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과고, 영재고 애들은 지스트, 유니스트랑 연세대랑 붙으면 상당수는 지스트, 유니스트 가는데요..
59 - 대학생 수 비교해보세요ㅋㅋㅋ 그 인력으로 포공 위상 유지하는게 개쩌는거임
19 - 부경대보다 더 낮은 대학출신들이 더 많이가는게 연대임
22 - 지나가는 포공 학부생인데요 맨날 이런글 그냥 넘기다가 사람들이 진짜 이런 선동글 보면서 진짜 이렇게 생각할까봐 걱정되서 한마디 합니다.
포스텍이 학교 규모가 작고 포항에 있어서 요즘 지방 기피 현상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건 사실이나 여전히 우리 학교 학생들 똑똑한 친구들 많이 오고 아웃풋도 여전히 꿇리지 않는데 왜 그렇게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냐... 글쓴이는 연대생이 아니길 바라며 대학원생이라면 서열질에 반성하시고 연구에 집중하길 바랍니다.
29 - 석박하면서 월 50-60받는 연구실은 본적 없습니다. 인건비 떼먹는 다는 등이상한 괴수 소리 듣는 곳도 월 180은 나온다고 들었던걸로 기억합니다. 등록금은 월급 받아서 본인이 분할신청 하던지 일시불로 내면 되고요. 이정도 물어 볼 학교 선배도 없습니까?
19 - 팩트는 글 처럼 하는 사람들 거의 없고, 유능한 학생들 소수한테 짬질해서 글과 유사한 다운그레이드 방식으로 랩 굴리면서 나몰라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단지, '이게 되네?' 라는 운의 반복이 지속된거고 랩 관점에서는 이게 글쓴이가 말한 선순환 구조라고 볼 수 있음.
19 - ㄹㅇㅋㅋ 유능한 노예가 핵심임 본문은 너무 교수입장에서 포장된듯
16 - 설 카 연 포 고 순서
18 - 랩바랩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과기원이 전반적으로 낫죠. 종합대랑 과기원이랑 환경부터 차이가 큽니다.
12 - 27살에 석사 시작한 여자입니다. 다이렉트로 박사시작하고 지금 4년차 34이네요.
(이런말 실례일수도 있는데, )남자라면 고민안했을건데...ㅎㅎ
20대였으면 고민도 안하고 미국포닥 준비할 것 같은데...여러가지 생각을 뒤로 하고 취업준비합니다.
박사과정에는 3가지가 잘 따라줘야 한대요. 운, 건강, 실력.
박사과정을 마무리하는게 생각보다 어렵다고들 했는데 콧웃음친 대가인지..
실력이 없어서 실패한건 내잘못이니 덜 억울하지만, 운이 너무 없었어서 억울은 합니다 ㅎ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하는 순간 지르세요. 매일 같이 울었고 1년이 멀다하고 정신병걸릴뻔하긴했지만 버틴것에 대해 남는건 있습니다.
최선을 다했거든요.
진짜 힘들때(지도교수 횡령으로 랩이 없어질 위기있었음 ㅎ) 누가그러더라구요.
박사과정은 졸업이 최우선이라고.최선을 다하되 실패했을때를 대비한 Plan B를 반드시 세울것!
박사과정의 최우선은 드럽고 치사해도 졸업이었습니다. 별말아닌데 죽어라 최선을 다했어요.
글쓴이님은 성공하시길 간절히 바랄게요!
10
대학원 결정에 대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2024.02.28
중경외시 4학년 자연대생입니다. 학점은 4.26/4.5인데 현재 생분해성 고분자를 하시는 교수님들은 spk보다는 다른 대학에 많이 계시는 걸로 압니다. 아무래도 학점이 높다보니 부모님께서도 더 높은 쪽으로 가길 희망하시고, 저도 조금씩 욕심이 생깁니다.
현재 생분해쪽으로만 너무 집중하다보니 오히려 대학원을 더 못 찾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생분해쪽에 대해 최근에 연구를 하셨다면 그거 하나만 보고 컨택을 결정해도 될까요? 아니면 고분자를 연구하시는 교수님들 밑으로 들어가 생분해를 제쪽에서 자체로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쪽이 맞을까요?
또, 고분자계열이다보니 자연계열인 저는 물성이나, 수학적인 지식이 상대적으로 빈약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혹시, 컨택 전 공부해야 할 것들이 추가로 있을까요? 가능하시다면, 교재등을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현재 생분해쪽으로만 너무 집중하다보니 오히려 대학원을 더 못 찾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생분해쪽에 대해 최근에 연구를 하셨다면 그거 하나만 보고 컨택을 결정해도 될까요? 아니면 고분자를 연구하시는 교수님들 밑으로 들어가 생분해를 제쪽에서 자체로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쪽이 맞을까요?
또, 고분자계열이다보니 자연계열인 저는 물성이나, 수학적인 지식이 상대적으로 빈약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혹시, 컨택 전 공부해야 할 것들이 추가로 있을까요? 가능하시다면, 교재등을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
3 13 3365 -
9 9 6271
대학원은 무조건 설카포인가요? 김GPT 5 20 7863
잡대생 대학원 진학 김GPT 6 8 6410-
4 7 4168 -
7 6 1139
대학원 스펙 김GPT 0 3 5181
대학원 관련 고민 김GPT 0 6 1267-
0 7 1170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11 25 31194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5 34 96234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183 36 3280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