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연과정이 일반적으로 왜 아웃풋이 작은거죠?

2023.03.20

12

3945

어느 대학원으로 진학할지 고민중인데 학연과정의 아웃풋과 일반 대학원의 아웃풋이 이해가 안 돼서 여쭤봅니다...

제가 찾아보니 일반 대학원생들이 잡무를 볼 시간에 학연과정 대학원생들은 연구쪽에 더 시간을 쓴다는게 차이 아닌가요? 이러면 오히려 학연과정 사람들이 아웃풋이 좋을 확률이 높을꺼 같은데 왜 결과는 반대인지 이해가 안 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세심한 척척박사

IF : 1

2023.03.20

학교는 교수님께서 제자를 뽑는 것이고, 학연과정은 정출연에서 과제비로 뽑는 2년짜리 계약직같은 느낌으로 쓰기 때문에 제대로된 지도를 받기 때문입니다. 수업 따로듣고 실험 따로하고 물리적으로도 힘들고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IF : 2

2023.03.20

저는 서울 K정출연 밖에 몰라 다른 기관은 뭐라 말씀드리기 힘듭니다만, 확실한건 랩바랩입니다.
제 경험상 K정출연에서는 대체적으로 학생 지도에 많은 공을 들입니다. 박사 한명당 학생수가 5명 이내였기 때문에 밀도 있게 지도 받을 수 있습니다. 논문 실적이나 취업도 다들 잘 했구요.
다만 학생 지도에 관심 없는 박사분들도 계신데, 그런경우 대학교 연구실보다 더 방치되기도 합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3.03.20

저는 학교에서 학위받았고 정출연에서 학연 학생들, 지도교수님들을 관찰해봤습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사바사입니다. 학생이 자기주도적이고 책임연구원이 열정적인 지도를 하시면 학연과정도 좋은 것 같아요. 실제로 그런 분들도 봤구요.

다만 많은 경우 학연이라는 시스템이 아웃풋을 낮추는 것 같습니다.(그렇다고 일반 학교에서 학위 받은 분들이 마냥 우수한 건 아닙니다. 진리의 사바사.)
지극히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시스템이 원인이라고 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연 학생 : 학연의 경우 대체로 학교에 비해 돈을 많이 받는다 -> 당장 배가 안고프기에 미래걱정을 덜한다 ->나태해진다
대학 학생 : 대체로 학연에 비해 돈을 많이 못받는다 -> 당장 배고프기에 미래걱정 존나 한다 -> 나태해지면 죽는다는 생각에 뭐라도 한다 -> 강제로 부지런해진다

2) 학연 교수 : 사실 본업은 연구원이다 -> 학생 지도 잘한다고 성과 인정받지 않는다 -> 사실 더 좋은 논문을 쓴다고 성과를 인정받진 않는다(물론 더 좋은 논문을 쓰면 위상이 높아지고 좋은 학교로 갈 가능성이 생긴다) -> 학생 지도에 소홀해도 된다(학연 교수님이 괴수인 경우는 못봤습니다. 오히려 방임에 가깝게 학생을 놔두시는 분은 봤습니다만 개인 경험입니다.)
대학 교수 : 본업이 교수다 -> 학생 지도 의무다 -> 학생 관리 ㅈ되면 실적 안나온다 -> 학생 관리 한다(괴수가 되거나 좋은 교수님이 되거나. 물론 교바교)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