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저널 중에서..

2024.02.27

8

1764

생각보다 상위대학이나 정출연에서
MDPI sensors나 MDPI remote sensing에 게재를 많이 하시는거 같더라구요?

MDPI가 꾸준히 말이 많다고는 해도 위 2개의 저널은 나름 괜찮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2.27

정출연은 기관마다 다르지만, 생각보다 열심히 해서 탑저널애 게재하려는 사람들이 적습니다. 논문성과에 대한 보상도 적어서, 그냥저냥 다들 편하게 과제실적만 맞추고 기술이전으로 돈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국내 탑대학도 센서스도 사실 단기간 과제실적용으로 냇거나 태뉴어를 위해서 정량적 논문숫자 맞추려고 냇을 확률이 높습니다.
제가 센서스에 게스트 에디터로 잇는데, 가끔 스페셜이슈 맡아야되서 다른 사람들에게 논문 내달라고 하기 민망합니다. 정말 친하고 서로 돕는 지인한테만 부탁해요

대댓글 1개

2024.02.27

말씀 감사합니다. 게스트 에디터 하실때 논문 리뷰를 해주실 리뷰어는 직접 선정이 가능한가요?
엉뚱한 마키아벨리*

2024.02.28

대댓글 1개

2024.02.28

자꾸 mdpi에 sensors는 괜찬다 어쩐다 거리는거 sensors에 논문 많이 낸 물박사들이 헛소리 하는듯ㅋㅋ
mdpi에 대표 저널이 IJMS, molecules 등인데 그냥 내면 90%이상 퍼블리쉬됨. 간혹 에디터 리젝은 있는데 리뷰 들어간뒤 리젝은 사실상 없음. 리뷰에서 그냥 서로 사소한 것만 지적하는 수준임.

2024.02.28

괜찮다는게 말그대로 구천을 떠도는 논문같은거 아까우니 실적용으로 내도 괜찮다는 정도.

2024.02.28

MDPI는 기본적으로 다 리뷰가 거의 유명무실하다고 보면 돼요. 그니까 정상적인 논문들도 올라오는 상태가 그나마 나은 저널도 있지만 그런 곳도 이상한 논문들이 쉽게 억셉됩니다.

2024.02.28

버리는 것보단 나으니까 내는 거죠.
거기서도 누군가는 졸업하고 과제나 승진 실적 채워야 하니까요.
그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2024.02.29

Remote sensing은 나름 peer review 빡세게 한다던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