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석사 2학기생이고 같은 프로젝트 하던 친구는 석박과정 4학기생입니다. 4학기생 친구가 하던 방법론에서 제가 아예 다른 루트를 찾았고 이번 논문에서는 제가 찾은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데이터도 제가 냈구요.
Wet과 dry가 섞인 내용인데, 전 둘 다 하고 있고 4학기생 친구는 dry만 했었어요. 그래서 application에 들어가는 실험은 모두 제가 하고 이젠 방법론도 제가 찾은 걸로 가게 됐구요.
이럴 경우 방법론, 응용 분야까지 한 제가 1저자인건 지 아니면 바꾸기 전 방법으로 2년 동안 그 분야를 한 4학기생 친구가 1저자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경험이 없어 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10.03
"저자"는 글을 쓴 사람을 이야기 하는 거라 연구 기여도와는 다른겁니다. 초안을 쓰는 사람인 1저자입니다.
2025.10.03
wet까지 했고 없고는 상관 없고 논문 작성 들어가기 전에 지도교수님이 알아서 교통정리 해주실거임 근데 상황 보니 둘 중 누가 1저자로 결정돼도 다른 한명이 아쉬워하는 일이 발생할거같긴한데 둘 다 졸업이 좀 더 남았으니 그냥 이번엔 A가 1저자하고 B가 2저자해라, 대신 다음 연구에서는 B가 1저자하고 A가 1저자만큼 많이 기여해라 이런 결정이 날 거 같긴 함 저라면 당장 이번 연구를 속속들이 더 잘 아는 학생에게 1저자 줄거같음
2025.10.03
글쓴이가 1저자이죠 연구 주제 오래 잡고 있어도 연구 결론을 못내고 있는데 이게 어떻게 1저자가 될 수 있나요? 이거는 명확하게 하세요 실험 방법론 제시하고 실험까지 주도하고 초안 작성도 했다면 누가봐도 글쓴이가 1저자여야합이다. 석박통합은 그저 과정일 뿐이고 그 과정이 논문 대신 써주는 거 아닙니다.
2025.10.03
위에 댓글에 글 쓴사람이 저자라는건 개소리고요. 당연히 연구 기여도 높은 사람이 1저자가 되어야 하는 겁니다. 다만 1저자가 워낙 중요하다보니까 이런 과정에서 저자 선정이 민감하겠죠. 자기 후배한테 자리 뺏기는 걸 달가워하는 사람 당연히 없을거고요. 굉장히 불편하겠지만 선배한테 가서 연구 기여도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교수님한테도 본인이 이 연구에 기여가 많은데 좀 챙겨줬으면 한다 어필을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0.03
저는 글쓴이 상황하고 약간 비슷한데, 같이 연구하는 선배가 방법론이 틀린게 아니라 아예 근무태만을 해서 제가 논문 내용을 다 찾은 적이 있습니다. 결국 교수님과 토의 끝에 해당 논문을 공동 1저자로 출판했습니다.
다만 둘 다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는 했고 합의 하에 파트를 나눠서 같이 하다가 글쓴이 님 쪽이 잘된 상황이라면, 또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기여도 및 저자순위에 대해 불만이 있다면, 질질 끌지 말고 교수님하고 선배하고 얘기해서 확실하게 담판을 짓는게 좋습니다.
2025.10.04
글쓴이가 논문 쓰면 글쓴이가 1저자가 되는건데 뭘 걱정함?
2025.10.04
뭐 분야마다 다른데 보통은 논문 초안 작성한 사람이 1저자입니다. 초안 작성 자체가, 일단 논문의 모든 내용을 다 알고 있다는거구요, 그 데이터를 본인이 다 뽑지 않아도, 이해를 하고 있어야 논문을 적을 수 있거든요. 글 적는게 쉬운게 아닙니다. 논리적, 과학적 논의가 될 만하게 적어야 하는데 꽤 높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그러니 보통 논문을 적은 사람이 1저자 맞습니다. 근데 실험이나 핵심적인 결과를 낸 사람이 따로 있으면 보통 공동 1저자를 가져가는거죠.
글 적은 사람이 1저자가 되지 않는 경우는 뭐 졸업생이나 나간사람 연구 모든걸 아예 3자가 그대로 받고 흐름까지 교수님이 다 말해줘서 진짜 "글"만 적은 사람이면 보통 2, 3저자가 되기도 합니다.
2025.10.04
공동 1저자. 거기서 앞저자 주장하세요.
그정도가 최선으로 보입니다.
2025.10.04
님의 연구가 부가적인경우 2저자가됩니다. 주된연구가 님의연구를 필요치않기때문입니다. 1저가될려면 필요조건 연구여야됩니다. 공동1저자가됩니다. 님이연구가 주된연구였다면 그럴리없겠지만 있다면, 새로운 논거이겠지만 그렇다면 고민할것도없는거지만, 그럼 님 단독으로 1저자가됩니다
박승준 서명
2025.10.04
연구내용 챗지피티에게 써달라고하면 챗지피티가 1저자겠네요.
2025.10.05
연구를 주도해야 1저자임. 주도한다는 의미는 본인이 생각하고 실행하고 그 결과가 생각과 설명의 흐름에 핵심이어야 하고 내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임. 모두가 모호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다들 이미 알고 있음. 본인 객관화가 된다면.
2025.10.03
2025.10.03
2025.10.03
2025.10.03
대댓글 1개
2025.10.03
2025.10.04
2025.10.04
2025.10.04
2025.10.04
2025.10.04
2025.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