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위권 대학 학부 학점 3.3/4.3 인데
석사 때 sci 논문 2개면 카이스트 박사과정 합 가능한가요? 공대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비관적인 빌헬름 뢴트겐*
2022.08.13
둘다 1저자면 당연히 좋은 실적임.
근데 여기 커뮤는 분명 내려깔게 뻔하니 너무 기죽지마셈.
대댓글 4개
2022.08.13
어떤 저널에 쓴지도 모르는데 좋은 실적인지를 어떻게 판단함??
눈치보는 알프레드 노벨*
2022.08.14
ㄴ 사가 2개정도면 mdpi라도 괜찮은것 같음
명석한 피에르 페르마*
2022.08.14
놀랍게도 mdpi보다 훨씬 떨어지는 잡sci저널들이 엄청 많습니다..
2022.08.14
mdpi라도가 아니라 mdpi도 재료쪽이면 ㄱㅊ음
나노머티리얼같은건 ㅍㅅㅌㅊ취급받음 q1이고
2022.08.13
SCI라고 하는게 탑컨퍼런스 같은 곳이라면 2년만에 1저자 2개는 아주 좋은 좋은 실적임 그만큼 매우 어려움
2022.08.14
재료과라 컨퍼런스는 아닙니다ㅎㅎ
IF : 1
2022.08.14
Sci 2개면 굳이 이런질문할 필요가 없지않나요..?
이미 본인이 잘하고있고 길이 명확할텐데요.
대댓글 1개
2022.08.14
길이 명확하다는게 무슨 의민 줄 알 수 있을까요??
2022.08.14
쉽습니다. 본인이 가고싶은 연구실들 수준볼때, 석사졸업생들이 어떤퍼포먼스 내는지 한번 봐보세요. 그 학생들보다 본인이 확실하게 우수하면 교수가 당연히 받고싶어하고, 그 학생에 비해서 애매하다고 판단되면 돈 여유가 안되는이상 굳이 안받겠죠.
대댓글 1개
2022.08.14
그리고 학계에서 sci 라고 말하는것도 솔직히 웃기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sci가 아닌 곳에 낼일이 거의 없어요.
심지어 연구실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아는 대다수의 연구실은 특정수준 이상의 저널만 제출합니다. 정량적보다 정성적 실적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들도 꽤많아서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글쓴이분이 정성적인 실적이 어떤지를 제가 잘 모르니.. 가고싶은 연구실 모니터링해서 알아서 비교해보세요..
2022.08.14
재료면 그정도 흔해요. 어필하려면 10점 짜리는 들고 와야 얘가 제대로 된 연구했구나 생각합니다.
그냥 연구실 실적용 논문들로만 업적란 채우면 보지도 않아요
대댓글 5개
IF : 5
2022.08.14
그런가요... 재료박사인데 주변에 석사때 논문 2개나 쓴 경우 거의 못봤는데..
2022.08.14
과장 심함. 분야 불문하고 석사 때 sci 2편 주저자면 잘한 건 맞지. 아무리 재료라 해도 석사가 10점짜리 주저자로 쓰기 쉽나요. 다만 그거 있다고 프리패스는 아니고 잘한 건 맞는데 딴 부분들도 보겠죠.
2022.08.14
당장 저희방 실적 좋은 방도 아닌데도 2년간 석사하고 나간 후배들만 봐도 공저합하면 4-5개씩 썻고 주저자 2개 정도쓰고 나갔어요. 재료는 그정도 해야 경쟁력 있어요
진짜 특수한 경우지만 석사논문 ㄱㅊ게 쓴애들은 afm acsnano까지 썻던 친구들도 있고요. 다른 학생들도 보통 jcr 10퍼안으로 하나씩은 쓰고 나갔습니다.
세부 분야는 달라도 전반적으로 10점 근처로 써야 상위 10퍼들어가는 분야인데 누가 재료쪽에서 sci갯수 타령 합니까..
과하다고 하시는데 취업할거면 저널 실적이 크게 작용안하겠지만 같은 분야고 박사 진학하신다 해서 말한겁니다.
2022.08.20
ㅋㅋ혹시 이사람은 답정너를 해주지 않기 위해서 이러는것이 아닐까?
2023.01.3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재료인데 s대에 그런방 흔하지도 않은데?ㅋㅋㅋㅋㅋㅋㅋ실적이 좋지 않은방이 afm을 찍어냄? afm은 박사때까지 1저자로 하나만잇어도 성공한 박사인생임ㅋㅋㅋ
2022.08.14
자기소개할때 논문실적으로 어필을 적극적으로해보시면 좋은결과있으실 것 같아요. 그리고 학점낮은 것도 왜 낮은지에 대한 설명도 하시고.. (예를들어, 학부생때는 공부외적인부분에 관심이 많았지만, 석사때 공부와 연구에 흥미가 생겨 열심히 노력했다 라던지..)
대댓글 1개
2022.08.14
확실한건 논문써본사람과 써보지않은 사람의 경험치 차이는 큽니다. 이점을 강하게 어필하시길
2022.08.15
ㅋㅋㅋㅋㅋ 석사때 afm acs nano 그 이상을 쓴들 누가 그걸 순수학생실력으로 봐요 ㅋㅋㅋ 저널폄하하는 댓글들 무시하시구요. 열심히 준비하셨으니 좋은결과 나오길 뱌랄께요. 석사때 논문 쓸 정도도 열심히 연구하고, 또 연구경험이 있으신건 충분히 카이스트 박사 합격에 큰 점수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8.17
이 댓글이 정답 ㅋㅋ
위에 눈치없는.... 이런글은 무시하세요
2022.08.17
연구도 못하는 놈들이 꼴깝을 떤다….
석사분이 논문 쓰셨다하면 칭찬을 해줘야지
대댓글 1개
2022.08.17
배아프겠지 ㅎㅎ
2022.08.18
카이스트 충분히 갑니다. 면접 준비만 잘하세요. SCI저널이 박사님들한테는 별거 아니겠지만 석사 실적으로는 충분히 훌륭합니다
2022.08.21
근데 글쓴이가 논문 두개 있는 거 맞음? 약간 모호하게 쓴 거 같은데.. 나한테는 석사 기간 동안 논문 두편 쓰겠다는 걸로 읽힘.
대댓글 1개
2022.08.21
석사 때 논문 두개 쓰는 건 노력과 실력만큼이나 운이 따라줘야 되는 스펙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학부 때 학점 괜찮게 받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에요.
2022.08.13
대댓글 4개
2022.08.13
2022.08.14
2022.08.14
2022.08.14
2022.08.13
2022.08.14
2022.08.14
대댓글 1개
2022.08.14
2022.08.14
대댓글 1개
2022.08.14
2022.08.14
대댓글 5개
2022.08.14
2022.08.14
2022.08.14
2022.08.20
2023.01.31
2022.08.14
대댓글 1개
2022.08.14
2022.08.15
대댓글 1개
2022.08.17
2022.08.17
대댓글 1개
2022.08.17
2022.08.18
2022.08.21
대댓글 1개
202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