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같은 소시민은 그냥 그사람들이 만든 이론에서 뭐 근사좀때리고 끄적거린걸로 응용하고 네이쳐에 논문을 내니 마니 아둥바둥하면서 살아갈뿐
하지만 지금도 어딘가에는 과학 패러다임을 다시한번 바꿀 천재가 숨쉬고있다는 사실은 좀 가슴뛰는군요
한편으로 내가 그사람은 아니라는 자각은 약간의 씁쓸함을 동반하지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3.16
본인도 이론물리학 하면 알지 않습니까. 이론물리학으로 패러다임을 바꾼다? 살아 있는 사람 중에 그런 사람 어디 있던가요?
대댓글 2개
2024.03.18
살아있는 사람중엔 없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위튼이나 말다세나는요?
2024.03.18
위튼도 말다세나도 패러다임을 바꾼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들의 beyond 표준모형 이론은 아직 (일단 이렇게 말해 둡시다) 성공하지 못했으니까요. 우리는 여전히 상대성이론과 표준모형의 패러다임 속에 살고 있습니다.
2024.03.16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2024.03.16
저 역시 천재 아닌 일개 이론물리 박사과정이라 열심히 틈새 시장 노려서 사소한 방법론 하나 만들어내는걸 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진짜 천재들은 이론 자체를 만들어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조금 추가된 모델 하나, 조금 수정된 방법론 하나 쌓는식으로 학계가 조금씩 발전해나가는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아무래도 이론물리 자체에 큰 변혁이 없다보니 그런 천재들이 활약할 기회가 잘 없어보이는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도 이런 범부 식의 연구도 생각보다 뿌듯한 것 같습니다.
2024.03.16
이미 웬만한 것들은 옛날 사람들이 다 해놔서 더 새로운 것을 하는 난이도가 점점 올라가는 학문임 천재가 없는게 아니라 천재도 좌절하는게 이론물리학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인슈타인이 현재 시대에 태어났으면 이론 물리학자가 된다해도 지금처럼 유명해지진 못했을 것 같음. 아니면 이론물리를 선택 안 했거나 다른 분야는 AI의 도움으로 증가하는 학문의 난이도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진짜 순수 이론물리는 직접 사람이 수학으로 해결해야 돼서 AI의 도움을 받기도 힘듬
2024.03.16
과학으로 밥벌어 먹고 살면서 아직도 천재가 띡 하면 혁명이 일어난단 식의 환상을 믿어요? 성숙한 학문 분야란 재능 있는 사람들이 좋은 학교에서 훈련 받고서도 다같이 피똥싸면서 연구해서 조금씩 조금씩 아둥바둥 진보해 나가는 건데, 이걸 아직도 모른다면 연구가 뭔지에 대한 마인드가 잘못된거 같은데.
2024.03.16
물리학계 연구결과들을 보다보면 패러다임을 바꾸는 연구들보다 평범한 연구들이 훨씬 천재적이라고 생각하게 될 때가 많아요. 패러다임을 바꾸는 연구를 해내는 사람은 우리가 생각하는 천재랑은 느낌이 좀 달라요.
2024.03.16
신대륙 탐험이랑 비슷한 거라서, 그런 부분에 너무 신경쓸 거 없습니다.
2024.03.17
아직도 띡 딱 같은 생각을 하고 있으면 ... 아인쉬타인은 어려서 부터 상대성 이론을 생각하고 20년을 계속 생각해서 얻어낸 결론입니다. 노벨상 받은 사람들이 물론 두뇌회전이 빠르긴 하겠지만 꾸준한 생각을 하는 능력이 더 중요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허준이 같은 경우도 대입 과외했던 사람이야기는 그리 똑똑해보이지 않았다고 하던데. 그건 한국식 평가 기준으로 본거라고 봅니다.
먹구사는거 걱정되면 30살에 의대 가면 됩니다.
2024.03.17
한국에서도 그런 천재는 있는데 그런 애들은 싹 의대나 행정고시로 빠지는게 문제지 ㅋㅋㅋ
대댓글 2개
2024.03.18
절대 아님. 의대나 5급공무원 갈 애들 한트럭 모아놔봤자 이론물리 못함. 고3 시험이랑 한국 행정고시 잘본다고 HEP-th도 잘할 것 같음? 우스운 소리다 진짜...진짜 이론물리 좋아하는 소수의 물리학과 학생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학생들이 가는 곳임. 한국에서 HEP-th 대학원생 자체가 아주 드물고, 제대로 자리잡는 사람은 그 안에서도 드물음. 공부 목적이 출세인 애들은 한계가 명확함. 의대나 행시 붙은 애들 똑똑하니까 아인슈타인처럼 될 수 있었을 거라 생각한다면 정말 큰 오산임.
2024.03.19
천재가 나와도 의대나 행정고시로 간다고 했지, 의대나 행정고시 간사람들이 천재라는 뜻이 아니잖습니까. 우스운 소리는 슈뢰딩거님이 하고계십니다. 말투를 보아하니 자기 실력에비해 성급하게 자만해지신거 같은 데 아직은 겸손 챙기시죠.
2024.03.18
물리학 박사를 하는 사람으로서 요즘 미국 학회(APS) 가보면 진짜 기존 이론 모델에서 조금 발전시키는 정도까지 인걸로 보임. 오히려 관습에서 벗어난 기발한 모델을 제시하면 공격당허기 일수였음
2024.03.16
대댓글 2개
2024.03.18
2024.03.18
2024.03.16
2024.03.16
2024.03.16
2024.03.16
2024.03.16
2024.03.16
2024.03.17
2024.03.17
대댓글 2개
2024.03.18
2024.03.19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