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4 -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16 - 부엌에서 도구 찾아서 들고 가라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2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49 - 작성자가 댓글을 읽든, 안 읽든 간에... 그래도 이런 댓글은 안 쓰는게 어떨까요...
표현의 자유라지만... 모두가 열심히 하고 성취를 느끼고 싶어서 오는 커뮤니티인데... 아쉽네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4 - 노력은 더 해보고 포기해보시는데 어떨까요
열심히 하셨겠지만 잦은 실수, 더딘 실력 향상 등 항상 사람은 한계에 닿게 되고 그마저도 대학원에선 더욱 더 크게느껴지죠.
진짜 미친듯이 해보고도 안되면 그때 미련없이 떠나는것도 실력입니다. 지금 눈물나시는 것은 아쉬움과 본인에 대한 실망 자책감이겠죠.
많이 힘드시고 다른 것을 찾아서 하시면 더 잘하실 것들도 분명 있겠지만, 인생 뭐 있습니까? 한심하게 후배 뒷담이나하는 선배들 코 눌러주는 좋은 실적 쌓아보는건 어떠실까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4 - 본인 랩 기준 확실히 잡아서 기준 미달이면 졸업 절대 시켜주지 말고 논문은 코멘트 위주로(직접 고쳐주는거 x) 하면서 직접 고치게끔 하셈.
그리고 과제 일 제대로 안하면 랩세미나 등에서 공개적으로 좀 뭐라하고, 잘 해오는 애들한테는 칭찬 및 논문 잘 봐주고 차별을 하셈.
일 못하는 건 괜찮으나 안 하거나 잔머리 굴려서 꾀 쓰는 애들은 좀 현실의 냉혹함을 맛보게 해줄 필요가 있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8 - 꼭 그렇게 경쟁 난리를 처야지 알아먹나. 걍 잘해주고 지네 실적 만들어줄때 알아서 할거 하면 지네가 이득일텐데. 걍 진짜 애들 인생 망하더라도 알빠노 하고 열심히하는 애들만 신경써야되나. 고민이 많구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3 - 스스로 부족함을 느낀다는것은 성장할 여지가 있는 좋은 자세입니다.
학위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부단히 노력해야겠지만, 부족하면 매꿔나가면 되어요.
지금의 속상함이 더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수도 있어요!
더 나아진 본인을 상상하면서 더 노력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6 - 이런 분이 내 지도교수 였으면 더 잘될 수 있을 것 같은데... 학생들이 배가 불렀네.. 내 지도교수는 본인 이름 들어간 논문 제목 조차 모르고 연구비로 해외여행 가기만 바쁨. 졸업한 박사들 어떻게든 못나가게 하려고 가스라이팅 하고.. 지도교수와 연구적인 의견 교환 못해본게 한스럽다.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2 - 인생에 길은 꼭 하나가 아님..작성자처럼 적성에 안맞는다고 판단해서 일찍 다른 길로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는게 미덕은 아니에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2 - 이런 글에 이런 댓글 쓰는 당신이 그래보이시네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1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자기소개일 확률 높음)
작성자분 힘내십쇼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3
석사 1학기차 졸업 전 SCI 가능할까요
2024.06.10

저는 AI/ML 방법론을 특정 도메인에 적용하는 걸 좋아해서 응용 분야 연구실에 있는데요.
1학기 동안 연구주제 탐색했고, 이번 여름방학부터 연구 주제 잡고 개인연구 시작하려고 합니다.
주제는 어느정도 잡았고, A 분야에 활용된 방법론을 A' 분야에 적용하는 느낌입니다. (A분야가 더 큰 카테고리고, A' 분야는 하위 카테고리인데, 제가 적용해보고 싶은 방법론은 아직 A' 분야엔 적용된 사례가 없어서 틈새 시장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석사동안 SCI 내기 힘들다고 하던데 연구 성과를 짧은 기간안에 내기 어려운 것도 있겠지만, 리비전 등을 포함하다보면 기간이 너무 길어지는 게 문제라고 들었습니다.
혹시 IEEE Access 같은 Open Journal 들은 퍼블리쉬까지 기간이 짧던데, 세부적으로 교수님과 상의해야겠지만 낼 수만 있다면 오픈 저널은 어떤가요?
정말 잘 몰라서 여쭙습니다. 연구실 박사 선배님들한테 여쭙기 전에 궁금해서 김박사넷에 여쭤봅니다.
석사때 SCI 논문 몇편 가능하나요? 김GPT 0 23 29945
석사 sci 논문 2개 김GPT 2 26 11471
중학생 SCI 가능? 김GPT 0 11 7071-
3 7 1816
석사 졸업요건 질문 김GPT 0 4 332-
0 7 1842
조언 꼭 좀 부탁드립니다. 김GPT 1 12 1265-
5 20 5542
학부생 sci논문 1저자 김GPT 1 9 10350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60 34 107877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306 23 59514-
325 31 9607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95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21 - 학부 인턴 내보낼까 싶어요.
60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2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4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5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9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3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4 - 학점 낮아도 갈 수 있는 건가요
6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10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기업이 잘나가야 우리나라가 잘 지낼 수 있나에 대하여
6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95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21 - 학부 인턴 내보낼까 싶어요.
60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2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4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5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9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3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4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10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8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41 - h-1b 비자 10만불
9
2024.06.10
대댓글 2개
2024.06.10
2024.06.10
2024.06.11
2024.06.11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