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들고온 연구주제를 들고 박사까지 가도 되는지, 이 주제가 충분히 독창적인지 상품성은 있는지 알고싶은데요...교수님 가족 지인한테 다 물어봤는데 교수님은 몇가지 물어보시다가 이런건 못봤다 재밌겠단 말만 해주셨고 비연구자(?) 지인들은 흥미롭다 이걸 네 과에서 할 수 있냐(신생과라 과에서 의료기기개발만 하는줄 아십니다)고 했긴한데 깊게파는 사람들이 아니라서 그런지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실험설계능력 실행능력 없는 학부생의 아이디어는 유출돼봤자니까 그냥 여기다 뿌리고 의견을 들을까요 아니면 교수님 한분이지만 흥미롭다 하셨으니까 독창성이 있다고 믿고 더이상 독창성 있는지 찾지 말고 관련논문부터 읽을까요? 독창성 없다고 하시면 빨리 방향을 틀어서 보강을 하던가 아니면 생각해놓은 주제가 하나 더 있거든요...
자신의 주제가 독창적이다를 자가진단할 수 있는 님들만의 객관적인 체크리스트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그냥 첫단추는 잘 맸는지 확인하고 싶은 욕망이 큰 것 같습니다... 수업 쉬는시간에도 맨날 연구자 자질, 주제 독창성만 찾고있음... 공부에 집중할 수 있게 쓴소리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5.10
하늘아래 새로운것이 있기가 힘들어서 님이 생각했다고 해도 본질적으로 비슷한 연구 주제가 있기 마련입니다.
정말 필요한 연구주제/기술이라면 어느정도 학계에 공감대가 형성이 되어있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공유되어있지요. 각자가 나름의 방법으로 문제를 풀려는 노력을 하고, 그 과정의 산출물들이 논문이 됩니다.
학부 수준에서 생각한 아이디어라면 더욱이 이론적 깊이를 갖추고있기가 어렵지요. 주제가 정말로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되는 연구주제인지, 아니면 기술적으로 구현하고싶은 희망사항만을 담고있는지 생각해보세요. 혹은 특허가 더 적합한 주제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학술 자료 검색 능력을 먼저 키우셔서 더 많은 선행 연구나 특허들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댓글 2개
2024.05.10
abcd 중 ab는 구현이 되어있는데 ab방법으로 안되는 cd와 abcd중 둘 이상을 동시에 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이랑 논문찾아도 없다고 할때 이연구는 기술적으로 구현하고싶은 희망사항이겠죠...? cd구현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는 공유되어 있고, ab를 이용한 스타트업이 국내에도 있는걸 사이트로 봤습니다. 나름 cd 해결책을 생각해봤는데 많이 어려울 것 같긴 하네요...이 해결책이란 것도 그럴수있겠다 재밌겠다라고만 하셨습니다.
이렇게 연구주제 고민하는 것도 나름 첫 단추 잘 꿰맸다고 할 수 있는게 맞겠죠??
2024.05.10
생각해보니 저만의 주제는 아니긴 하네요...근데 암것도 모르는 학부생이 누가 그런걸 할수 있겠습니까 ㅋㅋㅋ존경합니다
2024.05.10
처음부터 어떻게 알겠어요~ 교수님께 지도받을 자격을 충분히 누리시길
대댓글 1개
2024.05.10
ㅎㅎ...여름방학부터 학부연구생을 하기로 했는데 첫단추는 잘 맸는지 걱정이 돼서 올렸습니다... 논문 검색하는 방법부터 배워야겠습니다
재빠른 맹자*
2024.05.10
흥미롭다 = 노예영입을 위한 립서비스.
2024.05.14
학생이 생각하는 걸 다른 사람들이 생각을 안해봤을 까요? 세상에 그런거 없어요. 여기 공개해봐야 아무 문제 안됩니다.
2024.05.10
대댓글 2개
2024.05.10
2024.05.10
2024.05.10
대댓글 1개
2024.05.10
2024.05.10
2024.05.14
2024.05.14
대댓글 1개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