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컨택 때 학부 많이 따질까요..?

2024.04.21

13

2660

지방 컴공 2학년 재학중인데 현실적인 조언이 필요합니다.

학교에서 교수님들의 연구보다는 강의에 집중해서 학생들 취업에 힘을 쏟는 분위기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제가 김박사넷에서 글을 보다보면 학부연구생이어도 대학원생들과 같이 협업하는 랩실의 분위기와는 다르게 연구에 관심있는 학생들도 손에 꼽을 정도고 교수님은 도움만 주시는 선에서 제가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끌고 가야하는 상황이라 퀄리티 있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1학년때도 지도교수님과 단 둘이서 작업 했었습니다.. 랩실이 있긴하지만 말이 랩실이지 사실상 동아리, 소모임이랑 다를게 없는 성과,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지방 사립대 학사가 나중에 대학원 컨택 할 때 큰 걸림돌이 될까 걱정이 됩니다. 그래도 취업에서는 점점 개인의 역량, 실력을 위주로 흘러간다고는 하지만 대학원도 그럴지 모르겠습니다.. Computer Vision 분야를 희망하고 있고 목표는 SKP로 잡고 싶은데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올해 편입을 염두해두고 있습니다. 올해 안된다면 재수를 해서라도, 연구경력 단절이라 표현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1~2년의 공백이 생기면서, 석사를 다이렉트로 시작하는 남들보다 1~2년 늦게 시작하더라도 학부 레벨을 높이는게 나중에 대학원 진학에 도움이 되는 선택일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4.22

컴퓨터비전이면 엄청 인기많은 분야 아닌가요?
skp면 학부때 논문들고 오고 상위대학 수차석들도 지원하는 곳인데 많이 어려워 보입니다. 가더라도 하위권 랩에 갈 것 같습니다. 꼭 가고 싶다면 편입이 좋을 것 같아요

이와 별개로 지금 글에서는 해당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싶다기보다는 학교 간판에 대한 열망?만 보이는데 2학년이라 당연한 것 같기도 하구요. 컴퓨터비전 SKP 연구실 홈페이지 찾아보시면서 어느 세부분야를 하고 싶은지, 학생들 CV 오픈된 곳 보시면서 어느정도 수준인지 직접 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대댓글 2개

2024.04.22

조언 감사합니다. 글이 길어질것 같아서 많이 생략 했습니다.. 1학년 때 냈던 학술대회 논문 2개 있는게 전부이긴 하지만 학부 마치기 전에 access 정도 수준의 해외 논문 준비해서 가는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세부분야 정하면서 조금 더 고민해보겠습니다!

2024.04.22

학점 수석 챙기시고 access 1저자로 억셉되시면 skp 어떻게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학부때 그정도면 대학원 때 탑컨퍼 쓰실 것 같구요. 힘내십시요

2024.04.22

SKP 는 서성한에서 잘해도 힘든데요

대댓글 1개

2024.04.22

skp 힘든거는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했던건 지방대에서 4년동안 꾸준히 연구실적 채우는거보다 편입으로 학부 레벨을 바꾸는게 더 좋은지입니다

2024.04.22

무조건 편입을 해야죠, skp ai 랩 가서 인턴들 수준 보세요, 인기랩들은 ssh 이 마지노선이고 탑 학회 페이퍼도 들고오는 학생들도 있음. 물론 비인기랩은 그런 학생들이 없겠지만요

대댓글 3개

2024.04.22

제가 개발 실력으로는 인서울권 학생들에 뒤쳐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연구 쪽에 관심이 생기니까 학부 레벨,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더라구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4.04.22

최종 목표가 취업이신가요? 아니년 연구자신가요?

대학원은 CV가 됐든 뭐가 됐든 개발자 능력을 보는게 아닐 텐게요.

2024.04.23

결국에는 제가 연구자의 길을 걷더라도 증명하고 재현하는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하려면 코드를 짜서 구현을 해야할텐데 그 부분에서 남들에 뒤쳐지지 않는다 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제 생각이 짧았을 수도 있으니 다시 한번 생각 해볼 수 있게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4.23

2학년이면 그냥 편입 준비하세요 상위권 공대는 커리큘럼 차이가 지방 사립과 차이가 매우 커서 나중에 대학원 와서 너무 고생할수 있어요 상위권 공대 편입해서 커리큘럼 따라 자대 가시는걸 추천

대댓글 1개

2024.04.23

조언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남들 1,2학년 때 교과과정에 있는 기본적인 미적분, 선대 조차 없어서 상위권과의 차이가 많이 느껴지긴 했습니다..

2024.04.23

학교마다 기준이 다 다르기는 하지만, 실험실 컨택이 되어 있어도 서류통과까지는 학교에서 붙이고 자르는 경우가 많아서 이 부분에서 걸리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특히 같은 GPA를 가지고 있더라도 지방쪽에는 점수가 굉장히 짜서 논문을 쓰고 뭘 해도 올 A+급의 성적표가 아니면 힘드실겁니다. 저는 진짜 연구가 하고싶으신 거면 더 아래 라인 대학원에서 관심 분야 연구하는 랩을 찾아보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4.04.23

목표를 skp로 잡긴 했습니다만 받아주는 곳이라도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확실히 지방대로는 나중에 발목을 많이 붙잡을거 같으니 일단 편입해서 학부 레벨부터 올려봐야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