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때 SCI 논문 몇편 가능하나요?

2020.05.29

23

29678

이번에 석사 1학기때 SCI 논문을 한편 제출 했는데 평균적으로 석사때 몇편 정도 쓰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Corneille Heymans*

2020.05.29

석사때는 1편도 못쓰는 애들 수두룩함.

2020.05.29

분야 바이 분야

IF : 2

2020.05.29

재료개발분야입니다. 석사 때 2편 게재하고 졸업했습니다.

2020.05.29

재료 관련하면 쉬워요 3편정도?

IF : 2

2020.05.29

ㄴ맞아요. 제 선배는 3편 게재하고 졸업하셨는데 전 2편이라 구박 많이 받았아요 ㅠㅠ ㅋㅋ

2020.05.29

ㄴ 와... 컴공 네트워크 쪽은 석사 박사과정 합해서 SCI 급 3편만 써도 잘썼다고 교수님께 칭찬 받는데... 실제로 3편쓰고 졸업해서, 정출연 정규직으로 간 선배들도 여러명 봤고... 연구 분야에 따라서 이렇게 다르네요.
Anton Bruckner*

2020.05.29

전 학부때만 3편썼습니다.

2020.05.29

ㄴㅋㅋ

2020.05.29

ㄴㄴㅋㅋㅋ

2020.05.29

전 초딩때 2편썻음
Fyodor Dostoyevsky*

2020.05.29

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0.05.30

학부때 쓰는 애들 이제 은근 생겨요.. 저도 1개는 이미 submit했고 졸업논문 저널화하면 학부때 2개 제출 가능합니다

2020.05.30

화공 계열이고 4편 작성하고 졸업후에 3편 마무리 했습니다.
Anton Bruckner*

2020.05.30

네이버에 학부생 sci라고 검색해보세요. 학부때 논문 여러편 쓴 온갖 대학 학생들 다 나오는데

2020.05.30

저도 학부때 1저자 하나 썼습니다. 재료
Herbert Marcuse*

2020.05.30

학부때 sci쓰는게 불가능하지는 않음.. 특히나 학부생 수준으로도 충분히 진행할수있는 실험베이스 주제를 교수님이 잘 정해주고 본인만 열심히한다면야 주저자로 적당히 좋은 저널 쓰는건 가능하죠.
그럼에도 세편이면 그냥 Q2-Q3저널에 그냥 다작한 느낌이 크긴하네요. 그리고 통상적으로 학부생이 논문쓰는건 상위권 대학보다는 오히려 중간에있는 대학들이 유리한갓 같네요. 대학원 학생 수주가 어렵다보니 학부연구생으로도 실적을 뽑으려고 노력하는곳들..

2020.05.30

여기계신 분들은 학부생이 sci 작성하는일은 세상에 없어야 하는 일로 여기고 계시군요...비공 숫자를 보니 ㅋㅋ 본인들의 능력이 평가 절하될까봐 그러시는건지? 아니면 주변에 그런사람 한명도 못봤어요? ㅋㅋ
Herbert Spencer Gasser*

2020.05.30

일단 저도 학부생때 SCI 1저자로 썼습니다. 엄청 높은 저널은 아닌데, 그렇게 쓰고 나니까 후속 아이디어로 석사 과정 때는 더 높은 저널에 쓸 수 있게 되더군요. 그리고 확실히 논문은 빨리 써보는게 좋은거 같아요. 석사 입학해서 연구주제 찾는데 1~2년 쓰는 것보다, 학부 때 연구 주제 찾는다고 시간 쓰고 석사 입학하자마자 주제 정하고 연구하는게 무조건 유리한 것 같아요.
Herbert Spencer Gasser*

2020.05.30

학부 생 때 논문 쓰는게 연구 중심학교들에서는 종종 있는 일 같아요. 저보다 먼저 대학원 간 친구는 학부때 해회 학회 1, sci 논문 1저자 하고나선 석사 때 훨씬 높은 저널에 1저자 2개 작성했습니다. 친한 친구고 연구도 엄청 잘해서 같은 대학원 다니면 좋을 것 같아서 몇번 유도해보았지만 그 친구는 박사도 자기 학교(서성한)에서 하겠다고 하더라구요.

2020.05.30

핵심은 몇개가 아니라 어느 수준 저널에 썼는지와 주저자냐 공저자가 중요하죠. Q2 3개보다 탑 1개가 더 좋은 것처럼 갯수비교는 의미 없습니다. 그리고 1저자 교신 아니면 사실 퇴색되는 부분도 있고요. 물론 NCS는 공저자로 들어가도 의미 있습니다. 그리고 분야마다 엄청다르니 타분야 참고는 의미 없어요. 재료쪽은 논문 1년 총 IF 100찍는 분도 봤고.. 경제쪽은 쓰기 어렵나보더군요.

IF : 2

2020.05.30

재료전공 글 썼다가 비공만 엄청 받았네요. 학부생 또는 석사가 주저자로 sci 쓰는 일이 없어야 할 일인데 있어서인가요, 아니면 본인이 못한 것에 대한 열등감인가요? 윗분들 말씀대로 몇 개인지가 아니라 어느 수준의 저널인지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분야마다 다르기도 하고, 게재한 저널이 scope이 본인 분야와 얼마나 잘 맞는지도 중요하구요.
글쓰신 분이 이번에 투고하시느라 고생 많으셨고, 그 과정에서 혹시나 논문 편수가지고 안 좋은 소리 들으셔서 이 글을 쓰셨는지 뒤늦게 생각도 드네요. 스타트 끊으셨으니, 걱정마세요. 더 발전해서 더 좋은 저널에도 투고하실 수 있을 겁니다.

2020.05.31

그냥 비공해보고 싶어서 해봤어요. 저도 재료쪽인데 jcr 상위 10프로 이내 슥슥 내는 데인 거 거의 다 알죠

2020.05.31

석사 1년차때 운이 좋게도 특이한 발견 해서 PRL 한편 썼습니다
올해에도 뭔가 일을 내야할텐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