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0 - 저 글쓴이는 인생이 돈과 가오가 전부인듯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5 - 상급지와 결혼 적령기에 못 하고, 좀 더 가난한 거 빼고 (빼다 보니까 조금 많네 ㅎㅎ) 한 번 사는 거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사는 것도 나쁘진 않죠. 후회 없는 삶.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2 - 교수들 평가하는 사이트 만들었는데 교수나 교수마인드 탐재한 얼탱이들이 글 싸지르고 있네.... 물 흐리지 마시고 교수 마인드인 사람들끼리 사이트 만들어서 노세요. 요즘 알람메일 와서 보는데 교수평가는 내렸으면서 이런 교수님 핥아주는 글은 왜 제제 안하는지 모르겠네.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12 -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8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31 - 뭐 나쁜 마인드는 아닌데... 원론적으로 GPT 안쓸꺼면 구글 서칭도 하면 안됨. only 논문 검색으로 직접 읽어서 지식 얻어야 함.
GPT는 말그대로 tool일뿐... 통계분석할 때도 예로 SPSS 쓰면 결과가 바로 나오고 그걸 쓰는데, 생각보다 어떻게 그 결과가 나왔는지 통계값들 식 다 이해하고 원리 이해하는 사람 많이 없음.
그렇다고 그 사람이 그 통계값을 쓰면 안되는건 아니잖.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3 - 30초에 UC 버클리 박사가는게 왜... 막말로 그 사람이 30후반에 한국 상위권 대학 교수되면 물고빨꺼면서; 미친년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9 - 대학원서열질 의미 1도없다고 봅니다.
누구제자인지.
그래서 좋은 논문은 썼는지를 봐야죠.
학계는 그걸 너무나 잘 알지만,
학계를 전혀모르는 기업 관계자들이 SPK SPK거리니 진학문화가 망가진 건 같습니다.
서울대를 나왔어도 연구가 잘 맞고 집근처인 UNIST를 가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연고대를 나왔어도 하고싶은 연구의 독보적 석학이 부산대에 있으면 거길 갈 수도 있다는게 당연해졌으면 합니다.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3 - 유니 훌리 정말 애쓴다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0 -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4 - 유니스트인 ㅎㅇ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2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9
석사 3학기 들어가는데 원하는 연구주제로 연구해도 될까요?
2023.08.14

연구실에서 갖고있는 연구과제는 하나뿐인데
과제 실적으로 사용할 논문은 곧 완성되서 다음달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주제는 딥러닝을 이용한 배터리 수명예측입니다)
KCI에 낼 거라 제출하고 나면
제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한다고 교수님께 말씀드려도 될까요?
(교수님은 인공지능을 거의 모르십니다...)
저는 자연어처리(NLP) 쪽에 관심이 생겨서 추천시스템, 정보추출 쪽으로 공부하고 국내논문 하나 작성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국내기업에 자연어처리 연구직무로 취직하고 싶습니다.
저의 고민은 크게 취직과 연구주제의 흥미 두가지인데요.
하던 연구과제를 이어서 하는것을 생각해보면
사실 SCI에 제출할 만큼 대단한 논문이 아니라 배터리 3사에 입사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입니다.
남은 학기에 추가논문을 작성한다고 해도 배터리 3사에 취업이 안된다면 이 주제로 다른 쪽으로 취직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면에 자연어처리 분야는 요즘 워낙 핫해서 여러 회사에서 채용을 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일단 1차적으로 교수님이 이 연구주제를 지도해 주실지 모르겠고
물론 흥미가 생긴 분야라서 열심히 공부하겠지만
남은 한,두학기 동안 제가 혼자 얼마나 이 분야를 따라잡을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어찌저찌해서 논문내고 졸업했다고 해도 대기업으로 취직이 가능할지도 미지수입니다.
자연어처리 랩실을 검색해보니 유명 랩실들에서 꽤 좋은 논문성과들이 많이 나온것을 보면 경쟁에서 밀릴거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두 선택지 모두 상황이 좋게 느껴지진 않습니다.
어찌됐건 두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 어떻게 든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 해야겠죠.
지거국에 학점도 안좋게 학사졸업한 학생으로서
뭣모르고 시작한 대학원 생활에 1년이 지난 지금 고민이 많아졌습니다.
주저리주저리 글이 길어졌네요.
편하게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5 9 4491 -
1 7 4016 -
0 15 2921 -
2 9 934
ykssh 대학원 선택 김GPT 0 9 1495-
0 11 1542
냉정한 판단 부탁드립니다... 김GPT 5 15 3161-
0 9 1413 -
5 5 1489
대학원 자퇴 2년 후 명예의전당 86 4 8473-
345 71 100136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6 19 6029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55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7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49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3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58 - 용역과제 많은 실험실은 진짜 피하는게 좋을거임
17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21 - 워라밸 논쟁에 숟가락 얻기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13 - 개소리하지 마십쇼
10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9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18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2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44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12 - 외국인 많은 랩실은 별로인가요?
15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22 - 이 모든것의 원인은 도피성 진학임
9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47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6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4 - AI전공 박사는 의사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1 - 직장인 (공대 졸업) 학사 KAIST 다닐 수 있는 랩실이 있을까요..?
12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55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7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49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53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58 - 용역과제 많은 실험실은 진짜 피하는게 좋을거임
17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21 - 워라밸 논쟁에 숟가락 얻기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13 - 개소리하지 마십쇼
10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9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18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2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44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12 - 외국인 많은 랩실은 별로인가요?
15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22 - 이 모든것의 원인은 도피성 진학임
9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47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6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4 - AI전공 박사는 의사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1 - 직장인 (공대 졸업) 학사 KAIST 다닐 수 있는 랩실이 있을까요..?
12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9
2023.08.14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