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TUM 석사오퍼를 받고 유학준비에 있습니다 근데 주변에서 계속 한국에서 제가 하고자하는 연구원이나 교수를 위해서는 설카포를 가야한다고 한두명도 아니고 대부분 그러더라구요.. 전 뮌헨공대가 딱히 설카포에 비교해서 급떨어지거나 연구원에 있어 딱히 더 불리하다고는 생각 못해봤는데.. 주변에 같은 쪽 진로를 선택한 지인들이 그러니 혹시나 해서 여기 올려봐요!
참고로 전 국내외 연구원 둘다 생각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7.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원이 되려면 석사가 아니라 박사를 하셔야죠
대댓글 1개
2024.07.08
앗 네네 제가 설명이 부족했네요 박사를 지원할때 그리고 연구원에 뽑힐때 과연 어드밴티지가 있는가가 궁금해요
2024.07.09
어느나라에 가든 채용시 네트워킹은 무시 못합니다. 솔직히 미국은 더하면 더하다고 생각해요. 여튼, 분명 유럽탑스쿨들은 좋은 연구환경이 있고 연구진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국내리턴만 고려할 경우에는 그 네임벨류등에 대해서는 고려해보셔야 됩니다. 설카의 경우에는 국내 탑스쿨이기 때문에, 왜 설카를 갔는지에 의문을 갖는사람이 없고, 무엇보다 연구실동료&교수의 네트워킹 등을 활용할 기회들이 많습니다. 사기업이든 정출연이든 같이 공동과제를 하면서 본인의 존재를 어필하기도 편하고요. 반대로 해외의 경우에는, 우리나라는 미국에 상당히 기울어져있습니다. 저도 spk학석박후 해외포닥을 ETHZ와 미국탑스쿨 중 고려를 할때, 네트워킹이라는 메리트+언어메리트 때문에 학계에잇는 선배&지도교수님께서 미국을 강력히 추천해줬습니다. 와보니 정말 후회안합니다. 한인들 네트워킹도 강력하기도 하고요. 뮌헨공대도 사실 정말 좋은학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명성이나 역사, 연구성과들은 우리나라탑스쿨과 비교될게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내 리턴을 고려할때는 미국 웬만한 학교보다 이름값에서 떨어지기도 하고 (유럽쪽에 경직돼있기도 하고, 출신들이 많이 없기때문에) 또한 거기에 한인 네트워킹의 규모등을 고려해보시는게 좋습니다. 근데 한국리턴이 불확실하면, 세계 어느나라에 가시든지간에 뮌헨공대 출신이신게 더 좋은대우를 받을확률이 높습니다.
*참고로 명성이 유럽탑스쿨이 훨씬 좋다는 겁니다. 저도 모교도 사랑하고, spk학생들 및 교수/연구진들의 수준은 상당히 경쟁력있다고 생각합니다. 나와보니 더 알게되기도 하고요. 하지만 아직까지 연구실적 및 명성은 유럽 탑스쿨들과는 비교하기가 어려운게 사실이죠. 영국만해도 우리나라는 옥스브리지 정도만 알지만 사실 ICL UCL 맨체스터대학 브리스톨등 좋은 연구진들이 많은곳들이 있죠. 하지만 한국에서는, 심지어 학계에서조차 미국대학에 비해 정말많이 익숙하지 않긴합니다. 출신들이 많이 없다는 이유때문에요. 저희랩에서 석사졸업하고 ICL에서 학위받고 한국에서 학교에 계신분께서도 비슷한 말씀하시면서 미국으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2024.07.09
미국이나 유럽에서 학위를 하면, 학위중에 쌓은 해외 네트워크가 채용 시 본인의 큰 장점이 됩니다. 반면, SKP 학위의 장점은 학위 과정에서 현직자들에게 본인을 어필할 기회가 있다는 거겠죠. 제가 글쓴이라면 유럽에서 학위하고 학회 등의 활동을 적극 참여해서 국내 현직자들에게 어필할 것 같습니다.
넉살좋은 니콜라 테슬라*
2024.07.10
유럽박사 현직 교수인데요. 보통 거기서 거기다라고 답변 다는데 이건 뮌헨공대 압승입니다. 국내 리턴고려해도요. 해외에서는 뭐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뮌헨공대가 유리하구요. 국내에서도 제 경험상 SPK보다 더 좋게봅니다.
제가 SPK를 선택한다면 졸업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쉬워서 선택할것같아요. 독일은 졸업요건이 매우 엄격해서 보통 박사 6년합니다 학제가 그래요... 국내박사하면 뭐 인맥 과제경험 좋다 이런거 허상이니까 신경쓰지마세요. 실제 실력없는사람들이 저런말합니다. 인맥은 독일가서 정말 혼자 헤쳐나갈때 만나는 한인 친구들이 형제처럼 끈끈해질거고 그분들이 상대적으로 국내박사들 보다 더 좋은 포지션을 가져갈 확률이 높습니다.. 이상 국내석사 베를린공대 박사가
2024.07.10
유럽에서 학위하시면 국내하고 학풍이 다르다는 아주 약간의 걱정이 있으실거에요 (본인 연구분야가 공고에 안뜨는 문제). 근데 독일쪽에서 오퍼가 있는거면 당연히 독일 선택하셔야죠. 이런걸 왜 고민하세요.
2024.07.11
독일에서 공부한 사람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독일의 장점은 논문 공장 국내 연구실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본인이 열심히 하면 정말 실력있는 박사로 졸업 할 수 있다는 것이고, 반대로 임용을 고려 한다고 했을때 정량적 논문 실적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독일 특유의 여유로운 분위기에 본인도 여유롭게 했다간 경쟁력있는 객관적 실적을 모으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2024.07.08
대댓글 1개
2024.07.08
2024.07.09
대댓글 2개
2024.07.09
2024.07.09
2024.07.09
2024.07.10
2024.07.10
202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