기가 충만한 것이 중요하더라고요.

2024.09.10

삐딱한 사람, 더 깊게 알아야만 직성이 풀리는 사람, 추진력이 강한 사람

2024.09.10

근본적으로는

1. 본인 전공을 좋아하는 사람
2. 제대로 "이해"가 되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
3. 본인의 지식과 생각을 남들에게 "친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사람

인 것 같습니다.

그런 "적합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전공책과 논문을 끊임없이 읽는 것이구요.

개인적으로는 1,2번은 당연히 알거고 3번이 의외일 수 있는데
대학원 와보면 연구란 건 절대 혼자할 수 없다는 걸 느끼실꺼고
무엇보다 교수님과 리뷰어를 설득할 수 있어야 논문이란 걸 낼 수 있으니까요...

대댓글 1개

2024.09.10

끊임없이 남들과 대화하고 설득해나가야 하니
인성이 좋아야 대학원 공부를 잘 해나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2024.09.10

대학원은 연구자의 길을 수학하는 과정이고 연구란 높은 사고력, 논리력, 창의력이 필요한 고차원적인 작업이라 일상의 잡음을 제거하고 연구주제에 대한 몰입도가 높은 사람이 잘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대학원 생활때부터 몰입도가 좋은 친구들은 딱 눈에 보이고 그런 친구들은 어김없이 성공하더라구요.

연구 외적으로 일상속에서 반드시 해야 할 루틴 또는 하고 싶은 투-두-리스트가 너무 많은 친구들은 연구에 대한 몰입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집중력이 발산하게 됩니다. 그 만큼 절박함이 떨어지고 따라서 연구적 산출물이 나쁠 수 밖에 없죠.

2024.09.10

공부를 해본 사람이요.

2024.09.10

지도교수랑 합이 잘 맞는 사람. 대학원은 교수랑 2인3각 경기한다고 생각합니다.

2024.09.10

집요한 사람이요. 똑똑한 사람은 진작에 탈출 합니다./ 연구가 멍청한 사람이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2024.09.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써놓으신 세 개 항목 다 필요합니다.
공부하면 의도적이든 저절로 되든 암기를 해야 그 다음 스텝으로 넘어갈 수가 있지요. 그게 안 되면 매번 기존 본인 데이터나 논문 데이터 다시 찾아보고 생각해야하는데 이러면 진도가 엄청 느려집니다.
매일매일 성실히 논문을 읽어야된다는거야 뭐 너무 당연하죠. 번뜩이는 아이디어도 하루 이틀이지 밑천 바닥나면 더 이상 안 나옵니다. 매일 공부하고 새로 나온 논문 읽고 끊임없이 노력해야합니다.
풍부한 아이디어는 좋은 암기력과 풍부한 지식에서 나온다고 봅니다. 지식은 많은데 유기적으로 연결이 안 되어서 아이디어가 안 나온다고 할 수도 있는데 제 생각으로 그건 그냥 지식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을 때 얘기 같아요.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내려면 많이 공부하고 하루종일 문제를 어떻게 풀 지 생각하면 됩니다.
또 하나, 주변에 잘 하는 사람들과 토론을 많이 하세요. 커피 마시면서 또는 잠시 담소를 나누면서 자신의 연구를 오픈하고 (큰 기대는 하지 않고) 해결책을 함께 찾아보세요. 그러다보면 정말 가끔은 좋은 아이디어와 프레쉬한 접근법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보다 잘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어떤 누군가의 엉뚱한 질문에서도 힌트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연구자로서 혼자 틀어박혀있는 시간이 제일 많이 필요하겠지만, 또 틈나는대로 많이 얘기하세요.

2024.09.10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함.. 네이처, 셀 같은 IF 20 이상인 곳도 기존 후속연구들 흥미없어함. 윗분들 말처럼 협업을 통해 또다른 참신성을 갖게 하거나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야 함.

2024.09.11

논문보는게 잼있으면서 논문보다가 문제탐색이 가능한 사람, 문제(아이디어)를 해결하거나 구체화하고 싶으면서 끈기있는 사람

2024.09.11

연구 생각하는걸 즐기는 사람. 자기전이나 씻을 때도 연구 생각하고 어떤 연구를 해볼지 생각하고.. 안풀리는 문제를 풀려고 생각하고...
그러다보면 아이디어도 풍부해지구요. 이 모든 과정을 거부감 없이, 억지로 하지 않고 즐기는 사람이 짱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