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대학원 가면 학술지에 논문 제 이름으로 많이 쓰는 것에 대한 로망이 있었는데, 성대에 있는 제 선배가 그러고 싶으면 여기 오지 말라고 비추하더라고요... 여긴 프로젝트 많이 해야되서 회사 같다고 ㅜ
랩바랩이겠지.. 했는데, 김박사넷이랑 다른 곳에서도 이런 이야기들을 좀 듣다보니 고민이 되네요..
아, 그리고 저는 기계공학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IF : 2
2023.01.27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2023.01.27
졸업생인데, 레알 회사같은 곳 많음... 걍 중소기업인데 대학원 학위도 주는구나~ 하고 생각하고 다니면 좋은 곳 많음. 월급도 중소기업이고
상처받은 칼 세이건*
2023.01.27
프로젝트를 많이 하면 장점도 충분히 있습ㄴㅣ다.
성급한 아인슈타인
IF : 1
2023.01.27
논문실적을 내고싶으면 졸업생 1인 주저자 논문실적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성대라고 그런건 아니고 결국 랩바랩입니다. 실적많은 연구실로 가시면 이름 수두룩하게 올릴 수 있습니다. 저는 6년동안 공저포함 20편정도 올렸네요..
2023.01.27
전 성대 전전랩 다니다가 자퇴했는데, 박사 고년차 선배가 sci논문 하나 없었고 (평타 컨퍼는 있고), 주 1회 미팅은 빨리 끝내자고 ppt를 서로 줄이는 분위기에 교수님도 피드백 거의 없이 듣기만 하셨고, 다들 17~18시에 칼퇴하고 교수님 부재중인 날엔 16시에 퇴근하더라고요.. 저희는 거의 프로젝트만 하면서 논문은 쉽게 낼 수 있는 저널, 컨퍼에만 냈어요. 연구실 분위기도 서로 퇴근하고 뭐하고 놀지 얘기하고 연구실에서도 잡담 등 하면서 노는 분위기였고요
지금은 연구중심대학 중 하나로 왔는데 모든 면에서 좋아졌네요. 물론 랩바랩이겠지만 제 친구들 얘기를 들어도 제가 경험한 것보다 크게 나은 랩은 못본 것 같네요. 물론 서성한 중에 연구분위기 좋은 랩도 있긴 할듯요
능글맞은 아이작 뉴턴*
2023.01.27
랩바랩입니다. 논문 많이 쓰는 랩으로 가세요. 기업과제나 용역과제 많이 하는 곳은 교수가 돈 많이 벌려고 하는 목적이 클 겁니다. 아니면 연구 중심대학이 아니라 그냥 용역과제 중심으로 운영하는 곳이거나.
2023.01.28
기계과 자체가 논문 좋은곳 많이 못씀
2023.01.28
프로젝트가 많다 = 인건비는 그래도 두둑히 챙겨준다. 내 논문 쓸 시간 없고 꽤 많이 바쁘다 프로젝트가 적다 = 논문은 많이 쓰고 이래저래 하고 싶은 연구 할 수 있다. 다만 가난해질 뿐.
랩바랩이지만 이게 국룰이고 가이드라인입니다
대댓글 1개
IF : 2
2023.01.29
맞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과기원들이 확실히 장점이 있죠.
국가에서 등록금과 소정의 인건비를 대주니, 기업 프로젝트를 상대적으로 덜해도 좀 더 많은 월급과 논문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받게 될 수 있죠.
2023.01.28
프로젝트가 많다 = 인건비는 그래도 두둑히 챙겨준다. 내 논문 쓸 시간 없고 꽤 많이 바쁘다 프로젝트가 적다 = 논문은 많이 쓰고 이래저래 하고 싶은 연구 할 수 있다. 다만 가난해질 뿐.
랩바랩이지만 이게 국룰이고 가이드라인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1.29
뭐지 이건?
2023.01.29
copy and paste로 다른 두분이서 동일한 댓글을 다신건가요??;;
2023.01.29
제 친구도 작성자분과 똑같은 고민을 성대 출신인 저한테 털어놨었는데 (연구실 분위기도 비슷한듯) 제가 가지 말라고 했는데도 결국 가더니 가서 한 학기도 안돼서 후회하더라구요... 기업과제로 돌아가는 연구실의 문제점 중 하나는 선배들한테 인수인계 받은 것도 많고 같이 협업해야 되는 부분도 많아서 그 과정에서 트러블이 많아 보이더라구요 (연구실 내 서열, 기강, 파벌 싸움 등..ㄷㄷ)
2023.01.30
성대 산업공학(시스템경영)이었는데 저는 정부과제도 많고 산업체 과제도 많긴 했습니다. 지금은 교수님 따라서 학교 옮겨왔는데, 연구중점 대학이라 학비 빛 연구비 측면에서 많이 좋아진 것 같긴 하네요. 프로젝트 개수는 비슷하지만, 좀 달라진 점은 산업체 과제들도 논문과 연결되기 비교적 쉬운 주제들 위주로 하게된 것 같아요. 그리고 과제를 선별해서 거절할 수 있는 여유도 생긴 것 같고요.
2023.01.27
2023.01.27
2023.01.27
2023.01.27
2023.01.27
2023.01.27
2023.01.28
2023.01.28
대댓글 1개
2023.01.29
2023.01.28
대댓글 2개
2023.01.29
2023.01.29
2023.01.29
2023.01.30