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ultidisciplinary쪽은 넷컴 싸어 어싸 정도가 탑임?

2023.07.28

35

1808

미포닥 생각중이라 종합저널 위주로 쓰려고 하는데 어짜피 저기 못낼거면 대표실적으로는 못 쓰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5개

기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7.28

어싸는 동급 노노.. 앞에 두개면 인정!

대댓글 2개

2023.07.28

아 그럼 싸어 넷컴 리젝먹으면 보통 어디로 가시나요?

2023.07.28

다 탑저널은 맞는데 싸어랑 넷컴은 진짜 인정해주는 저널이고 싸어 넷컴 떨어지면 어싸로 갈 순 있죠.

2023.07.28

어드벤스 사이언스 최근 폼 보면 snc자매지들 제외하고는 가장 합리적인듯. 싸어처럼 리뷰 한번 돌아오는데 3달 넘게 걸리는 곳에 내자하면 학생들 반응 굳어지는게 보임. 그렇다고 안써볼건 아니지만.
징징대는 쇼펜하우어*

2023.07.28

당연히 굳이나누면 NSC 자매지가 더좋긴한데 동급이니 어디가 좋네 이런거 신경안써도 될정도로 저3곳중 어디 하나라도 내면 정말 잘한거.
저기 안내도 대표실적으로 써도 됨.

대댓글 2개

2023.07.28

이게 맞지. 내줄테니 맘대로 선택하라면 나도 넷컴이나 싸어가 어싸보다 좋아보이긴 하는데, 어차피 네이쳐 정식 자매지들 바로 아랫 그룹이면서 15점 내외의 내기 어려운 저널들은 맞아서 그냥 뭉뚱그려서 볼 때는 대충 그 그룹으로 묶임. 남의 실적을 그렇게까지 세분화해서 평가할 일이 많진 않아서. 넷컴 있다고 어싸보다 엄청 우와 하는게 아닌데 불필요하게 과할 정도로 리비전에서 이것저것 시키는 것 생각하면 더 약간 그런 부분이 있음. 실제로는 어싸도 내기 어려움.

2023.07.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정 논문 한편만쓸거아니면 nsc 도전해보고 어싸도좋은 낼수있으면내보고 그리고 다른곳 내더라도 대표실적써도 상관없으니써도됨 스코프가중요하니까

2023.07.28

본지 다음으로는 종합지 내고 싶으면 싸어 넷컴 pnas 어싸 많이 쓰는거 같긴한데 대표실적으로야 하나라도 있으면 좋은 저널들인데 싸어랑 어싸는 리뷰 난이도나 기간 차이가 커서 논문 투고 시점이랑 포닥 지원 시기 잘 고려해야됨.
싸어는 리뷰 1년 가까이 하고 리젝 먹는 경우도 있어서..얘들이 넷컴보다 더 심함

2023.07.28

애초에 Adv Sci는 분야가 다름
Nat comm, Sci adv, PNAS가 본지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알아주는 muiltidisciplinary 저널임.
Adv Sci는 주로 재료나 나노쪽 저널이고 Adv Mat나 Adv Func Mat보다 아래라서 좁은분야 다루기도 하고 그 분야에서도 탑저널은 전혀 아니지.

대댓글 4개

2023.07.28

AFM 과 Adv Sci는 뭐가 위다 아래다 보다는 굳이 둘 비교하면 비싼돈내고 Adv Sci 에 내는사람이 적은겁니다. 당연히 adv sci가 분야 더 넓은건 자명하고요.
게재난이도 차이는 글쎄요..?

2023.07.28

아니 디테일은 일부 동의하는데, 위의 내용들 결론이 그말이 아니잔혀요.
다시 말하면 어차피 네이쳐 본 자매지들보다는 아래고, 10점대 중반의 내기 어려운 저널들 인거는 맞는데
그 중에서 뭐가 더 좋고 안좋고를 세분화해서 나눠봤자 큰 의미 없다는 말이죠.
AFM보다 어싸가 팩터 약간 낮긴 한데 그러면 AFM은 우와 하고 어싸는 물로보고 하나요?
어차피 90% 이상의 사람들이 볼 땐 CNS 본지냐 자매지냐 아니면 그 밑에 넷컴, 싸어, 어싸, AFM 등등등 10점대 저널들이냐, 더 밑에 10점 안되는 저널이냐로 보통 본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위에서도 대충 5점 기준으로 또 나눌 수도 있고요.
AM이나 잭스 정도 되면 분야에 따라 약간의 어드밴티지가 있겠지만 그래도 오픈억세스 아닌 자매지들 보다 아래인데 넷컴, 싸어와 어싸를 나누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2023.07.28

피터힉스님 분야가 어디인지 모르겠으나.
본지랑 상위자매지는 일단 빼고 (다 해도 한국에서 1년에 50편은 나오던가요?)
Nat Comm
Sci Adv
PNAS
이렇게 3개가 한국에서 주로 내는 탑저널이고 (이보다 높은건 본지 및 상위자매지 뿐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저널이죠.

