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생때는 논문을 읽을 기회가 많이 없나요?

2024.01.20

17

2250

예비 대학원생입니다.
저는 대학생때부터 논문을 읽는 수업(교재 자체가 논문 뭉텅이인 수업도 있습니다.)과 논문 발표 수업이 많아, 논문 읽는 데에는 아주 도를 텄습니다.
과 자체에서 그렇다보니 주변 동기들도 논문을 많이 읽고요 IF가 높은 것들도 많이 읽습니다.

그런데 각종 대학원 관련 카페나 김박사넷을 보면, 논문을 어떻게 읽어야할지 모르는 예비 대학원생, 대학원 신입생 분들도 많이 계시고,
대학원에 들어가서 처음 배우는 분들도 간혹 계시는 것을 종종 보았습니다.
또한 제 담당 교수님이 되실 교수님과 미팅을 했을 때 제가 현재 논문을 제대로 못 읽을 거라고 가정을 하시고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심지어 상위 대학원 인기 연구실 중 하나입니다.

주변에 저의 비슷한 분야의 타대 친구도 거의 없고, 타 대학교 분들께 여쭤볼 수 있는 곳이, 여기, 김박사넷인 것 같아 여쭙니다.

물론 케바케겠지만, 제가 다녔던 대학교가 다른 대학교와 달리, 이론 수업은 잘 안하고 이런 실전(?)같은 논문 읽기만 한 것이 아닌가 의구심도 들어서요... 친절한 답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4.01.20

다른 학생이랑은 모르겠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논문을 "읽는"다는 것과 학생의 논문 읽기는 다를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1.20

혹시 교수님들께서 말씀하시는 논문읽기는 어떤거일까요? 순수히 궁금해서 하는 질문입니다!

2024.01.20

보통은 학부연구생을 하지않으면 "안"읽었다는게 맞죠.
학부생때 진심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겠어요.글쓴이분께서 논문읽기가 습관화되어있으면 매우 좋은일이죠! 남들보다 수월한 시작을 할 수있으니까요
그치만 글쓴이분께서 약간의 자만심같은게 보이니 조심할 필요가 있을거같아요 학부생수준은 어차피 거기서 거기라서..ㅎㅎ 자신감이 넘치시는모습이 조금 귀엽네요
그치만 그런 자신감도 매우 좋습니다 겸손하게 매일 정진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1.20

감사합니다.
다른 학교도 수업에 논문읽기가 많이 있나 궁금했습니다.
논문읽기에 자신감이 있었는데, 은연중에 자만심이 보였다면 자중해야겠습니다 하하 조언 감사합니다.

2024.01.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ㅎㅇㅌ

대댓글 1개

2024.01.20

감사합니다 ~

2024.01.20

대학생때는 전공 서적 많이 읽으세요. 뭔가 계속 읽으세요. 읽는다는 것이 정말 어렵고, 제대로 읽는다는 건 더 어려워요.

대댓글 1개

2024.01.21

조언 감사합니다!
이미 수업은 다 끝났지만 지금이라도 중요한 과목 책 다시 읽어볼게요 !

2024.01.20

학부 교수의 재량에 따라서 수업시간에 논문을 적극 활용하는 교수가 얼마나 많나죠.

지방대의 경우 영어 못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이런 수업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죠

대댓글 1개

2024.01.20

아하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1.20

논문 읽는데 도가 텄다라 ㄷㄷ
상위권 대학이면 모르겠으나,
일단 지방대의 경우 지거국이어도, 논문 읽을 일이 잘 없어요.
출판사랑 계약을 안했는지 억세스 권한이 없는 대학도 심지어 있어서 ㅡ.ㅡ;;;
그리고 대학원 가기 전까진 논문 읽어보는 학생이 거의 없다 봐야합니다.
저도 그랬고...

대댓글 2개

2024.01.20

학부연구생하면 많이 읽지만, 상위권 학교여도 다른 건 없어요. 수업 자체가 논문 읽는 게 목표가 아니라 전공 서적부터 이해하는게 목표죠 보통

2024.01.20

도가 텄다는 말은 제가 너무 자만했던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사립대 생으로서, 지거국은 아무래도 국립대라 뭔가 방식이 다를수도 있을 것 같아서 (국가에 의해 더 체계적일 것(?)같아서) 궁금했는데…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2024.01.21

와! 다가오는 학기에 대학원 진학하신건가요? 충분히 많이 읽으면서 논문을 어떻게 읽는지, 자주 쓰는 단어들이나 문법 구조들이 어떤지를 이미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신 것으로 보이네요. 물론 치열한 토론과 비판적 사고는 해본 적이 없을 것 같아서 교수님의 '논문 읽기'와는 많이 다를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대단하십니다. //// 그런데 궁금한 게, 사립대라고 하셨는데 라인(?)이 어디인지 물어볼 수 있을까요? 과연 어디서 그정도 교육이 현재 수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혼자 한거면 이해하겠는데 수업때 그렇게 끌고 가는 수업이 있다니 놀라워서요.ㅇ

대댓글 1개

2024.01.21

네, 이번에 진학합니다.
토론까지는 아니지만, 수업에서 제 논문인냥 발표를하고 질문 및 비판을 하거나, 그 수업의 조교님 및 교수님께 비판 당하기도하고,
교수님 랩의 논문을 읽고 그 논문에 대해 체계적인 비판을 무조건적으로 해야하는 시험과 과제는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학부생이니 아무리 체계적이라고 하더라도 수준은 부족할테지만요 ㅎㅎ
정확한 라인을 알려드리기 좀 그렇습니다. 죄송합니다. 인서울 중에서 중하위 정도 되는 것 같네요
이런 수업이 대학원생활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순 있어도 개념적인 부분이 그만큼 부족한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하네요...

2024.01.21

논문을 읽는데 뭐 특별한 기술이 있나요?

다만 처음에 읽을때는 읽어도 뭔소린지도 모르던것이

점점 가면 갈수록 그 논문에서 말하는 주장, 그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일련의 근거들 (실험, 이론 등등), 제시한 근거를 설명하는 보충 이런것들을 잘 파악할 수 있게 되는거죠.

전 글쓴이가 말하는, 그리고 글쓴이의 지도교수가 될 사람이 말한 논문읽는 방법이란게 도대체 뭔지가 궁금하네요.

2024.01.21

국립대 사립대보단 그냥 교수님 스타일 차이죠. 논문 읽는 데 익숙해지셨다면 그냥 뭐 좋은 거고요 ㅎ

첨언하자면...저 또한 학부생 수업 때도 논문 읽는 걸 잘 활용하시는 교수님들이 계시는 곳에서 공부를 했는데, 대학원 진학을 해 보니 학부 때하고는 또 교수님들이 쪼시는 포인트가 다르더라고요. 학부 때는 그래도 전체 맥락과 결론만 잘 파악하면 적당히 넘어가 주시는 느낌이었다면...대학원 때는 논문에 실린 실험 하나하나의 목적까지 다 이해하고 가져온 거냐고 갈구셨죠 ㅋㅋㅋㅋㅋ;; 올해 진학하시는 거 같은데 알찬 대학원 생활 되시길 바라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