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적어놓은 이유만으로 기피해야 하는 충분한 사유가 됨..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46 -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말 훌륭한 지식인일수록 다른 사람들의 관점도 잘 수용하며 자신의 이론을 다듬는 사람입니다. 인간은 결국 자신만의 시각에 갇혀 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글쓴이는 시각이 매우 편협해보이며 자신만의 이론을 창안했다 한들 세상에 도움 되지 않는 것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천재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그 사람이 얼마나 인류에 공헌을 할 수 있냐입니다. 아무도 알아들을 수 없는 천재의 함성은 그저 외계어일 뿐입니다.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44 - 개소리ㄴㄴ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18 - 읽는 사람이 무심코 웃게 만드는 글재주가 있네요.
요즘 연구가 힘든데 덕분에 크게 웃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28 - 일반적이지 않으니 더한 천재죠.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16 - A : autism (자폐)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14 - 천재이시니 현실 세계 십만원 돈은 금방 벌 방도를 찾을 수 있지 않겠소? 그리고 검사 비용 얘기하는거 보면 스스로도 조현병 여부를 확신하지 못 한다는 소리인데.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17 - 이사람하고 논답해봤는데 이사람 논리막히면 차단박던데..ㅋㅋ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22 - 셀프 자문자답 상황극하면서 본인을 천재라고 칭송하는거 진짜 너무 오글거려서 못보겠음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23 - 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5 - 그놈의 '불공정'.
그 지인분은 미리미리 교수님과 컨텍하고 자기를 증명하는 노력을 했던거고. 그 정도 노력도 하지않고 합격하기를 바라는 분도 불공정 아닐까요?
시험도 꼭 답을 적어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구요. 아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는지. '모르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겸허히 모른다고 할 수 있는지'가 평가 지표였을 수도 있죠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4 - 좌파정권이라서 제2의 조국, 조민이 나타나게되는건 당연한 이치임. 이래서 투표를 잘해야돼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4 - 점마 블로그글 보면 지피티가 남긴 볼드체 마크다운 그대로 남아잇음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17
석사 진학 고민 중 분야를 바꿔보는건 어떤가요?
2024.06.21

2학년 여름방학부터 학부연구생으로 1년 반이라는 시간동안 폐배터리 재활용 및 전기화학을 조금 다뤘었습니다.
현재 석사 후 취업을 희망합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분야 외에 항공소재 및 가스터빈 소재 분야에 관심에 생겨 정보를 찾아보고 있는 중인데 잘 찾아지지 않아 글을 씁니다.
학부연구생을 했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무지하다고 생각하여 새로운 분야에 간다고 크게 다를거 없다고 생각합니다.
1) 만약 위에서 말한 금속 소재 분야를 가게 된다면 어떤 학교에 어떤 연구실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2) 그리고 가스터빈이나 극한소재 분야로 가게 된다면 졸업 후 그 외에 어떤 길도 있을까요?
3) 소재 분야로 석사취업을 했을 때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희망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편하게 말씀해줄 수 있나요?
부끄럽지만 조심스럽게 의견묻습니다.
화학 대학원 김GPT 2 7 9624-
4 10 2330 -
0 6 4417 -
0 3 4059
화학과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1 5 3630-
0 4 1496
화학 대학원 분야 선택.. 김GPT 1 5 1675-
0 6 2147
계산화학 석사 취업? 김GPT 2 0 1613-
131 50 34557 -
216 23 84404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567 45 9348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여초는 절대 가면 안되는 이유와 남자들의 대처방법
74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85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34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66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37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35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32 -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70 -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32 - 국립대 학과 사무실 조교 교육부 민원으로 찔러도 되나요?
5 - 학부 대학 이름은 중요한가?
14 - 대하기 너무 힘든 (짜증나는) 박사과정 선배 - 전문연 2+1
8 - 저거 철학자A글 보고 적는건데
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20 - 수학, 철학 잘하는 메타인지 높은 사람 보셈
41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74 - 대학원 학비
10 - 아무런 도움이 없는 사람들을 논문에서 아예 이름에 빼도 되는지
10 - 어떤교수가 더 능력좋은거임?
14 - 어느 정보를 참고해야 할까요...
10 -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6 - 취업 못할거같아서 대학원 석사 어케생각하나요?
16 - Advanced Materials vs. Advanced Energy Materials
10 - 랩 운영 피드백을 듣고싶습니다
20 - 난이도) 서울대 공대 석사 입학 vs 학부졸업 후 대기업 연구개발 입사
14 - 철학자 A의 비참한 현실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여초는 절대 가면 안되는 이유와 남자들의 대처방법
74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85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34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66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37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35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32 -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70 - 엌ㅋㅋㅋ 철학자 a 신고 20회 돌파
32 - 학부 대학 이름은 중요한가?
14 - 대하기 너무 힘든 (짜증나는) 박사과정 선배 - 전문연 2+1
8 - 저거 철학자A글 보고 적는건데
16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2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진학하게 되었는데 지도교수님이 돌싱
20 - 수학, 철학 잘하는 메타인지 높은 사람 보셈
41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74 - 어떤교수가 더 능력좋은거임?
14 -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16 - 취업 못할거같아서 대학원 석사 어케생각하나요?
16 - 랩 운영 피드백을 듣고싶습니다
20 - 난이도) 서울대 공대 석사 입학 vs 학부졸업 후 대기업 연구개발 입사
14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11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7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21 - MIT 학점변환 유불리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