Adv Sci는 일반적으로 AFM 및 AM에 나오는 논문들과 분야가 비슷하고 인지도든 인식이든 IF든 명백하게 AFM보다 낮습니다. 재료쪽은 탑저널이 AM이고 탑저널에 근접한곳이 AFM이죠. AS를 탑저널이라 하는건 좀 애매하구요.
화학 분야면 JACS Angewandte가 탑저널이지, Chem Sci를 탑저널이라고는 안하는거랑 같죠.

AS가 Nat comm이나 Sci adv과 엮이는거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단지 IF로만 얘기하고 계시는데 재료쪽은 IF가 높아서 10정도 되는 저널이 그냥 흔한 저널입니다. Nanoscale Horizon이 10점 정도인데 거기가 좋은저널이던가요? 그냥 괜찮은 저널정도지.
바이오분야는 JBC를 좋은저널로 인정하는데 IF 5정도에요. Adv Sci가 IF가 Nat Comm이나 Sci Adv랑 비슷하다고 비슷한 수준의 저널이다? 저널들 수준 및 평판에 대해 좀 알아보셔야 될것 같네요.
재료쪽 IF 뻥튀기는 하루이틀 일이 아니고, Adv Sci는 다른 분야로 따지면 Chem Sci, Chem Comm, JBC, JMB 정도에요. 쉽게 얘기하면 좋은 저널이지 탑저널과는 거리가 상당히 있다는 뜻입니다.

2023.07.28

여담인데, Materials horizons저널은 평가가 어떤가요?
덤덤한 코페르니쿠스*

2023.07.28

Nature Communications ≥ Sciences Advances (네이처, 사이언스 자매지) >> Advances Science (일반 저널)

대댓글 4개

2023.07.28

이게 맞음. ㅆㅇㅈ

2023.07.28

일단 Adv Sci는 종합저널이 아닌데 애초에 비교대상도 아닌데 원글 글쓴이는 Adv Sci를 잘못 알고있는듯.
그리고 수준도 Adv Sci는 IF만 높지 비교는 택도없지.
덤덤한 코페르니쿠스*

2023.07.28

명품과 공산품의 차이임. 차로 비유하자면 벤츠 c클래스와 현대 소나타 차이가 적절한 듯. 현실에서 지나가는 공무원 아저씨도 Nature Communications, Science Advances라면 대충 네이처, 싸이언스로 알아 들음. 의사들에게도 Nature Communications, Science Advances는 꿈의 저널임. AM 밥 먹듯 내는 대형랩도 네컴, 싸어 실적은 거의 없음. 여기 애들 Advanced Science 는 써봤는지 올려치기 하는데 만약 Science Advances로 바꿔준다 하면 100명 중 99명은 바꿔달라 줄을 섬.

2023.07.28

ㅋㅋ 코페르니쿠스 님이 비유 잘 해주셨네요.
논문 내용봐도 비교는 택도없음.
내 지인이 Adv Sci냈었는데
단백질 시퀀스 살짝 변형해서 결합 확인한 정도인데 Adv Sci 냈었음.
넷컴 사어는 그정도 결과로는 택도없거든. 어싸 올려치기는 진짜 애바다. AM이면 몰라도

2023.07.28

PNAS 역시 비슷한 급으로 쳐줍니다. Adv. Sci는 그보다는 아랜게 확실한데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는 모르겠네요 주위에 내는 사람이 없어서

대댓글 1개

2023.07.28

맞음. Adv Sci는 그리고 저널 카테고리가 애초에 전혀다름. 비교대상도 아님. 댓글엔 정상적인 댓글들이 있는데 위에 비공감 누르는사람들은 재료분야 애들인가. 댓글은 안쓰고 비공감만 하네.

2023.07.28

셋 다 거기서 거기임(세 저널에 실리는 논문들의 implication이 큰 차이가 없다는거). 해외가면 이너서클에 들어가 있는 연구실인 경우 싸어/어싸 둘다 쉽게 내는 경우 많음(포닥 시절 여럿 경험). 넷컴은 그래도 제일 내기 어렵달까? 그치만 nbme/nnano로 좋은 논문들이 많이 흡수되는 듯

2023.07.28

어싸는 다학제가 아니고 재료 저널 아닌가? 지구과학 천문학 인류학 내용까지 나오면서 IF 15 인근 찍는 저널이랑 비교하기엔....

