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일반대학원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려면

2023.02.01

6

2935

만약 제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일반대학원을 못 간다고 치면요 (예를 든 것입니다.)
(뭐 나이가 60대라던가해서 연구실에서 안 받아줘서, 또는 주부라서 낮에는 집에 있어야 해서, 또는 병자라서 낮에는 병원에 있어야 한다 거나)

밤에 특수대학원으로 가서 전공 과목을 수강은 다 할 것이고.
그리고 그 특수대학원이 논문까지 쓰는 과정이라서 석사학위 논문을 쓸 것이구요.
그리고 특수대학원이지만 교수가 1일 1논문도 하라고 시킬 것이니까 논문도 꾸준히 볼 것입니다.

그런데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일반대학원의 연구실 생활을 혼자 영위할 수 있을까요?

내가 추측하는 일반대학원 석사의 연구실 생활을 하면 장점이...
(1)매주 있는 배운 논문 세미나 강의 하고 듣기
(2)학위 논문 말고 개인이 쓰고 싶은 논문 써서 교수한테 컨설팅 받기
(3)박사 연구논문에 실험보조로 해서 논문에 제2~4저자 되기
(4)연구실 연구 프로젝트 기획/프로포절 문서 작성하기
(5)학회 참석해서 주요 연구원들과 인맥 만들기

그리고 단점이
(6)내가 하려는 연구와 관련 없는 프로젝트로 시간을 대부분 소진한다.
(7)기타 여러 잡일로 논문/연구에 쓸 시간이 별로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직장을 안 다닌다고 치면) 낮에 시간이 널럴하다면
(1)은 그냥 혼자 철저히 1주일에 1논문 세미나하기 그리고 녹음해서 자기가 세미나 한것 스스로 비판/개선하기
그리고 널럴한 시간 동안 개인 연구하고 (2)은 논문컨설팅 업체에 맏겨서 관련학회에 논문 낸다.
이렇게 하면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느 정도 일반대학원 다닌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고 잡일을 안 해서 오히려 더 논문을 많이 쓰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2.01

논문을 쓴다는게 어떤 것인지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하는 망상에 가까운 글로 보입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3.02.01

특수대학원은 연구를 위한 곳이 아닙니다. 코스웍을 통한 공부를 위한 곳입니다. 일반대학원 석사라고해서 뭐 연구경험을 충분히 많이 하고 나오지는 못합니다만, 그럼에도 그걸 독학으로 메꾸는 것은 너무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두가지 독학 방법은 굳이 특수대학원을 가실 필요도 없이, 그냥 내일 아침부터 시작하셔도 됩니다. 교수님의 지도 없이 어떤 논문을 읽을 것인지, 알게된 사실과 논리에 문제는 없는지, 보충을 위해 어떤 공부/연구/실험 등을 할 것인지 등등, 스스로 해내는 것은 경험이 충분히 있는 사람들조차 어려운 일입니다. 일반대학원에 진학할 수 없는 이유가 있음에도 연구를 경험해보고 싶으신 것이 가장 핵심인 것 같은데, 글에서 말씀하신 것으로는 원하는 정도를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말씀드립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