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는 차이가 날수밖에 없음. 연구는 똑같이 하더라도 가서 개고생한걸 쳐주는거임. 다른 언어권, 다른 문화, 다른 환경에서 공부하고 하는게 쉬운게 아님.
칠칠맞은 플라톤*
2023.05.03
동일실적이면 미국, 더 뛰어난실적이면 한국
2023.05.03
기회의 차이가 큰 것 같아요
옹졸한 찰스 다윈*
2023.05.03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고? ㅎㅎㅎ 설마 ai 탑컨퍼 오럴도 아니고 포스터 개수 많다고 그런 얘기 나오는건가?
못된 리처드 파인만*
2023.05.03
미국에 엄청나게 뒤쳐지는데요.. 애초에 구글 메타 마소 open ai 다 미국건데..
대댓글 1개
2023.05.03
대부분의 대학원 랩 기준으로는 spk ai랑 막 엄청나게 차이나지는 않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그런 회사 기술은 현직분들이 많이 연구하실테니
심심한 정약용*
2023.05.03
누가 그럼?
2023.05.03
분야 따라 다른데 비전에 한해서는 한국이 좀 비대하게 잘하는 편이긴 합니다. 그 외 분야, 특히 이론, 정통 머신러닝으로 가면 한국이 확실히 많이 부족합니다. 카이스트는 그래도 관련된걸 하는 교수님들이 최근 사이에 많이 임용됐는데, 그런거 할려고 임용된 분들도 학생들이 원하지 않아서 결국 application으로 이끌린다고 하더라고요.
재빠른 밀턴 프리드먼
IF : 1
2023.05.03
또 그냥 눈 감고 덥썩 물자면.. 미국 좋은 랭킹 CS 박사면 (사실 꼭 좋은 랭킹 아니어도 다들 잘만 하지만서도) 그냥 방학때마다 근처 빅테크 인턴가서 도는게 일상이었다고 생각하면 됨. 지금은 잠시 빅테크가 주춤해서 잘 모르겠는데.. 돈도 돈인데 대부분 높은 퀄리티의 페이퍼도 그쪽 Research Scientist들과의 협업으로 나오는게 많고, 그렇게 4-5년 하고나면 인더스트리에서나 아카데미에서나 CV 차이가 격이 달라짐. 이후 본인의 여부에 따라 미국 정착이나 한국 학계 진출 난이도도 당연히 뭐 말할 것도 없고.
요즘은 한국서도 최고랩에선 인턴이나 방문연구원 보내는 일도 점점 많아지고 잘 하는 랩도 많긴 한데, 그 기회와 확률 차이는 하늘과 땅이라고 봄.
2023.05.03
저도 spk 인기랩 출신에 대가랩 포닥까지 경험해본 바로써, 저 뿐 아니라 우리나라 연구진의 수준이 많이 올라왔다고 자부합니다. 그럼에도, 미국 혹은 전세계 탑대학들과 견줄정도라고 말하기에는 아직 차이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우리나라 연구진들은 미국유수대학/대가랩에서 학위를 받은 연구진들이 국내교수로 대거임용됐고, 지속적으로 좋은연구를 하면서 위상이 많이 올라왔다고 생각합니다. 그 사람들은 이너서클에 속하기도 하고요. 한예로 제가 학위받던시절 spk 교내에서 열린 작은국제학회에 대가들이 대거 참석한적이 있었는데, 당시 교수들이 박사/포닥 지도교수들을 불러서 그렇게 됐다 하더라고요.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국내교수진들도 대가랩출신중 괜찮게 하는 사람에 속할뿐이지, 미국/유럽 탑대학에 있는 대가랩의 수준이라고 말하긴 힘듭니다. 또한 윗분 말씀대로,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괜찮은 직장들이 워낙 많이있기도 해서, 기회적인 측면에서도 차이가 클테고요. 우리나라 연구수준이 결코 낮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전세계 인재들이 모이는 미국 탑대학/대가랩에서 경험을 해보면 눈높이가 달라지긴 할겁니다..
못된 도스토예프스키*
2023.05.03
팩트는 차이 겁나큼
2023.05.03
차이 엄청큰데 사실상 못감 ㅋㅋㅋ
2023.05.03
전혀 동급 아닌데요
2023.05.03
미박인게 뭐가 중요하죠 실적이 중요하지 근데 미박이 실적 나오기 훨씬 좋은 환경에 있는건 맞죠
2023.05.04
이런저런 기회로 국박 하면서 미국 대학 탑랩가서도 6개월 이상 연구를 해봤습니다. 첫 번째로 느낀 것은 미국 가기전엔 우리나라 연구실 연구수준과 미국 탑랩 수준이 큰 격차를 보일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이었는데, 실제로 겪어보니 (물론 미국탑랩이 좀 더 높은수준이긴 하지만) 엄청나게 큰 차이는 나지않는다 였구요. 두 번째로 느낀 것은 미국 탑랩에 있는 학생들이 모두 뛰어난건 아닌데 (제 생각엔) 상대적으로 뛰어난 한국랩 학생들 대비 다양한 기회(인턴쉽, 다른 곳에서 talk 등)를 상대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어딜 가든 결국 대우받고 관심받는 사람은 좋은 학회에 자기 세부분야에 관한 논문을 질적/양적으로 많이 쓴사람 이라는 것 이었습니다. 저는 국박이다보니 탑랩애들이 무시하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갔는데, 제 연구내용을 듣고 먼저 co-work를 제안해주고 대우해주는 것을 겪으면서 오히려 자신감을 얻고 왔던 기억이 있네요.
2023.05.04
뭘 보고 뒤쳐지지 않는다 생각하는거죠?
칠칠맞은 우장춘*
2023.05.04
개패맞는 구나 ㅋㅋ
칠칠맞은 우장춘*
2023.05.04
요즘 잘나가는 국내랩은 논문 많이 쓰 더만 대략 미국 10에서20위권 정도는 될 듯. 당빠 미국 톱5갈수 있으면 당빠가야지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대댓글 1개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3
2023.05.04
2023.05.04
2023.05.04
2023.05.04
20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