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sky에서 기계공학과 공부중인 학부생입니다. 졸업 후엔 로보틱스 관련 랩실에 들어가 석박을 하고 연구원, 또는 기회가 된다면 교수가 되고 싶습니다.
최근 여러 랩실을 찾아보고 있는데 마음에 드는 랩실 중 자율주행, mapping, AI 관련한 로봇랩실이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님의 랩실인 경우가 있더군요. 제가 만약 이러한 랩실에 들어간다면 기계공학 교수님의 랩실에 들어가는 것과 비교하여 단점이 있을까요? 또, 제가 그럼 석박 졸업을 하게 되면 기계공학박사가 아닌 전기전자공학부박사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로보틱스 박사가 되는 건가요? 이러한 부분이 나중 교수임용시에 애매해지는 부분이 생길지 궁금하여 글 쓰게 되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1.21
임용할거면 ai로 로보틱스해야 티오가 많을 것 같음
대댓글 1개
2024.01.21
기계공학과는 이미 교수진 꽉차 있지않나... ai도 곧 교수티오 없긴할건데... 기계공학보단 많을 것 같아요
로보틱스는 ME, EE, CS 분야 전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분야라서 타 학과로 진학한다고 전혀 단점이 되지 않습니다. 박사하고 나서 이력서 세부전공에 로보틱스 기입하면 됩니다.
근데 가끔 임용공고에 특정 학부학과 전공 필수라는 조건이 붙을때가 있습니다. 해당 학과 기초전공 수업을 해야되서 그런데 그럴때는 불리해질 수도 있죠...
2024.01.22
로보틱스 분야 spk학석박/탑대학 포닥 밟고 정출연/학교 모두있어본 현직입니다. 학과는 정말 상관없으며, 어차피 나중에는 "OO분야 연구하고있는 OO"이라고 소개하게 될겁니다. 기계공학과 박사라는 말은 사실 너무 범용적이라서 의미가 많이 없기도해요. 전자과든 기계과든 컴공과든 본인분야 잘 살리는게 중요합니다. 당장 기계공학과에서 로보틱스 하는 교수들만 해도 CS/EE등 다양합니다. 다만 윗분말씀처럼 학과수업관련된 지식들 때문에, 그런것 관련되서 디팬스만 잘되면되는데 같은 학부나오셨으면 충분합니다. 참고로 저도 기계공학과 학석박이지만 타과에서 교수하고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임용이 목적이면, CS학과 교수로 임용될것이 아니라면 결국 저널이 가장 중요하기에, 저널잘쓸수있는 곳으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CS학과조차도 아직까지도 임용시 탑학회를 저널보다 덜 인정해주는곳들도 많습니다. 로보틱스쪽 교수생각하고, 완전 CS쪽이 아닌이상 TMECH/TIE/TRO/IJRR/Sci Robot./Nat. Machine Intell. 등 저널을 목표하는게 좋고, 그런저널 많이내는곳으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1.22
반대로 탑학회만 쓰는 연구실일경우에, 죽이되든 밥이되든 CS학과에서 임용할게 아니면.. 어느정도 저널실적은 무조건 필요합니다. 저도 포닥하면서 CS쪽 탑학회 두편냈는데, 생각보다 임용될때 탑학회는 큰인정 못받았습니다.
2024.01.21
대댓글 1개
2024.01.21
2024.01.22
2024.01.22
2024.01.22
대댓글 1개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