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HPC 분야를 공부하려면

2024.04.19

16

1378

국내에서는 아직 투자가 거의 없는걸로 알고있긴하지만
개인적으로 추후에 빅데이터랑 HPC 융합하는게 당연시되고 있어서 엄청 유망한 분야라 생각되는데요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렁이라서..
혹시 HPC 고성능 컴퓨팅을 공부하려면 아예 기계공학쪽으로 가야할까요?
컴퓨터공학에서도 HPC를 연구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HPC 연구하려면 어떤걸 알고 어떤 것부터 공부해봐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진심으로 감사하겠습니다
국내 대학원 랩실 추천도 해주시면.. 꾸벅 ....

아는게 C++ JAVA Phython 정도밖에 없어서요 ㅠㅠ..
답변해주시면 절하겠습니다 삼대가 행복하실거에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4.19

오호 반갑네요.

HPC는 전자, 컴공에서 연구합니다. 기계과에서 하는 경우 못 봤습니다.

공부해야 할 거는 컴퓨터구조, 시스템프로그래밍가 있고 언어는 C/C++부터 시작합니다.

대댓글 3개

2024.04.19

헉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학부생이고 4학년이라..
혹시 랩실은 전공 이름 어떻게 검색해서 찾아봐야할까요?? 추천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제가 네이버/우테코 등의 부트캠프나 포스텍 AI 아카데미 같은 각종 대외활동들도 고려 중이었는데 논문을 그냥 따로 파보는게 나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ㅠ!!!

2024.04.20

기계과에서도 합니다. 특히 CFD 쪽은 원래 HPC랑 관계가 아주 깊고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어떻게 병렬화해야될지 같은걸 주로 합니다.

2024.04.20

앗 그렇군요!!! 피보나치님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둘 다에서 공동으로 진행하는 분야인가보네요..!! 그런데 피보나치님 저런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한 대외활동들이 HPC 대학원 진학에 있어서 교수님이 의미있게 보실까요..? 혹시 어떤 활동 추천하시는지 답변 남겨주시면 진심으로 감사하겠습니다!!

2024.04.19

컴퓨터 구조의 일부 분야로 HPC가 있는 거여서 일단 컴퓨터 구조 하시는 교수님을 찾아야 하고요.
생각나는 교수님들은 S대 A교수님, S대 K 교수님, S대 L교수님, K대 K교수님, K대 J교수님, K대 R 교수님.

2024.04.19

관련된 학회가 ISCA 하고 HPCA, MICRO, ASPLOS니 한번 찾아보세요.

대댓글 3개

2024.04.19

헉 정성어린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전부 열심히 찾아보겠숩니다!!!

2024.04.20

그렇지 않습니다. 컴퓨터 아키텍처에서 HPC를 하는 사람들이 있을 뿐 별도의 분야입니다. HPC 자체 학회들도 따로 있어요. IPDPS, SC, ICS, HPDC, PPoPP 얘네가 HPC 쪽 학회예요.

2024.04.20

앗 그렇군요..!!! 두 분 다 말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HPC쪽 학회 한 번 열심히 서치해보겠습니다!!!!:)

2024.04.20

HPC 했던 사람인데 개인적으로 비추합니다. 솔직히 빅데이터고 뭐고 HPC의 중요성이 높아진다고 해서 HPC 쪽에 투자가 획기적으로 늘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왜냐, HPC가 전형적인 밑빠진 독에 물 붇기 식의 보이지 않는 아웃풋이 안 나와도 대규모 투자를 해야 그나마 경쟁력이 생기는 분야거든요. 근데 성과주의가 강한 한국에서 그런 정책을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그렇다보니 HPC에 강한 나라들이 얼마 없어요. 그나마 기초과학에 묻지마 투자를 많이 하는 유럽, 일본, 미국 정도입니다. 중국 미국은 국방관점에서 HPC를 바라보기 때문에 투자를 더 많이 하는 편이고요.

대댓글 2개

2024.04.20

HPC 하실꺼면 유럽 중국 미국 일본으로 가셔야됩니다. 한국에서는 힘들어요. 연구하는 곳들도 몇곳 없어요.

2024.04.20

앗 그렇군요.. 제가 사실 경제적 여건이 안돼서 학비가 저렴한 독일 쪽을 계속 찾아보고 있긴 했는데, 언어 소통이나 절차가 까다로운 것 같아서요 ㅎㅎ ㅠㅠ 편한 모국에서 하고 싶었는데 역시 아직 안되나 보네요.. 일본 쪽도 괜찮나보네요 ㅎ.. 정성어린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해외 대학원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024.04.20

HPC가 좀 다양해서 그 안에서 뭘 하고 싶냐에 달려있어요. 굳이 나누자면 HPC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하드웨어로 나눌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은 거의 다 수치해석 알고리즘 어떻게 병렬화 잘 하나 그런 연구입니다. 그래서 수학지식이 있으면 좋고, 도메인 지식 (물리, 기계) 이 있으면 좋습니다. 즉 복전 하면 좋다는 얘기죠.

시스템은 런타임, 파일 시스템, OS 등등 다양한데 당연히 프로그래밍 능력이 제일 우선시 됩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같은거에 기여한 경력이 있으면 도움이 되는데 제일 쉬운건 시스템 랩에서 학부연구생 같은걸로 연구 경험을 쌓는겁니다.

하드웨어 쪽은 학부연구생이랑 수업 듣는거 말고는 관련 경험 쌓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2024.04.20

Introduction to High Performance Computing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이 책이 입문하기 좋은데 보시면 기본적인 오버뷰는 되실꺼예요. 실무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면 High Performance Parallelism Pearls 이 시리즈 한번 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4.20

헉... 이런 질문글 귀찮을 수도 있으셨을 텐데 이렇게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한 마음 뿐입니다 .. ㅠㅠㅠㅠㅠ 저도 나중에 꼭 누군가에게 이렇게 지식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네요ㅎ 분야도 너무 쉽게 알려주셔서 이해가 바로 됐네요 책도 바로 읽어보겠습니다 !!!!! 정말 감사합니다 복 받으실 거에요 피보나치님 !!!!:)

2024.04.21

hpc.. 전통적으로 전전, 컴공, 기계공, 수학 이렇게 hpc를 쓴다고 볼 수 있는데 기계나 수학은 application이고 하드웨어쪽이면 전전이나 컴공(컴공은 application도 당연히 함) 가셔야 할듯요. 학부 과가 어떻게 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hpc 공부하려면 선수과목이 줄기찹니다. 저는 application 하려고 듣긴 했는데 학부에서 자구, 컴구, 프로세서관련 수업, 운체, 병렬프로그래밍 정도는 들어야 이제 기본적인 OpenMP정도는 가져다 만져서 쓸 줄 아는 거 같습니다. 기계도 cfd나 이쪽으로 파면 이런거 다 알아야 합니다.

잡설이 길었는데 application 위주인지 아닌지에 따라 대학원 전공선택 방향이 달라진다고 봅니다. 한동안 나라에서 hpc 키우던 시절이 있었는데 요즘은 좀 많이 죽은거 같아요. 그리고 윗분들 말씀대로 hpc 시스템 연구도 그렇겠지만 특히 이걸 가지고 응용하는 분야는 컴퓨터가 좋아야 뭐라도 합니다. 컴퓨터는 돈이구요. 한국은 이런데 쓸 돈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