대댓글 1개

2023.07.29

맞음 어싸는 다학제가 아님 근본적으로 잘못된 글임. 재료는 IF 뻥튀기가 잘되서 타 저널하고 비교하려면 IF 반절 정도로 생각해야됨.
징징대는 쇼펜하우어*

2023.07.29

최근댓글 많이 달린 글에 올라온거보니 역시나.... 급나누기 바쁘네요.
위에 파스칼, 코페르니쿠스님들이 Adv. Sci. 를 그냥 일반저널이라고 치는거는 이해가안되네요. 한국에서 대학원 학부다니시니 뭐그럴수도있겠지만.

저는 Northwestern에서학부나오고 지금 top 3 대학원 big guy 밑에서 박사학위중입니다.
제가나온 Northwestern 은 재료과가 가장 유명하고 그중 한국분들도 알만하신분으로 말씀드리면 Rogers group 이 있을거에요.

세계적인 빅가이인 로저스 그룹 publications 보면 아시겠지만, Nature Science 자매지 그리고 PNAS 에 내는데 1~2년에 한편씩은 꼭 Adv. Sci. 에 냅니다. Adv. Sci. 가 오픈어세스이지만 제가 인턴했을때도 Nat. Comm Sci Adv. 를 출판했을때 신격화하고 adv. Sci. 를 일반취급하는경우는 본적도 들은적도 없습니다. ADv. Sci. 가 한국이 좋아하는 굳이 등급을따지면 낮은급이지만 그렇게 넷컴 사어랑 심각하게 구분짓지않아요.

학부 로저스그룹말고 재료과 세계적인 빅가이들 살펴볼까요? 대표적으로 스텐포드 제난바오 mit 렝어등이있겠죠. 그연구실가보면 NSC 자매지 쏟아나와지만 주기적으로 Adv. Sci. 에 논문내고 News article 에 나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중요한건 굳이 한국이좋아하는 급나누기를 하면 NSC 자매지가 좋지만, 여기 빅가이랩 또는 top school 에서의 인식은 넷컴 사어는 NSC 마지막 자매지 또는 좋은곳에 한편썼다 그리고 Adv.Sci. 도 좋은곳에한편썼다. 이정도의 인식이지 넷컴사어를 탑논문이거 어싸는 아래다 이렇게 보는 사람그리고 교수님들 단한명도 존재하지않습니다.

그래서 위 질문자분에게 말씀드리는게 당연히 넷컴 사어가 좋지만 어싸도 매우좋은저널이니 그런거신경쓰지마시고 스코프랑 상황 펀딩등을 모두고려해서 3편중 아무곳이나 내도 굉장히 잘했따고말씀드린겁니다.

대댓글 5개

2023.07.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윗댓들은 다 걍 재료과에서 알아주는 논문일 뿐인데 왜 탑 다학제 저널 목록에 데꼬오냐라는 말 같은데요. 님은 재료과고요
징징대는 쇼펜하우어*

2023.07.29

저 재료과아니고 화학과입니다. 주저널 scope 는 JACS ,ANgew Chem, ChemMater 등이죠.
징징대는 쇼펜하우어*

2023.07.29

My Co-advisor has this to say: "Nat. Comm, Sci. Adv, and Adv. Sci. are all reputable journal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ll three are relatively new and do not have the historical pedigree of some more traditional journals."

그러니 질문자님 논문등급 급에 너무신경쓰지마시고 당연히 NSC 자매지를 목표하되 거기에 너무 목매다는것보다는 다른 좋은저널들에도 기회가되시면 마무리하시고 계속 좋은 논문쓰실길바라겠습니다.

2023.07.29

미국에 계셔서 한국말 이해가 좀 부족하신지 모르겠으나 원글 제목을 다시 보세요. Adv Sci가 다학제 저널인가요?
다학제 저널 현실적인 탑은 넷컴 싸어 pnas 3저널이고
Adv Sci는 재료쪽 저널이며, 굳이 따지자면 재료쪽은 AM AFM이 있기에 Adv Sci는 명백히 그 아래고 다학제랑 비교할 저널이 애초에 아님. 그리고 저널카테고리가 다르지만 넷컴 싸어는 최소 AFM~AM이랑 비빌 상대지 Adv Sci는 그냥 흔한 저널 중 하나라는거죠. 화학으로 따지면 Chem Sci 정도 포지션. IF만 가지고 Adv Sci가 타분야 IF 15급 저널이다 라는건 어불성설이구요. JACS Ange랑 Adv Sci가 진정 동급이라 생각하시는지?

