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31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43 - 실력없는 교수들의 실적 챙기기 이외에 가치 없습니다 특히 ai라고 하면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0 - 교수님을 개입시켜서 학생에게 한소리를 해야죠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9 - 1. 과제 특성상 1년에 sci 몇편 써야하는 경우가 발생함. 이 경우 탑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좋지만 논문 작성, 투고, 리뷰, 게재까지 시간이 오래걸림. 그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중간한 아이디어나 조금 떼서 낮은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생김.
2. 실력적으로 부족한 경우. 최상위권 연구자가 아닌 경우 나름 연구를 진행하여 중위권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있음.
3. 졸업 시 논문 편수를 요구하는 경우. 석사의 경우 가끔 sci 논문 1편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이 경우 취직을 목적으로 하는 석사 또는 박사의 경우 논문의 퀄리티 보다는 기업의 채용 자리와 과제의 연관성 등이 더 중요하기에 논문은 그런저런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가 있음.
4. 조교수 임용시 채워야하는 실적이 있음. 아마도 조교수가 되면 몇년 이내에 sci논문 몇편 채워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빠른 리뷰의 저널을 찾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음.
분야 바이 분야, 상황 바이 상황이고 모두가 탑컨퍼 탑저널에 내는 것이 좋겠지만 상황이 그렇게 만들어주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음.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1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9 - 댓글만 보면 여긴 다 이미 석학들이거나 예비석학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1 - 임용할때 졸업했는지 정도는 파악했겠죠. 그냥 CV 날조죄 정도일것같네요. 클레임걸면 수정되고 끝날 정도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5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37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7 - 신고에는 다 이유가 있다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0 - 탑 컨퍼런스는 많은 학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문제를 푼 거고, 그보다 낮은 학회는 그보다는 덜 공감하는 문제를 풀었던 것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공감하는 문제가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덜 공감하는 문제가 하찮은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기여하냐, 조금 덜 기여하냐의 차이일 것입니다.
리처드 파인만이 자기 제자한테 쓴 편지입니다.
나는 네가 별거 아니라고 할 만한 문제들도 셀 수 없이 연구했단다. 하지만, 때때로 그런 문제들을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들에 대해 연구한 것이 썩 자랑스럽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면에서의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마찰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한 적이 있었다. 실패했었지. 고체 결정을 이루는 원자 간의 힘이 결정의 탄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도 연구한 적이 있고, 전기도금된 금속을 플라스틱에 붙이는 방법을 연구한 적도 있었다. 라디오 손잡이 만들듯 말이야. 또, 우라늄 내의 중성자가 어떻게 확산하는지, 유리 위의 코팅이 빛을 어떻게 반사시키는지, 폭발이 일어날 때 그 충격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아니면 플렉사곤이라는 아이들의 종이 장난감을 접는 방법 등, 여러가지 주제를 연구했었다. 유체에서의 난류 현상에 대한 이론도 수년간 연구했지만, 전혀 성공하지 못했지. 물론 너가 아는 양자 이론에서의 "위대한" 문제들도 있었고 말야.
세상에 작거나 하찮은 문제는 없단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면, 그것으로 족하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4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6
공익을 포기하고 화학분야 석전연을 준비하는 행동이 미친짓인지 알고 싶습니다.
2024.02.17

저는 대학 4학년을 이제 졸업하는 시기에 있고 지금은 ist중 한곳에 인턴을 막 마치고 나온 학생입니다. 원래는 연구경험만 쌓고 수료증만 받으려고 간 인턴인데 연구하는 분야가 저와 잘 맞았고, 연구가 하고 싶은 마음이 많이 생겼습니다. 연구실 환경도, 교수님도 너무 좋았어요. 또한 교수님께서도 대학원 진학을 저에게 제의를 하셨습니다. 이렇게 되서.. 대학원을 가고자하는 마음이 많이 컸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년도 하반기에 저의 병역을 시작해야 합니다. 물론 병역이라고 진짜 군대를 가는것은 아니고.. 공익근무를 배정받았는데요. 하지만 공익을 하게된다면 시간을 버리는것과.. (군대도 가는것도 아닌데 너무 배부른 소리일 수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공익을 끝내도 다시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서 시간을 아끼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또한 공익기간동안 취준도 어렵다고 판단이 들어서 병역제도 중 전문연구요원을 찾아보았습니다. 전문연 제도 중 석사전문연구요원을 알아보고 있는데요(박사는 많이 겁납니다..). 전문연구요원을 뽑는 중소기업 채용공고를 보아하니 IT계열이 많고 화학 혹은 바이오분야는 많이 뽑진 않더라구요.
그래서 화학분야로 석전연하시는분들이 있는지 생존신고 부탁드립니다... 인터넷에 찾아봐도 화학관련 석전연을 하시는분들을 못봐서요... 그리고 이렇게나 화학분야 석전연이 희귀한데.. 혹시 화학관련한 석전연으로 가는 취업은 어느정도의 학벌과 어느수준의 성과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저의 학부스펙으로는 아예 꿈도 꾸지 말아야할 수준일수도 있는 생각이 드네요..ㅠ 제가 공익을 포기하고 화학분야 석전연을 준비하는 행동이 미친짓인지 알고 싶습니다.
요약:
-글쓴이는 지거국(부,경)에서 4학년을 마친 학생이다
-화학분야 ist 대학원을 진학 후 전문연 vs 공익근무 둘 중 고민을 하고 있다.
-글쓴이는 공익을 갔다와도 대학원을 진학하고 싶어한다.
-석사전문연구요원 화학분야의 현황을 궁금해하고 있다.
-학부가 지거국이고 석사가 ist정도인 학생이 충분히 지원할 만한 분야인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그곳에서 빡세게 연구와 취준을 한다는 가정하에)
화학과 졸업 후 김GPT 1 8 7706
화학 대학원 김GPT 2 7 9452
해수전지, 해수담수화 분야 어떤가요? 김GPT 0 20 1465
계산화학 석사 취업? 김GPT 2 0 1461-
3 8 1244
화학생물학 석사 취업 김GPT 1 10 1292
유기화학 석사준비 김GPT 2 3 542
고분자 합성 김GPT 0 3 459
화학과에서 화학공학과로 김GPT 1 3 2116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11 32 16927-
166 33 47263 -
260 35 3654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6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4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3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19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6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13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3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1 - SKP 바이오 학부생 다이렉트 박사 유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려요.
9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6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4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3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19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6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2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13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3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9
2024.02.17
대댓글 1개
2024.02.17
대댓글 1개
202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