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맞는말인데 쓸모없는말 느낌..
당장 학벌이 의미없다는 쿨내나는 이 글부터 별 내용은 없으면서 '미국에서 박사하는' 본인의 학벌은 제목 맨앞에 들어가있네요..
미국에서 박사하는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19 - 외국 학계가 PC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및 동아시아 학계가 DEI/PC 측면에서 뒤떨어진 것이니 많이 배우시고 한국 돌아오셔서 선도하시면 됩니다.
외국학계가 원래 PC사상을 강요하는 경향이 있습니까?
42 - 교수님이 왜 300이나 주시지?
교수님이 박사 인건비를 줄이신다고 하십니다.
22 - 박사 300을 풀로받지않는 연구실이 종종보이는게아니라, 풀로받는연구실이 매우 극소수입니다..
카이스트에서 졸업했지만 평균이 150-200이였습니다. 졸업한지 3-4년됐지만 지금도 큰차이는없을듯하네요
교수님이 박사 인건비를 줄이신다고 하십니다.
22 - 교수라도 인성안된 인간들 개많음 아니 애초에 돈 많으면 다른데 정신팔린다는 개소리부터 말이되나? 그럼 지들주터 월급 100받고 연구만 올인하던가 내로남불 개지림 뻔뻔한 새끼들 교수부터 솔선수범하라 하세요 연구나 집중하라고
교수님이 박사 인건비를 줄이신다고 하십니다.
18 - 넵 설카포 아니면 대학 학부 마냥 라인 떠지면서 수준 운운하기보다 그냥 좋은 교수님, 좋은 연구 환경이 대빵이라는 뜻입니다.
설카포 아니면 대학원 의미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16 - 보통 SKP아니면 의미없다고 하는 애들 학부는 잡대학임ㅋㅋ 대학원으로 학벌세탁 성공하니까 지는 학부는 꿈도 못꾸던 곳조차 까내림ㅋㅋ 정작 논문실적은 쥐뿔도 없고.
설카포 아니면 대학원 의미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13 - spk 말고는 인서울 학교에 학점 3후반만 돼도 어떤 학교든 프리패스라 그런 말 나온 듯
입학 난이도 차이가 spk랑 그 아래랑 차이가 너무 커서요
설카포 아니면 대학원 의미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15 - 오해의 소지가 있을듯.... 연구분야와 소재에 따라 낼 수 있는 저널들이 한계가 있어요. if 8이하인 저널들은 리뷰수준이 거기서 거기임.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15 - 사실 MDPI에 논문을 내본 적이 없습니다. 한번 반응을 사필려고 이 글을 써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IEEE에 세편을 게제해봤는데, IF 7, 5, 3대, 7대 저널은 실험을 다시 시켜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리뷰어 코멘트가 그리 까다롭진 않았고요, 5대나, 3대 저널들은 그냥 문안했습니다. 오히려 낮은 공학저널 (if 1.6)에 논문을 냈는데 리뷰어 3명에다가, 3차리뷰까지 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최근에 if 5대 OA저널에 도전했는데 리뷰어 4명에다가, 3차리뷰까지 갔습니다. 딱한번 경험해본지라 잘 모르지만 SCI REP보단 수준이 있다고 느꼈네요.
지금 프론티어즈에 논문하나를 투척했는데 리뷰어 3명이 달라붙어, 코멘트를 무진장 달아났습니다. 프론티어즈가 평판이 안좋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최근에 또 느끼니, 리비젼을 할까말까 고민중이네요.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17
자존감을 지키는 마인드
2023.04.23

예전에 장도연씨가 티비에 나와서 다 ㅈ밥이다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살아라라고 생각하면서 산다고 하셧거든요. 저도 비슷해요. 물론 누군가가 진심어린 조언, 정말 진지한 조언은 들어야해요. 하지만 그런 인간만 있는게 아니죠. 가끔 무시하면서 남을 대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심지어 갑질할려는 인간도 봤어요. 그때 이렇게 생각하시거나 말을 하세요. 글래서 너 뭐 돼?. 진짜 미안하지만 누군가를 파악해서 평가와 문제점을 지적 하는건 교수님들도 헛발 짚을때 많아요....근데 일개 학생이 그걸 한다?
2. 확실한 근거와 준비
남들이 가끔 지적수준을 의심하는 질문이나 또는 그러지 않더라도 질문과 논쟁이 있을 경우 확실한 근거와 준비(실험실력과 발표준비 등등)가 있어야해요. 아무리 마인드가 탄탄하고 자신감있어도 실력이 없으면 본인 스스로 떳떳하지 못하고 남들에게 무시당하기 일수임. 코너 맥그리거, 메이웨더, 마이클 조던 등등 수많은 스포츠 스타들이 상대선수를 비하하고 입을 털었지만 결과로 보여줬기 때문에 스타성 인정받고 휼륭한 선수로 인정 받았던거임. 자신감과 자존감은 스스로 떳떳해야하고 그건 실력과 결과가 말해줌.
3. 잠과 운동
아무리 실력적으로 뛰어나도 수면부족이고 건강이 안좋으면 부정적인 생각밖에 안들더라구요. 특히 수면부족은.....타격이 크더라구요. 잠 제대로 못잔 날은 일어나는 순간부터 잘때까지 짜증나고 부정적인 생각만 하도라구요. 반면 정말 꿀잠 잔날엔 하루가 쌩쌩하게 돌아가구요.
-
277 21 51449
너무 열심히 살지 마세요. 김GPT 100 21 45638-
24 31 8021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김GPT 257 34 54806
키보드워리어질이 일상이신 분들께 김GPT 11 3 1485
석사생들을 위한 팁들 김GPT 42 18 11248
심심해서 써보는 ㄱㅅ 장점 김GPT 22 12 32172
정신건강 관련 김GPT 7 3 2530
자신감, 자존감을 좀 가지시길. 김GPT 28 10 7692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81 93 80066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25 85 69935-
142 26 3914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에서 박사하는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29 - 미국 석박통합 VS 자대 박사 후 미국 포닥
14 - 이공계는 랩실에따라 학비+생활비 정도는 제공받는다고 들었는데요
16 - 최종목표가 교수인데
19 - 설카포 아니면 대학원 의미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23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36 - 미국 상위권 학부 출신 국내 교수 임용
10 - 현재 직장인인 33세 입니다 다시 수능 재시험 및 대학 진학의 가고 싶은 학과에 대해 고민으로 올립니다
10 - 대학명성 vs 교환학생 경험 중 대학원 진학시 무엇이 더 고평가 될까요??
9 - 고등학생 진로고민
12

2025 유럽 R&D 석/박사 Campus Recruiting Tour 및 Battery Tech Conference 참가신청 안내
자세히 보기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