2023.07.29

로저스 랩에서도 일단 Nature, Science, 자매지에 제출하고 떨어지면 Nat. Commun., Sci. Adv. 로 트랜스퍼해보고. 잘 안되면 분야에따라 advanced material도 시도해보고, 또 떨어지면 Advanced Science에 보내지 않을까.

2023.07.29

Nature communications, Science advances, PNAS은 확실히 Advanced Science 윗급입니다. 스코프가 맞기때문에 정확한 비교가 되구요. NC와 SA는 굳이 각 스코프의 저널들과 비교하자면 에너지의 EES, 재료의 AM 정도와 비슷한 급입니다. 제가 재료, 에너지 분야 전공자이기때문에 두 스코프만 언급합니다. 위에 어떤분이 NC와 SA를 어나더클래스라고 주장하시는데 듣도보도 못한 얘기이고, 딱 스코프별 1티어 저널과 비슷합니다. Adv. Sci는 그 밑쪽으로 있고, 위에 어떤분은 또 AFM을 AM과 비교하면서 Adv.Sci와 많이 차이나는 듯이 주장하지만 최근 기준으로는 비슷비슷한 저널입니다.

NCS
NCS 자매지
NC SA PNAS EES AM
AEM AEL
AFM Adv.Sci

박사때 그룹이나 지금 와있는 그룹에서는 대략 이정도 순서로 제출합니다. 재료, 에너지 기준입니다.

대댓글 1개

2023.07.29

제가 얘기한거랑 비슷하네요.
저는 재료쪽은 아닌데
NC SA AM이 비슷한급이라 생각했구요.
AFM이 AS랑 비슷한지는 몰랐지만요
몇몇은 자기들이 AS를 냈는지 AS올려치기가 너무 심한듯 합니다.

2023.07.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나도 미국서 공부하는데 "쇼펜하우어"님 말완전공감ㅋㅋㅋㄲㅋㅋㅋ 한국서 학부딸리고 대학원 딸리는 애들은 저널 급나누기바쁨 ㅋㅋㅋ 한국인든 미국이든 누구나 싸어 넷컴이 어싸보다 윗등급인거다아는데 굳이 등급을신격화해서 나누는건 한국특히 학부등 자격지심 가져서 실적저널만신경쓰는애들이 대부분인듯ㅋㅋㅋ. 정작 우리교수님도그렇고 옆 stanford 교수님들도 cv받을때 싸어 넷컴 쓴사람 vs 어싸쓴사람 했을때 싸어,넷컴 이 어싸랑 비교할수도없이 높은저널이니까 이사람이다 하는경우 1도없음ㅋㅋㅋㅋ 무슨 Nature Materials 도아니고ㅋㅋㅋ 저런 짜잘짜잘한거 어디는비교대상이안된다느니 ㅋㅋㅋㅋㅋ 리얼 한심

질문자님 그냥 포닥생각있으시면 로저스그룹경험있는 쇼펜하우어님 말들으시면될듯
징징대는 쇼펜하우어*

2023.07.29

아...댓글을 거의 안적는데 알람이 오네요...
제가 죄송합니다...한국어를 잘 이해못했나보네요...
네...저기 한국 대학원생님들 말씀대로 Nature Communications 와 Science Advances 는 탑저널이고 미국 포닥오시려면 이 탑 두저널 반드시 쓰셔야하고 이보다 아래 일반 그저평범한 저널들은 쓰셔도 미국 포닥 못 오실수있으시니 그대로 따르시면 될것같아요...

질문자님이 미국포닥을 생각중이신데 댓글분들이 적은 넷컴 싸어처럼 탑저널못내시면 대표실적으로도 못쓰고 괜히 접으실까봐
미국 탑스쿨 다니고있고 여기 한국인포닥 형들 참고해서 적었던건데 오지랖이 넓었네요 죄송합니다 화이팅 하세요....

2023.07.30

일단 두가지로 분류할게요. 난이도와 학계에서 가지는 이 저널들의 명성이요.

-난이도
Nature, Science> Nature Materials, Nature Nanotech>Nature Comm, Science Advances>Advanced Materials>>AFM>Small>Advance Science

-명성
Nature, Science>Nature Materials, Nature Nanotech>Nature Comm, Science Advances>Advanced Materials>AFM=Small=Advanced Science

결론은 Nature Comm, Science Advances가 Advanced Science 와는 비교 불가능한 저널입니다. 그리고 네컴 싸어는 정말 정말 내기 어렵고 좋은 저널입니다.

대댓글 1개

2023.07.31

그니까요 AS따위는 비교도 안되는데 헛소리는 오지게들 하고있으니ㅋㅋㅋ AM정도는 되야 비빌까말까는 하는거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