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통계학 전공자인데, 경제학 대학원이 끌립니다 미친건가요?

조용한 막스 플랑크*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4.27

12

1525

취업 생각하면 접는게 낫겠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4.27

끌림은 뭐 틀린게 없죠 자기가 끌리는거니까
취업 생각하면 뭐 그럴순 있지만...

2023.04.27

? 존나 평범하게 많은 루트 아님?
수학/통계 학사 후 경제 대학원

대댓글 3개

조용한 막스 플랑크작성자*

2023.04.27

그런 분들은 교수 하나만 보고 가시는거 아닌가요?

2023.04.27

IB / 컨설팅 에 많던데?
조용한 막스 플랑크작성자*

2023.04.27

거기는 스카이 같은 학벌 좋은 분들이 가는거 아닌가요?
눈치보는 피타고라스*

2023.04.27

뭐 끌리면 하는거죠; 여기서 하지 말라면 안할거에요? 취업생각하면 안하는게 낫다는거 본인도 알면서 대체 뭔 대답을 듣고싶은건지..

2023.04.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거 보통 막상 가면 본인이 생각하던거랑 달라서 후회하던데

2023.04.27

뭐 경제학이 여타 문과 대학원처럼 수요 없는 학문도 아니고, (그나마) 취업 걱정 적고, 학문의 가치도 인정받고. 본인 원해서 하는거면 문제될 꺼 있나요?

대댓글 2개

조용한 막스 플랑크작성자*

2023.04.27

경제학쪽도 수요가 있는편이군요?..

2023.04.27

경제학은 문과의 물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로써는 문과 학문들 중에 가장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학문이고, 인간이 살아있고 생산과 소비 활동을 계속 하는 이상 지속되고, 또 수요가 있을 수 밖에 없는 학문이죠. 쉽게 예시를 들자면,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은 대개 기업 산하 경제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허탈한 맹자*

2023.04.27

경제학 전공은 산학계 양쪽에서 수요가 매우 많습니다. 세부전공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제학은 방법론적 학문으로써 환원주의적, 계량/통계적 접근법 자체를 연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거시적으로는 국가총산출, 화폐수량 등 경제변수의 정적, 유동적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이론적, 통계적 모형을 만들고, 미시적으로는 매칭이론, 가격결정이론, 매커니즘설계이론 등 시장구성원의 의사결정을 효율화/최적화하는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주요골자로 합니다.

대학원 수준으로 올라가서 배우게 되는 다변수미적분, 해석학, 동적계획법, 미분방정식, 고급수리통계, 심화미거시이론 등 과목들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서, 졸업 후 비단 경제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서 채용선호도가 높은 학문에 속합니다 (한국에서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학사전공이 통계학이시라면 아무래도 경제학 대학원에 진학 및 적응하시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대댓글 1개

조용한 막스 플랑크작성자*

2023.04.28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용기 내보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